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Developing Archival Contents for Documenting Local Historical Characters

지역사 인물 콘텐츠 개발을 위한 연구 박기종 사례를 중심으로

  • 현문수 (부산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
  • 김동철 (부산대학교 사학과)
  • Published : 2013.04.30

Abstract

Locality documentation and archival contents development cover local historical characters that are mirrors reflecting localities. The study is to propose a methodology of designing archival contents for documenting a local historical character representing the locality based on his/her records. By the methodology, sample archival contents, Park Ki-jong contents is designed because he is the most representative of the locality of Busan between the late 1800 and the early 1900. Firstly, it asks a question on how it chooses a character representing the target locality. After the character is selected, his/her life and context is analysed. Based on the analysis, it set up the coverage of developing the contents and identifies relevant records and materials. Finally, the archival content for a local historical character is designed. It is important that the study proposes a method of developing archival contents which can be applied to a character-oriented archival contents development. For reviewing the applicability of the method, it is expected of further practical uses in character-oriented archival contents development representing the localities.

인물은 지역의 로컬리티를 바라볼 수 있는 거울이며, 지역사 인물의 기록화와 콘텐츠 개발은 로컬리티 기록화 및 콘텐츠 개발 시 반드시 포함시켜야 한다. 이 연구에서는 지역의 로컬리티를 대표할 인물을 선정하고 그가 생산했거나 그에 대해 생산된 기록을 바탕으로 증거에 기반하여 지역사 인물 콘텐츠를 개발하는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이 방법을 사용하여 개항기 부산의 로컬리티를 대표하는 인물인 박기종을 대상으로 콘텐츠를 사례 구축해보았다. 이를 위해 우선 로컬리티를 재현해줄 수 있는 인물을 어떻게 선정해야 하는가에 대한 질문을 시작으로, 로컬리티가 투영된 인물을 선정하였으며, 그에 대한 맥락 조사를 실시하였다. 맥락 조사를 바탕으로 최종 콘텐츠 설계 범위를 설정하였으며, 이 범위에 해당하는 기록과 자료를 조사하여 기록중심의 지역사 인물 콘텐츠를 설계하였다. 아직 지역의 로컬리티를 재현할 수 있는 인물을 대상으로 콘텐츠를 구축하기 위한 방법론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현실에서, 이 연구는 일반적인 로컬리티 기록화 방법과 인물 기록화 방법을 바탕으로 지역사 인물을 기록화하고 이에 기반을 둔 콘텐츠 개발 방법을 제안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제안한 지역사 인물 기록화 및 콘텐츠 개발 방법을 활용하여 지역 고유의 로컬리티를 확인하고 이를 투영할 수 있는 인물을 선정함으로써, 특정 시기 특정 공간의 정체성이 투영된 지역사 인물 콘텐츠를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Keywords

Cited by

  1. 왜 다시 기록관리 혁신인가? 소통, 기술, 협치를 향해 vol.55, pp.None, 2013, https://doi.org/10.20923/kjas.2018.55.1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