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이정순, 전원배. 관광활동, 여가만족, 심리적 웰빙, 주관적 웰빙의 관계. 한국관광학회지. 2005;28(4):149-172.
- 김희봉. 웰빙의 의미와 도덕교육. 한국도덕교육학회지. 2005;16(2):87-99.
- 심형석, 송경진. 웰빙 비즈니스. 서울:박영률 출판사. 2004.
- 한영호, 현대 소비사회에서 웰빙트랜드의 개념과 소비경향 분석. 중앙대학교 대학원. 미출판 석사학위논문. 2004.
- 박석준. 몸. 서울:소나무. 1995:12.
- 김우호, 홍원식, 기공학 발달에 대한 문헌적 연구. 대한의료기공학회지. 1996;1(1):13-64.
- 김동영. 老年養生의 老衰機轉에 關한 文獻的 考察. 제3의학. 2000;3(2):75.
- 유점문. 중의양생학. 상해중의학원출판사. 1989:2.
- 정행규. 양생에 관한 문헌 연구. 경희대학교. 미출판 박사학위논문. 1995.
- 신상진. 한국성인들의 건강관련 삶의 질 특성분석.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미출판 박사학위논문. 2010.
- 김수영, 박지은, 서현주, 이윤재, 손희정, 장보형, 서혜민, 신채민. NECA 체계적 문헌고찰 매뉴얼. 한국보건의료연구원. 2011:12-13.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2012.9.27.] Available from : URL : http://www.kci.go.kr/
- 한국연구재단. [2012.9.27.] Available from : URL : http://www.nrf.re.kr/nrf_tot_cms/show .jsp?show_no=182&check_no=178&c_relation =0&c_relation2=0
- Paloutzian RF, Ellison CW. Loneliness, spiritual Well-being and the quality of life. In: Peplau LA, Perlman D, eds. Loneliness: A sourcebook of current theory, research and therapy. NewYork:John Wiley & Sons. 1982:224-237.
- 장세진. 스트레스편. 대한예방의학회 건강통 계자료 수집 및 측정의 표준화. 서울:계축문화사, 2000:92-143.
- 김욱태, 한태영. 사회심리적 건강측정도구를 이용한 치과기공사의 스트레스 평가. 대한치과기공학회지. 2009;31(3):67-85.
- 전겸구, 이민규. 한국판 CES-D 개발 연구 1.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992; 11(1):65-76.
- Beck AT, Steer RA, Brown GK. Manual for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 II. The psychological corporation. San antonio, Tx: Psychological Corporation. 1996.
- 전병제. 自我槪念測定可能性에 관한 硏究. 延世論叢. 1974;11(1):107-130.
- 정하나. 웰빙스포츠 참가자의 건강지각이 웰빙문화 활동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미출판 박사학위논문. 2010.
- 전영옥. 웰빙문화의 등장과 향후 전망. 서울: 삼성경제연구소. 2005.
- 박황진. 養生과 웰빙(Well-being)관련 국내 연구 동향 분석.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 김기철, 박승정, 장두섭, 김삼태, 김유철, 권소희, 정해경, 송용선, 이기남. 산업장 근로자의 근골격계 자각증상과 스트레스의 평가. 대한예방한의학회지. 2004;8(1):19-32.
- 한종민, 권소희, 정해경, 강홍구, 송용선, 이기남. 산업장 근로자의 직종별 생활습관과 스트레스의 평가. 대한예방한의학회지. 2004; 8(1):47-58.
- 신용철. 양생시(養生詩)에 관한 소고(小考). 대한예방한의학회지. 2007;11(1):101-108.
- 임병묵, 소경순, 김광호. 조탁(曺倬)의 이양편(二養編)에 나타난 양생사상(養生思想) 연구. 대한예방한의학회지. 1997;1(1):1-13.
- 이선동, 박해모. 한의학적인 생명관의 특징과 건강의 정의. 대한예방한의학회지. 2006;10 (1):33-51.
- Korea National Statistical. [2012.9.26.] Available from : URL : http://kostat.go.kr
- 박정숙, 김혜옥, 문미영, 오윤정, 윤매옥, 정귀임, 황보수자. 암환자의 영양, 통증 및 피로 관련 논문분석.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002; 13(3):541-555.
- 손병철, 전진호, 이찬희, 김대환, 이창희, 박수경. 사회심리적 건강측정도구를 이용한 동일 직장내 생산직과 사무직 근로자의 스트 레스 수준 평가. 仁濟醫學. 1999;20(1):433-446.
- 박경옥. 근로자의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지지도 특성에 관한 연구. 保健敎育. 健康增進學會誌. 2003;.20(3):91-108.
- 임승현. 노인의 총체적 웰빙을 위한 여가스 포츠. 人文科學硏究. 2007;30:139-163.
- 백순기, 김현나. 체육철학 : 스포츠와 삶의 의미: 행복, 삶의 질, 웰빙에 대한 소고. 움직임의 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2011;19(3):55-68.
- 윤현숙. 삶의 질에 관한 개념적 연구, 한림 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편, 비교사회복지 제 2집:복지국가의 비교. 서울:을유문화사, 1993: 255-273.
-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QOL-BREF: Introduction, Administration, Scoring and Generic Version of the Assessment. Geneva: WHO. 1996.
- 정성덕, 이종범, 박형배, 김진성, 배대석, 이광헌, 사공정규, 송창진, 배진우. 한국판 영적안녕 척도(Spiritual Well-being Scale)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神經精神醫學. 2001; 40(2):230-242.
- 이진화. 영적 안녕감 척도의 타당화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미출판 석사학위논문. 2012.
- 장세진, 차봉석, 박종구, 이은경. 스트레스 측정도구의 표준화 방안. 원주의대논문집, 1994: 7(1):21-38.
- 한림의대 가정의학교실 편. 삶의 질 측정의 이론과 실제. 서울:고려의학. 1999:172-181, 310, 333-348.
- 박승미, 장인순, 최정실. 2차 종합병원 간호사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심리, 성격 특성과 업무특성중심으로-. 간호행정학회지. 2011;17(4):474-483.
- Spielberger CD. Anxiety current Trends in theory and research, 1. New York Academic Press, 1972:23-46.
- Stoker MJ, Dunbar GC, Beaumont G. The SmithKline Beecham 'quality of life' scale: a validation and reliability study in patients with affective disorder. Qual Life Res 1992; 1:385-395. https://doi.org/10.1007/BF00704433
- 윤진상, 국승희, 이무석. 한국판 스미스클라인 비챰 '삶의 질' 척도에 관한 예비연구, 神經精神醫學. 1998;39(2):280-291.
- Sherer M, Maddux JE. The self-efficacy scale : construction and validation. Psychological Reports, 1982;51:663-671. https://doi.org/10.2466/pr0.1982.51.2.663
- 오현수. 여성 관절염 환자의 건강증진과 삶의 질. 대한간호학회지. 1993;23(4):617-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