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Objects and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Japanese Apricot(Prunus mume) Appreciation through the Poem Titles

매화시제(梅花詩題)를 통해 본 매화 완상(玩賞)의 대상과 경관 특성

  • So, Hyun-Su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The University of Seoul) ;
  • Lim, Eui-Je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yeongnam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소현수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
  • 임의제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조경학과)
  • Received : 2013.10.31
  • Accepted : 2013.12.18
  • Published : 2013.12.31

Abstract

This study scrutinizes the titles of serial poems on Japanese Apricot, which have lucid characters on season and time changes, having been appreciated and recited by the scholars in the Choseon Dynasty era and analyses the records of Zhang zi(1153~1235), a writer in Song(宋) Dynasty in China, having presented the objects harmonizing perfectly with Japanese Aprico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tegorizes the objects of Japanese Apricot appreciation and establishes the landscape characteristics on Japanese Apricot appreciation affiliated with as follows. First, the objects of Japanese Apricot appreciation are categorized into 'form of blossoms', 'natural feature(景物)', 'place of tree planting', 'the picturesque scene(景色)' and 'behavior'. Second, the scholars regarded the single trees whose branches are grotesque as the objects of appreciation and enjoyed them. They preferred white and single petal Japanese Apricot and admired red Japanese Apricot which has Taoism images. Third, they admired pines and camelias which represent fidelity and strength and valued Japanese Apricot with cranes which remind themselves of solitary scholars. Fourth, they appreciated the images of Japanese Apricot reflected on the water, and the poetically inspiring atmosphere where the trees are planted by the window. Fifth, the moon and snow were crucial weather conditions for appreciating. cold weather and time from night to dawn were ideally suited for enjoying. Sixth, they enjoyed blossoms in various fashions like bottling(甁梅), potting(盆梅), green-housing(龕梅), searching(龕梅) and black-and-white painting(墨梅) with a view to seeing blossoms earlier than the usual flowering time. Moreover, they used paper drapes, bead curtains, mirrors and ice lamps for active appreciation. They also listened to the sound of Piri(wind) and Geomungo(string), played go and drew tea with noble and elegant beauties when they enjoyed Japanese Apricot. The scholars influenced by the neo-Confucianism, which contemplates the objects, attached the specific sentiments like memories, grieves, dreams and farewells to Japanese Apricot and appreciated them. As stated above the scholars enjoyed the landscape including the picturesque scene like climate-weather, time-season and human behaviors not to mention the physical beauty of Japanese Apricot themselves and objects in company with Japanese Apricot including animals and plants.

