DOI QR코드

DOI QR Code

Influence of Accessibility, Subject Norm, and Social Norm to Use Diversity or Usage of Internet Contents

아동의 인터넷콘텐츠 사용에 대한 접근성과 주관적·사회적 규범의 영향 연구

  • 옥경영 (숙명여자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소비자경제학과)
  • Received : 2013.04.04
  • Accepted : 2013.05.16
  • Published : 2013.05.28

Abstract

This study is about that how accessibility or norm influence to use diversity or usage of internet contents. Two hypotheses tested by statistic analysis. The major finding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greater the physical accessibility or intellectual accessibility, the greater the use diversity of internet contents. Second, the greater the physical accessibility or intellectual accessibility, the greater the usage of internet contents. Third, the greater the subject norm, the smaller the usage of internet contents. This study provides some implications that subject norm can influence to reduce usage of internet contents. The limitations, and future direction are discussed.

본 연구는 아동의 컴퓨터에 대한 물리적 또는 지적 접근성과 주관적 또는 사회적 규범이 인터넷콘텐츠 소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으로, 분석 결과 물리적 접근성은 인터넷콘텐츠 사용다양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가설 1-1은 지지 되었다. 지적 접근성은 한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주관적 규범이나 사회적 규범은 인터넷콘텐츠 사용다양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물리적 접근성과 지적 접근성은 인터넷콘텐츠 사용정도에도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2-1과 2-2는 모두 지지되었다. 주관적 규범은 인터넷콘텐츠 사용정도에 (-)방향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2-3은 지지되었으나 사회적 규범은 인터넷콘텐츠 사용정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아동들의 물리적 또는 지적 접근성과 주관적 규범간의 상호작용효과는 아동들의 인터넷콘텐츠 사용정도에 대해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몇 가지 시사점과 한계점을 토의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Solomon Michal, Consumer Behavior, Pearson International Edition, 2009.
  2. 한국정보화진흥원, "2011년 인터넷 중독 실태조사", 행정안정부, NIA IV-PER-11052, pp.1-442, 2012.
  3. Megumi Okutani and Mayuko Suzuki, "Risks for Children Caused by Actual Conditions of Their Relationship to Consumer Culture," 소비자교육, 일본소비자교육학회, 제30권, pp.25-34, 2010.
  4. 이재무, 임영애, "초등학생들의 컴퓨터 게임 이용 실태 연구", 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 제24권, 제6호, 2010.
  5. 권민균, 최명숙, "아동의 인터넷 활동 및 선호에 대한 조사: 연령과 성 차이를 중심으로", 아동교육, 제13권, 제2호, 2004.
  6. 이경선, 이정화, "아동의 컴퓨터게임이용 실태에 따른 게임몰입 경향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8권, 제3호, pp.182-188, 2008. https://doi.org/10.5392/JKCA.2008.8.3.182
  7. 이지선, 이병수, "국내 사이버대학 콘텐츠의 웹 접근성 평가",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7권, 제4호, 2007. https://doi.org/10.5392/JKCA.2007.7.4.224
  8. 조현미, 정진헌, "웹 접근성 지침에 기반한 웹 디자인에 관한 연구: 고령사용자를 중심으로", 기초 조형학연구, 제8권, 제2호, 2007.
  9. L. V. Ahn, S. Ginosar, M. Kedia, R. Liu, and M. Blum, "Improving Accessibility Of the Web Wity a Computer Game," CHI 2006 Proceedings, pp.79-82, 2006.
  10. K. Misengerger, R. Ossmann, D. Archambault, G. Searle, and A. Holziger, "More Than Just a Game: Accessibility in Computer Games," USAB 2008, pp.247-260, 2008.
  11. KOCCA, "게임이용에 대한 인식 및 행동진단 모델 연구(3차년도)", 한국콘텐츠진흥원, 연구보고서 10-34, 2010.
  12. C. F. Shin and Alladi Venkatesh, "Beyond doption: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Use-Diffusion Model," Journal of Marketing, Vol.68, pp.59-72, 2004. https://doi.org/10.1509/jmkg.68.1.59.24029

Cited by

  1. Analy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NS use and Media use time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vol.14, pp.7,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7.395
  2. Children's Use of Paid Content Based on Media and Monetary Concepts vol.25, pp.2, 2014, https://doi.org/10.7856/kjcls.2014.25.2.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