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the Press Report on the Formation and Changes of Public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System

공공기록관리 제도의 형성과 변화에 관한 언론보도 분석

  • Received : 2013.07.16
  • Accepted : 2013.08.20
  • Published : 2013.08.01

Abstract

Through the contents of press reports, this study is executed to identify what issues were treated intensively and how such issues have been reported by the press in the procedures of formation and changing of the records management system in the last 14 years. In order to achieve the study objective, histories of records management system were divided into Government of the People (1998-2002), former part of Participatory Government (2003-2005), latter part of Participatory Government (2006-2007), and the Lee Myung-bak administration (2008-2011). A total of 366 articles, which were reported in 7 newspaper companies in 14 years, were extracted and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es were executed.

언론은 국민적인 공감대와 여론을 형성하며, 특정 쟁점을 집중적으로 보도하면서 사회적 영향력을 발휘하는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기록관리학계에서 시도되지 않고 있는 언론보도 분석을 통해 지난 14년간(1998년-2011년) 공공기록관리 제도의 형성과 변화과정에서 중요하게 다뤄진 쟁점들은 무엇이고, 이들 각 쟁점이 언론에서 어떻게 보도되고, 기사에 등장하는 정보원을 파악하여 누가 해당 쟁점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확산해왔는지 분석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현정. 2003. 신문을 통해 본 초등학교 열린교육의 전개과정.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Kang, Hyun Jung. 2003. An Analysis of Newspaper Reports on the Process of Elementary School's "Open Education".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2. 곽건홍. 2003. 한국 국가기록 관리의 이론과 실제, 역사비평사.
  3. 곽건홍. 2006. 대한민국 정부의 성립과 기록관리정책(1948-1969). 한국기록학회 학술심포지엄 자료집.
  4. 국가기록원. 2009. 국가기록원 40년사, 국가기록원.
  5. 김익한. 2007. 기록학의 도입과 기록관리혁신(1999년 이후). 기록학연구 15, 67-93.(Kim, Ik Han. 2007. "The Introduction of archival science and the renovation of records Management(since 1999)."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15, 67-93.)
  6. 서혜란. 2009. 한국 공공기록관리 정책의 연대기적 검토. 한국기록관리학회지 9(2), 189-214.(Suh. Hye Ran. 2009. "A Chronological Review of the Public Records Management Policies in Korea From 1948 to Presen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9(2), 189-214.)
  7. 이승일. 2011. 기록의 역사, 혜안.
  8. 이승휘. 2008. 공공기록물 관리에 있어 이명박정부의 책임과 '업적'. 기록학연구 18, 257-280.(Lee. Seung Hwi. 2008. "New Government's Responsibility and Achievement in Records & Archives Management."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18, 257-280.)
  9. 이은주. 2002. 인터넷 시민미디어와 시민기자제도에 관한 연구: <오마이뉴스>의 분석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영상대학원 석사학위논문.(Lee, Eun Ju. 2002. Civic internet media and Civic reporter system: the case study of online-only newspaper.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10. 이재경. 2000. 한국 신문 기사의 취재원 사용 관행. 한국언론학회 봄철 정기 학술 대회 발표논문, 291-307.
  11. 조영삼. 2011. 한국의 대통령기록관리 제도 연구.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Zoh, Young Sam. 2011. A study on presidential records & archives management system in Korea. Master's thesis, Myongji University.)
  12. 감사원 홈페이지. (내 정보마당 - 감사원활동자료).
  13.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홈페이지. .
  14. 미디어가온 홈페이지. .
  15. 법무부 홈페이지. .
  16. 세계일보 채희창 기자 개인블로그. . [cited 2012.4.19].
  17. 오마이뉴스 DB. .
  18. 조인스 PDF. .
  19. 카인즈. .
  20. DB 조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