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Seogo-jeongsa & Sameun-jeong Byeolseo Gardens in Toerori Miryang

밀양(密陽) 퇴노리(退老里) 서고정사(西皐精舍)와 삼은정(三隱亭) 별서(別墅)의 조영(造營) 특성(特性)

  • Lee, Hyun-Woo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Rho, Jae-Hyu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Urban Design, Woosuk University)
  • 이현우 (전북대학교 조경학과) ;
  • 노재현 (우석대학교 조경도시디자인학과)
  • Received : 2013.10.31
  • Accepted : 2013.12.17
  • Published : 2013.12.31

Abstract

To widen prospect of villa as Korea traditional garden, the result of the research about constructional characteristics of Seogo-jeongsa and Sameun-jeong of Yeoju Lee family at Toero-ri, Miryang-si, Gyeongsangnam-do, Korea, is abstracted as below. Seogo-jeongsa(西皐精舍) and Sameun-jeong(三隱亭) was intended to practise retirement with sense of unity with the head residence, since Seogo-jeongsa was 340m far and sameun-jeong was 630m far away from head residence, which set within 1km. Although Seogo-jeongsa's basic prop, Sameun-jeong's timber, which are both from designer's pen name and head residence name, "Hangjae(恒齋)" and "Yongjae(庸齋)," and Hanseoam have each different exposure, it is homogeneous as space configurational side in order to optimize the gaze leading effect and appreciated domestic trees from the pond, which is center of the garden and the significant facility. Method of direction of Seogo-jeongsa's Hwalsudang(活水塘) and Sameunjeong's pond of Sameun-ji(三隱 池) gets attention by distinction. Especially, directing of 3 step water flow from behind to front and traditional pond method, called Bangji-Bangdo(方池方島), were very unique that any other place can be found. Also, the middle islet on the pond at both villa, which isn't more supper, but more for the symbolic molding that seek a stone pagoda(石假山), is more interesting directing method as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of the 3 stone pagoda imageries on the surface of Ghwayukchon(果肉泉) At the same time, Seogo-jeongsa and Sameun-jeong shows very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traditional villa that adopted both domestic trees and foreign trees. Particularly, it is extremely exceptional case to plant vigorous needleleaf tree, such as Chamaecyparis pisifera, C. obtusa, Pinus bungeana, P. palustris, Sciadopitys verticillata, Metasequoia glyptostroboides and Cedrus deodara, on Sameun-jeong. Moreover, adopting foreign wild needleleaf trees for landscaping trees, such as a Torreya nucifera, Taxus cuspidata, P. parviflora, and foreign landsacping trees, such as P. bungeana, Cryptomeria japonica and C. obtusa tells planting trend of the late Joseon dysnasty era. Also, as we can know from 2 Jipgyeong(集景), which is 'Seogo-jabyoung 17 young(西皐雜詠十七詠)', and 'Sameun-jeong 12 Gyoung(三隱亭十二景)' which are set on both villa, the intend to expand the garden area is strongly shown by the natural forest directing. As a result, Seogo-jeongsa and Sameun-jeong, located at Toero-li Miryang, are sharing the traditional Joseon dynasty era's custom, such as space and visual composition; however, it is different and attractive garden remains as a point of view of water directing, stone pagodas, and adopting foreign landscaping trees.

