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of smart education programs on clothing in Home Economics education

스마트교육을 기반으로 한 의생활교육 프로그램 개발

  • Received : 2013.02.13
  • Accepted : 2013.03.20
  • Published : 2013.03.31

Abstract

This study developed smart education programs on clothing in Home Economics education for middle school students and assessed the validity of the programs. To create a self-directed adaptive learning model, 'Textile fibers' was selected as a topic. A digital textbook was developed to provide an adaptive learning experience to each student. The students can learn the contents of the digital textbook via their smart phones or tablet PCs in their Home Economics classes. To create a cooperative learning model for a good communication, 'Recycling clothes' was selected as a topic. Students can cooperate to solve the problems via Google docs and facebook in their Home Economics classes. The programs gained more than 4.5 on a 5-point Likert scale. The results of the assessment indicated that the smart education programs on clothing are appropriate to enhancing the self-directed learning,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competencies of the students in Home Economics classes.

본 연구는 가정교과 의생활 영역의 여러 가지 주제 중에서 스마트교육을 기반으로 한 의생활영역 교육프로그램에 적절한 주제를 선정하여, 선정된 주제를 중심으로 스마트교육을 기반으로 한 의생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섬유의 종류와 특징'을 주제로 자기주도적 지능형 맞춤학습 모형을 설계하였으며 이를 위해 연구자가 디지털교과서를 제작하였으며 이를 학생들이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를 이용하여 학습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의복 재활용'을 주제로 소통을 위한 협력 학습 모형을 설계하였으며 구글 문서도구와 페이스북을 통하여 학생들로 하여금 협력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프로그램에 대한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전문가들로부터 평가를 받았는데 학습자 개개인의 수준에 맞는 다양한 평가 영역을 제외하고는 5점 만점에서 모두 4.5 이상을 받았다. 이러한 결과에 비추어 스마트교육을 기반으로 한 의생활교육 프로그램이 학생들이 소통하고 공유하며, 협업 능력 및 자기주도 학습 능력을 신장시키는데 적합하다고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