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deological Background the Garden of Mus$\bar{o}$ Soseki

무소 소세키(夢窓疎石)가 작정한 정원에 나타난 사상

  • Choi, Mi-Young (Dept. of Landscape of the Graduate School of Dongguk University) ;
  • Hong, Kwang-Pyo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Dongguk University GyeongJu)
  • 최미영 (동국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 홍광표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조경학과)
  • Received : 2013.11.22
  • Accepted : 2013.12.27
  • Published : 2013.12.31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with an aim to examine the inner thoughts of Muso Soseki through his works. In this study, we reviewed currently existing Mus$\bar{o}$ Soseki. Works in which his idea or intention behind his works are to be understood in terms of landscaping science or religious perspective. Targeting his best representative works of temple gardens such as Jochou-ji, Eiho-ji, Zuisen-ji, Tenryu-ji, it was sought his view of gardening and technique of garden making. Those temples, selected as target of this study, have significance as a places to have started his learning till matured of his thought into his gardening works. What we need to concentrate and think about regarding the works of Muso is the fact that we are to be impressed upon just looking at his works. The study result indicates that Muso not only symbolized his various mastered ideas & philosophies into spatial configuration into the garden based on Zen Buddhism idea, but also accomplished the Sabi-gardening beauty. Through his writing "Mongjoongmundap(夢中問答)" that is created using his core thoughts, his works can be understood better.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the idea. It could be understood that Muso's work is rooted in the basic idea of three ideas. The first of it is Zen philosophy being indicated in his configuration of gardening such as Zen meditation Stone, cave, chamdo etc. The second of it is shown as the merciful heart of Sangguboje(上求普提), Hahwajoongsaeng(下化衆生), being indicated in his configuration of gardening such as the pond And finally, there appears the Tao idea. Taoist thought has become of where the background space.

본 연구는 무소 소세키의 작품을 통해서 그의 사상적 배경을 알아보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현존하고 있는 무소 소세키의 작품을 고찰하고 그 작품 이루고 있는 그의 생각이나 의도를 조경학적으로, 종교적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그의 작품 가운데 가장 대표적이라고 생각하는 죠고지, 에이호지, 즈이센지, 텐류지 사찰을 대상으로 무소 소세키가 작정한 정원속의 사상적 배경을 찾아보았다. 이 연구대상지들의 선정기준은 깨달음의 수행을 시작한 곳에서 그 생각이 작품으로 승화되기까지 대활약을 한 장소로서 큰 의의를 가진다. 우리가 무소 작품에 집중하고 생각해야 할 것은 그의 작품을 보면서 감동하고 느낀다는 것이다. 연구결과 무소 소세키는 불교의 선사상을 기본으로, 본인이 터득한 다양한 사상과 철학을 정원에 공간구성으로 상징화하고 일본의 정원 속에 선사상의 뿌리를 확고히 하였을 뿐만 아니라 사비적인 정원미를 이루었다. 그의 중심적인 사상이 농축되어 있는 저술서 "몽중문답(夢中問答)"을 통해 그의 작품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무소의 작품을 통해 작품 속에 심어진 사상적 배경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무소의 작품은 기본사상은 세 가지에 뿌리를 두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 첫 번째 사상은 선사상으로 정원에는 좌선석과 동굴, 참도 등 구성요소로 나타나고 있으며, 두 번째 사상은 상구보제(上求普提), 하화중생(下化衆生)의 자비심, 용문폭 석조에 석교(石橋)을 통해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도교사상이 나타나는데, 도교사상은 무소의 공간적 배경이 되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大橋治三, 齋藤忠一(1993). 日本庭園鑑賞事典. 東京堂出版. pp65.
  2. 姸野梭明(2005). 夢窓國師 日本庭園を極めた禪僧). 靑藍社. pp208.
  3. 武光誠(2000). 3일 만에 읽는 일본사. 서울문화사.
  4. 西村惠信(2012). 夢窓國師の "夢中問答" をよむ(上). NHKシリ-ズ.
  5. 松尾剛次(2005). 膁瘡 古寺を步く. 株式會社 吉川弘文館.
  6. 怨親平等(2007). 天龍寺, 淡交社. pp85.
  7. 中村蘇人(2007). 夢窓疎石の庭と 人生, 創土社. pp14-15.
  8. 竹貫元勝, 態倉工夫 編(2012). 夢窓疎石. 春秋社.
  9. 長尾剛(2005). 일본사상이야기40. 예문서원.
  10. 강희안(2012). 양화소록. 아카넷. pp7.
  11. 무소 소세키 저, 엄인경 역(2013). 夢中問答. 學古房.
  12. 질클레망 지음, 이재형 옮김(2012). 정원으로 가는 길. 영신사.
  13. 野村俊一(2004). 瑞泉寺一覽亭をめぐゐ社友形成と詩制作. 日本築學會系論文集. 第586號: 155-156.
  14. 鈴木 蔀(2009). 佛典の位置と "參道" 空間について虎溪山永保寺の配置 計劃に關する硏究. 日本建築學會東海支部硏究報告書第47號. 641.
  15. 澤田天端(1977). 庭園の背景思想と構成に關すゐ硏究( ). 夢窓國師と永保寺の構成について(その1). 造園雜誌40(2).
  16. ECOLAC(2013 봄). 조경생태시공69. pp181.
  17. http://www.cafe.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