한국전통정원으로서 별서의 지평을 넓히고자, 경남 밀양 퇴로리에 소재한 여주이씨의 서고정사와 삼은정의 조영 특성을 고찰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축약된다. 서고정사와 삼은정은 종택을 중심으로 서고정사는 약 340m, 삼은정은 약 630m 가량 이격되어 있으나, 모두 1km 권역권내에 포치되어 있음으로써, 종택과의 일체감은 유지하면서도 은일을 실현하고자 했던 조영자의 작정의도가 여실히 읽혀진다. 항재(恒齋)와 용재(庸齋)라는 조영자의 아호를 당호로 삼은 서고정사 항재와 삼은정 용재 그리고 한서암은 서로 다른 좌향 차이에도 불구하고, 정원의 중심이자 핵심시설인 지당(池塘)으로의 시선 유도와 적극적인 완상을 최적화시키기 위한 공간구성이라는 측면에서 동질적이다. 서고정사의 활수당과 삼은정의 삼은지의 지당 연출기법은 공히 매우 특징적이다. 특히 배후로부터 전면을 향한 3단 구성의 단계적인 물의 연출과 전개 그리고 방지방도(方池方島)의 지당 구성은 기존 별서에서는 찾기 힘든 양식으로 양 별서의 동질적인 요소로 귀결된다. 또한 활수당과 삼은지의 중도(中島)는 식재를 위한 공간이라기보다는 석가산(石假山)을 추구한 다분히 관념성과 상징성이 두드러진 조형 특징으로 파악된다. 이는 서고정사의 과육천 배면에 형상화한 3개의 석가산과의 관련성을 고려할 때 더욱 흥미로운 연출이다. 한편, 서고정사와 삼은정은 자체의 완상뿐만 아니라, 특별한 시각구성의 연출을 목표로 외래수종을 도입하였다는 점에서 기존 별서와는 차별화된 특성을 보인다. 특히 삼은정에 화백 편백 백송 대왕송 금송 메타세쿼이아 그리고 히말라야시다 등의 교목성 침엽수종을 비중 있게 도입한 것은 매우 이례적인 특징으로, 서고정사 또한 풍치용으로 식재된 비자나무 주목 섬잣 나무 등의 자생 침엽수와 백송 삼나무 편백 등의 외래 조경수는 조선 말기라는 전환기적 시기의 식재 양상으로 판단된다. 한편, 양 별서에 설정된 집경(集景)인 '서고잡영17영'과 '삼은정12경'에서도 알 수 있듯, 일곽 밖의 경외로까지 정원영역을 확장 해석하고자한 발상 등에서는 원림적 풍취가 강하게 드러나고 있음이 발견된다. 이 같은 특성을 종합할 때 밀양 퇴로리 소재 서고정사와 삼은정은 입지와 공간 및 시각구성 등에 있어서는 조선조 별서의 유풍은 공유하지만, 수공간과 석가산의 조성 및 조경식물의 활용 측면에서는 매우 독특한 양상을 띄는 정원유적으로 주목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순강(2004). 밀양 여주이씨 조영활동에 관한 연구; 정자․재실․서당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권지영(2013). 시문을 통해 본 호남지방 별서정원의 명승적 가치. 상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김수진, 김태수, 심우경(2008). 이태(1483-1536)의 월연정 별서 경영과 이상향.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6(2):18-30.
  4. 김용기, 홍광표, 이상윤, 심창진, 양달섭(1994). 조선시대 별서정원의 수경연출기법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12(1): 43-56.
  5. 김태수(2009). 조선시대 은거선비들의 산수경영과 이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 김현미(2011). 조선시대 별서정원 소쇄원의 意境양상 분석. 서울시립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김홍렬(2011). 한국 별서정원 설계의 기호학적 해석. 한양대학교 도시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박재범(2011). 16세기 별서건축 밀양 월연정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양병이, 박은영, 박휘(2003). 선비문화가 조선시대 별서정원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보길도원림, 소쇄원, 남간정사, 다산초당을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1(1): 9-20.
  10. 엄태건(2011). 밀양 금시당12경의 문화경관 해석.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이광만(2012). 별서조경에 활용된 수목의 식재유형 분석.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이우성, 황헌만(2003). 退老里誌. 밀양: 正進文化社.
  13. 이원호(2005). 19C 중엽부터 20C 중엽에 조영된 한국정원 설계요소의 전환기적 양상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李翼成(1977). 省軒集 解題(麗州世稿 省軒先生文集 附 一亭集). 密陽: 正進文化社.
  15. 이재근(1992). 조선시대 별서정원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 이정호(2007). 고려후기 별서의 조성과 기능. 한국사학보. 27: 215-242.
  17. 이호열, 방일섭, 권순강, 박일찬, 박찬민, 박재범(2008). 근대한옥 밀양 퇴로리 이병수 가옥의 건축적 특성. 한국건축역사학회 추계학술발표논문: 270-273.
  18. 전혜정(2011). 월연정 전통정원의 보전방안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정동오(1978). 한국정원(韓國庭園)의 지당형태(池塘形態) 및 구성(構成)에 對하여. 한국조경학회지 6(1): 1-16.
  20. 정병길(2013). 빙하기 식물의 피난처, 얼음골. Nature&Ecologe. 73: 60-63.
  21. 차경선(2005). 서울시 별서정원 유적에 관한 연구: 종로구 白石洞天을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최지영(2012). 안동하회마을 별서정원의 명승적 가치에 관한 연구. 상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한영창(1988). 대왕송의육묘와조림전망. 산림. 산림조합중앙회269: 52-55.
  24. 네이버블로그 http://blog.naver.com/Post Print.nhn?blogId.
  25. 네이버블로그 http://blog. daum.net/sangablue/17442237.
  26. 다음 블로그 http://blog.daum.net/ljw1674/14773514.
  27. 다음블로그 http://blog.daum.net/sunsansarang.
  28. 밀양시청 홈페이지 http://www.miryang.go.kr.
  29. 밀양문화원 홈페이지 http://miryang.kccf.or.kr.
  30. 한국고전종합DB 홈페이지 http://db.itkc.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