본 연구는 조선시대에 신위(申緯), 정학연(丁學淵)이 명료한 계절성과 시간성을 지닌 매화를 완상하며 읊은 연작시(連作詩) 두 편의 시제(詩題)와 매화와 잘 어울리는 대상을 구체적으로 제시한 중국 송대(宋代) 문인 장자의 기록물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로 매화 완상의 대상을 유형화하고 매화 완상에 관련된 경관 특성을 다음과 같이 규명하였다. 첫째, 매화 완상의 대상은 '매화의 형태', '경물(景物)', '식재 장소', '경색(景色)', '행태'로 구분되었다. 둘째, 선비들은 매화의 형태에 있어서 매화 가지의 기괴한 형상이 돋보이는 독립수를 즐겼다. 또한 고고하고 맑은 정서를 제공하는 백색 홑꽃을 가진 매화를 선호하였으며, 도교적 이미지를 가진 홍매를 즐기기도 하였다. 셋째, 선비들은 매화와 어울리는 경물인 절개와 강인함을 상징하는 소나무와 동백나무, 외로운 선비를 연상시키는 학과 함께 매화를 완상하였다. 넷째, 선비들이 물에 반영된 매화의 모습과 시적 감흥을 불러일으키는 창문 앞에 식재된 매화의 정취를 즐겼던 사실에서 선호했던 매화의 식재 장소를 알 수 있다. 다섯째, 담담한 정신의 경지에 조응하는 달과 눈이 매화 완상에서 중요한 기상 현상이었으며, 새벽과 저녁 등 추운 날씨가 매화 완상에 어울리는 경색 조건이었다. 여섯째, 선비들은 매화꽃을 일찍 보기 위해서 병매(甁梅), 분매(盆梅), 감매(龕梅), 심매(尋梅), 묵매(墨梅)라는 방식으로 매화를 완상하였다. 또한 선비들은 적극적으로 매화를 즐기기 위해서 종이 휘장, 주렴, 거울, 얼음등[氷燈]을 이용하였으며, 피리나 거문고 소리를 즐기고, 바둑을 두고, 차를 끓이고, 절개있는 우아한 미인과 함께 하는 등 매화 완상에서 다양한 행태가 이루어졌다. 살펴본 바와 같이 선비들은 매화 자체의 형태미, 식재 장소와 매화와 짝이 되는 동물, 식물을 포함하는 경물은 물론이고, 기상 기후, 시간 계절과 같은 경색, 그리고 인간의 행태 등 변화하는 요소를 매화 완상의 대상에 포함하여 다채로운 경관을 즐겼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판권(2010). 역사와 문화로 읽는 나무사전. 파주: 글항아리.
  2. 강희안 저, 이병훈 역(1973). 양화소록. 서울: 을유문화사.
  3. 김지영(2011). 정학연의 매화 연작시 매화삼십수에 대한 일고. 장서각. 25: 136-162.
  4. 김지선(2007). 우봉 조희룡의 매화도. 미술사연구. 21: 107-130.
  5. 김현우(2010). 매화나무. 파주: 이담(한국학술정보).
  6. 박혜숙(2000). 조선의 매화시. 한국한문학연구. 26: 419-448.
  7. 선음(鮮音). 장서각.
  8. 소현수(2011). 차경을 통해 본 소쇄원 원림의 구조.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9(4): 59-69.
  9. 신익철(2002). 매사 동인의 매화시 창작과 비평. 한국문학연구. 3: 35-65.
  10. 신익철(2004). 18세기 매화시의 세 가지 양상. 한국시가학연구. 15: 97-126.
  11. 안완식(2011). 우리 매화의 모든 것. 서울: 눌와.
  12. 이상희(2004). 꽃으로 보는 한국문화 1. 서울 : 넥서스BOOKS.
  13. 이선옥(2006). 조선 중기 매화도 화풍의 특징과 영향. 미술사학연구. 249: 5-35.
  14. 이선옥(2010). 조선시대 매화도에 표현된 미감. 한국민족문화. 37: 255-286.
  15. 이유직, 조정송(1996). 중국정원의 미학. 한국조경학회지. 24(3): 79-95.
  16. 이정은(1996). 한국 매화시의 전통과 계승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이택동(2004). 18세기 매화시 연구. 성심어문논집. 26: 197-223.
  18. 이황 저, 기태완 역(2011). 퇴계 선생 매화시첩. 서울: 보고사.
  19. 임의제, 소현수(2012). 전통원림에 도입된 매화의 이용과 배식 특성.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0(3): 68-79.
  20. 장남원(2007). 한국 미술 속의 매화.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1. 조희룡 저, 한영규 역(2003). 매화삼매경-조희룡 산문선. 서울: 태학사.
  22. 최강현(1975). 사군자의 문학적 고찰(I): 주로 매화를 중심하여. 홍대논총. 7: 21-40.
  23. 최종현(2000). 안축의 승경관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18(2): 49-62.
  24. 홍현미(2009). 조선말기의 매화도 연구-여항화가를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http://db.itkc.or.kr(한국고전번역원 한국고전종합DB)
  26. http://encykorea.aks.ac.kr(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7. http://kjg.snu.ac.kr(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