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olicy-making Process of Artists Welfare Law: Based on Kingdon's Policy Streams Model

예술인복지법 정책결정과정 연구: Kingdon의 정책흐름모형을 중심으로

  • 최정민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
  • 배관표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
  • 최성락 (동양미래대학 경영학부)
  • Received : 2013.04.04
  • Accepted : 2013.05.08
  • Published : 2013.05.28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the policy-making process to promote the artists' welfare. In the problems stream, the artists have been found to suffer without any governmental support. In the policy stream, there have been various alternatives but they were not actualized. Meanwhile, a writer died of illness and famine in 2011. In the political stream, the public opinion to require the promotion of the artists' welfare, was strengthened. It made the policy-window open and resulted in the legislation of the Artists Welfare Law. Based upon these analyses, this article concludes that Kingdon's model is applicable to this case. Especially, this study shows that this policy was made with accidental events and the roles of informal participants such as netizen were more critical.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the content of this Law was modified and trimmed because there was no policy entrepreneur to persuade the dissenters. It could made the policy-making process of this Law distinguished from others.

본 연구는 예술인의 복지 개선을 위한 정책결정과정을 Kingdon의 정책흐름모형으로 분석했다. 예술인들이 복지정책의 사각지대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정책문제의 흐름이 있었다. 그리고 다양한 제도가 소개되고 관련 법안이 발의되는 정책대안의 흐름이 있었으나 그 대안들은 실현되지 못하고 있었다. 그런데 2011년 한 작가의 죽음으로 예술인들을 위한 복지정책을 요구하는 여론이 형성되는 정치흐름의 변화가 있었다. 이를 계기로 정책의 창이 열리고 예술인복지법이 법제화되어 마침내 정책이 결정됐다. 분석을 통해, 본 연구는 예술인의 복지 개선을 위한 정책결정과정이 Kingdon 모형으로 설명이 가능함을 확인했다. 특히 이 법은 우연적 요소의 결합으로 법제화됐음을 확인했다. 다른 사례들과 달리 예술인복지법의 제정과정에서는 정책선도가나 공식적 참여자보다 네티즌과 같은 비공식적 참여자의 역할이 중요했음을 밝혔고 정책선도가의 활동 부족으로 이 법은 최소한의 사회보장만을 담은 채로 법제화되었음을 밝혔다. 본 연구는 이것을 예술인복지법 정책결정과정의 특징이자 한계라고 보았다.

Keywords

References

  1. 허은영, 남혜령, 마지연, 2009 문화예술인 실태조사, 문화체육관광부,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09.
  2. J. Kingdon, Agenda, Alternatives and Public Policies, Little, Brown and Company, 1984.
  3. 김상봉, 이명혁, "Kingdon의 정책 창 모형에 의한 비축임대주택 정책의 갈등관계분석 및 평가", 한국정책과학학회보, 제15권, 제3호, pp.1-27, 2011.
  4. 정정길, 최종원, 이시원, 정준금, 정광호, 정책학원론, 대명문화사, 2010.
  5. 최성락, 박민정, "Kingdon 정책흐름모형 적용의 적실성에 대한 연구", 한국정책연구, 제12권, 제1호, pp.119-137, 2012.
  6. 진상현, 박진희, "한국과 독일의 원자력정책에 대한 비교연구", 한국정책학회보, 제21권, 제3호, pp.265-289, 2012.
  7. 조일홍, John W. Kingdon의 '정책의 창' 이론, 오석홍 (편), 정책학의 주요 이론, 법문사, pp.415-422, 2000.
  8. 박윤영,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결정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pp.381-407, 2001.
  9. 유은주, "노인장기요양보험의 정책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과학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pp.165-185, 2008(1).
  10. 이순남, "Kingdon의 정책흐름모형을 적용한 정책변동 연구", 한국공공관리학보, 제18권, 제2호, pp.261-282, 2004.
  11. 김지원, "4대 사회보험 통합 정책형성과정 분석", 한국정책학회보, 제18권, 제2호, pp.157-189, 2009.
  12. 유홍림, 양승일, "정책흐름모형(PSF)을 활용한 정책변동 분석 -새만금간척사업을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보, 제18권, 제2호, pp.189-219, 2009.
  13. 김지수, 김민곤, 이정철, 허만형, "아동 성범죄자에 대한 위치추적 전자장치 부착제도의 형성과정 분석", 한국정책학회보, 제21권, 제1호, pp.251-283, 2012.
  14. 박영정, 예술인 복지를 위한 쟁점과 논의, 노동리뷰, 2012(7).
  15. 김세훈, 서순복, "지역문화진흥을 위한 법제 정비 방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호, pp.186-198,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1.186
  16. 아시아경제, 예술인은 배고파야 한다? 예술인 복지법 유명무실, 정종호 기자, 2012년 9월 21일, 2012.
  17. 김태완, 정희선, "예술인 복지법 통과의 의미와 과제", 보건복지포럼, 제183호, pp.66-75, 2012.
  18.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원회, 제301회 문화체육 관광방송통신 제4차 회의록, 2011년 6월 22일, 예술인 복지법안, 2010(2).
  19. 김휘정, "예술인 복지 지원의 쟁점과 입법 및 정책 과제", 문화정책논총, 제25권, 제2호, pp.89-114, 2011.
  20. 문화체육관광부, 2008년 주요업무보고, 2008.
  21. 문화체육관광부, 2009년 주요업무보고, 2009.
  22. 머니투데이, 영화계 "제2의 고 최고은 막자"행동 움직임, 전형화 기자, 2011년 2월 10일, 2011.
  23. 머니투데이, 고 최고은 사태, 분노․반성 넘어 변화 필요할 때, 임창수 기자, 2011년 2월 15일, 2011.
  24. 김수도, 조환규, "온라인 게시글의 조회수 분석 을 통한 인기도 예측",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 12권, 제4호, pp.40-51, 2012.
  25. 데일리중앙, 최고은 작가 사망 계기 예술인 복지 강화된다, 석희열 기자, 2011년 2월 20일, 2011.
  26. 머니투데이, 최고은 작가 요절, '예술인 복지법' 탄력받나, 양영권 기자, 2011년 2월 9일,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