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Fence Ohgokmun Soswaewon Factor Analysis

소쇄원 오곡문 담장의 구조적 안정에 미치는 요인 분석

  • Jang, Ik-Sik (Graduate of Environmental Landscape Architecture, Sangmyung University) ;
  • Jeon, Hyeong-Soon (Graduate of Environmental Landscape Architecture, Sangmyung University) ;
  • Ha, Tae Ju (Graduate of Environmental Landscape Architecture, Sangmyung University) ;
  • Lee, Jae-Keun (Dept. of Environmental Landscape Architecture, Sangmyung University)
  • 장익식 (상명대학교 대학원 환경자원학과) ;
  • 전형순 (상명대학교 대학원 환경자원학과) ;
  • 하태주 (상명대학교 대학원 환경자원학과) ;
  • 이재근 (상명대학교 조경학과)
  • Received : 2013.07.30
  • Accepted : 2013.12.23
  • Published : 2013.12.31

Abstract

In this study, the traditional structure of the impact on the stability analysis. Korean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column space of stonework stable composition as the foundation of the fence for a long time been known to fall down and not maintained. The destination of research Ohgokmun Damyang Soswaewon fence which is in harmony with nature is one of the traditional structures that affect its shape without being kept so far came true. This includes our ancestral wisdom and that wisdom can guess guesswork. But I let the traditional reproduction incidence structures frequently. This deviation from the traditional method of construction application of shorthand stand. Thus, the subject of this study, the factors that do not fall down fences Ohgokmun solution is to indirectly gain the weak. In addition, epidemiological studies and the methods of calculation of the inferred physical examinati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derived through the following. First, the internal factors of the fence Ohgokmun constituting the structural member and the coupling of the scheme. 1) based on stable ground. Greater role in the country rock The fact that the settlement will have no symptoms. 2) to minimize the friction caused by hydrological water to remove the two-pronged process through stone work building form and menu sustaining power in hydrology and flooding made against the bypass channel. 3) due to the load bearing capacity and durability to withstand the strength of the material and the construction of structures in the form of a dispersion of power between each individual to maximize the process of getting traction was applied. Second, external factors Ohgokmun fence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e calculation of the dynamics of repair, is greatly affected by the wind and the water gate of the fence, but the action of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lack of power that hurt enough conclusion.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e structure of internal and external influence as well through the structure can be viewed as composed consisting. However, over the next follow-up in terms of climate and environmental factors due to the fact that the fall might.

본 연구는 전통구조물의 안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우리나라 전통조경공간에서 축석 기둥으로 조성된 담장의 기초가 안정함에 따라 오랜 세월동안 무너지지 않고 유지됨을 알 수 있었다. 연구 대상지인 담양 소쇄원의 오곡문 담장은 자연과 조화되는 하나의 전통구조물로 그 어떠한 영향에도 변형됨이 없이 지금까지 유지되어 왔다. 여기에는 우리 선조들의 슬기와 지혜가 곁들어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그러나 전통구조물 재현에 있어 하자발생 빈도가 빈번하다. 이는 전통구조물에서 벗어난 공법으로 약식 적용하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대상인 오곡문 담장이 무너지지 않는 요인을 통해 그 해결 방안을 간접적으로 얻고자 함이다. 아울러 연구 방법으로는 물리적 시험과 역학 계산방식의 유추 해석을 통해 다음의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내적 요인으로 오곡문 담장의 구조를 이루는 부재와 결속 방식이다. 1) 기초 지반의 안정이다. 여기서 원지반인 모암의 역할이 크다는 사실과 침하 현상이 없다는 것이다. 2) 수문에 의한 마찰력을 최소화하기 위해 물길을 두 갈래로 분리한 축석형태와 메쌓기 공법을 통한 수문에서의 지내력과 범람을 대비하여 우회수로를 만들었다. 3) 하중에 의한 지지력과 내구성에 견디는 구조로 재료의 강도와 축조형태에 있어 각 개체 간의 힘의 분산을 가져오는 마찰력을 최대화하는 공법으로 적용되었다. 둘째, 외적 요인으로 오곡문 담장의 역학 수리 계산식을 통해서 얻은 결과, 비바람과 수문에 의한 영향이 크게 나타나지만, 담장의 구조적 안정에 해칠 만한 힘의 작용이 미흡하다는 결론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 내 외적 영향에도 잘 견디는 구조로 구성된 구조체로 볼 수 있다. 그러나 향후 사후관리 측면과 이상기후로 인한 환경 인자에 의해 무너질수도 있다는 사실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철기(1996). 전통적인 분위기를 표출하는 담장의 표현방법에 관한 기초연구. 한국조경학회지. 63: 150-163.
  2. 강태호, 정운수(2010). 조경재료 적산학. 서울: 기문당.
  3.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2002). 담양 소쇄원-발굴조사 보고서(潭陽瀟灑園 發掘調査 報告書.
  4. 김덕진(2007). 소쇄원을 통해서 본 16-17세기 호남의 역사-소쇄원사람들. 서울: 다할 미디어.
  5. 김덕진(2010). 소쇄원 사람들 1, 2. 서울: 다할미디어.
  6. 김미정(2008). 소쇄원을 통해본 전통원림의 차경 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인후(1548). 瀟灑園)四十八詠.양산보와 그의 후손 양경지(1731). 瀟灑園事實.
  8. 김준수(1990). 造景樣式 形成要因에 관한 硏究.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박경자(1997). 한국 전통조경구조물. 서울: 조경.
  10. 서숙경(1999). 한국 전통상류주택의 담장 특성(特性)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손영식(2009). 한국 고(古) 교량의 구조형식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2. 송순(1534). 면앙집 1권 외제양언진소쇄정사수가정갑오(外弟梁彦鎭瀟灑亭四首嘉靖甲午). 남도문화유적답사기.
  13. 신영훈, 김대벽(2004). 꽃담 질박과 분방의 미. 서울: 조선일보사 출판국.
  14. 심경구(1983). 담양소쇄원 보존정비계획 및 설계. 문화재관리국.
  15. 이상걸(1987). 주택담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이상영(2007). 내륙지방 전통담장의 가치평가 및 보전 방안에 대한 연구. 한국농촌계획학회지. 13(2): 51-61.
  17. 이재근(1992). 조선시대별서 정원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8. 장수영(1995). 별서 소쇄원에서의 공간구성상의 조직체계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정동오(1973). 瀟灑園四十八詠에 대한 조경사적 측면에서의 연구. 전남문화재. 5집
  20. 정동오(1973). 양산보의 소쇄원에 대하여 한국조경학회지. 한국조경학회지. 2: 27-33.
  21. 정용재(1996). 한국 전통 담(墻)의 조형성에 관한 연구. 한양여자대학논문집. 19집: 241-259.
  22. 정재훈(1999). 한국의 옛 조경. 서울: 대원사.
  23. 주남철(2000). 한국건축사. 서울: 고려대학교 출판부.
  24. 천득염(1999). 한국의 명원 소쇄원. 서울: 도서출판 발언.
  25. 천득염, 한승훈(1994). 瀟灑園圖와 (瀟灑園)四十八詠을 통하여 본 瀟灑園의 構成要素. 건축역사연구. 3(2): 67-90.
  26. 최기수(1989). 곡과 경에 나타난 한국전통경관구조의 해석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7. 최기수(2005). 차경의 관점으로 본 한국의 전통조경.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3(1): 158-165.
  28. 최재문(1999). 전통궁궐담장의 현대적 적용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