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Investigation of Gold Painting Technique in the Lacquerwares of Goryeo

고려시대 칠기에 나타난 묘금기법 연구

  • Park, Junghae (Conservation Science Department, National Museum of Korea) ;
  • Yi, Yonghee (Conservation Science Department, National Museum of Korea)
  • 박정혜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부) ;
  • 이용희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부)
  • Received : 2013.10.21
  • Accepted : 2013.12.09
  • Published : 2013.12.10

Abstract

Lacquerware of Goryeo period was variously developed from the early 10th century to the 14th century and became lacquerware inlaid with mother-of-pearl which shows creativity with splendid heyday. For characteristics, splendid and close mother-of-pearl. Characteristic of decoration method is to use gold painting method, Tortoise shell and metal line. Drawing is done with gold dust and gold painting method decorating lacquerware are very splendid from an artistic and decorative aspect, but gold painting is easily lost. So, it's currently difficult to find in relics succeeded. Therefore, there are domestically insufficient studies on gold painting method in Goryeo period, so this researcher intended to observe gold painting of lacquerware excavated in Goryeo period through the microscope, investigate characteristics, mixture, etc. of gold dust and provide data of studies on the recovery of ancient technology. As the result, gold dust particle has various shapes such as irregular square, polygon and triangle under the size from 2 ㎛ to 20 ㎛. The end of gold dust is rolled and overlapped and irregular particle seems to be similar to the shape of crumpled paper. This research showed that gold dust used in gold painting of Goryeo period had used gold dust made by grinding gold leaf to gold painting.

고려시대의 칠기는 10세기 초에서 14세기에 이르는 동안 다양하게 변화하였으며 화려한 전성기를 이루고 독창성이 돋보이는 나전칠기로 발전하게 되었다. 고려나전칠기는 나전과 대모, 금속선등을 이용한 세밀한 문양과 여기에 화려함을 더하는 묘금기법이 특징이다. 금분을 이용해 선묘를 하여 칠기를 장식하는 묘금기법은 회화적 장식적 측면에서 대단히 화려하지만 묘금에 의한 문양표현을 찾아볼 수 있는 유물은 극히 드물고 묘금기법에 대해 참고할 수 있는 문헌자료도 많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고려시대 칠기의 묘금을 대상으로 미시경적 관찰을 하여 금분의 특징과 교착제, 교착상태 등에 관해 밝히고 고대기술의 복원연구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금분의 입자는 불규칙한 방형과 다각형, 삼각형 모양으로 크기가 2 ㎛에서 20 ㎛까지 다양하게 보이며 금분의 입자는 끝이 말려들어가 중첩되어진 부분이 보이고 전체적으로 금분입자는 종이가 구겨진 듯한 형상과 비슷하게 관찰되었다. 이번 연구를 통해서 고려시대 묘금에서 사용된 금분은 금박을 분말상태로 분쇄하여 만든 금분을 묘금에 사용하였다는 것을 보여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