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hange and Characteristic of Spacial Structure from Rural Space to Urban Space : The Case of Hwamyeong-Dong of Buk-gu in Busan

농촌에서 도시로의 공간구조 변화와 특성 - 부산 북구 화명동을 중심으로 -

  • 공윤경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 Received : 2013.01.03
  • Accepted : 2013.02.25
  • Published : 2013.0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spacial structure from rural space to urban space an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 of spacial restructure, focusing on the Hwamyeong-Dong of Buk-gu in Busan. Hwamyeong-Dong has changed from rural area to urban area because of spacial expansion owing to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The unique natural environment, rural village, etc. were disappeared and instead the apartment complex, commercial building, and so on were built. For this reason, historic and concrete place were vanished and so the spacial homogenization and uniformization were formed centering around apartment complex. But the singularity of Hwamyeong-Dong exposes in the way that unique history, custom and memory, trace of Hwamyeong-Dong preserved through the support and effort of the residents and that the Daechen stream changed to ecological stream. In addition, Hwamyeong-Dong altered heterogeneous, multi-layered urban space from homogeneous rural space in terms of the apartment supply sectors and scale, the distribution and kind of commercial facility, residents's composition. This has brought about the subdivision, hierarchization of the space as well as the residence, education, culture. Especially, Hwamyeong3-Dong that built to large scale apartment complex a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Hwamyeong2-Dong. Hwamyeong2-Dong is marginalizing step by step. However, It is found that the residents in Hwamyeong2-Dong are making an effort for liveable place with ecological residential community and educational cultural community as the center.

본 연구는 부산 북구 화명동을 대상으로 농촌에서 도시로의 전환에 따라 나타나는 공간구조의 변화 과정을 고찰하고 화명동 내외부의 관점에서 획일화, 위계화 등 공간구조의 재구성에 따른 문제점과 특성을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산업화, 도시화로 인한 도시공간의 팽창으로 농촌에서 도시로 변한 화명동은 고유의 자연환경, 자연마을 등이 사라지고 주거, 상업지역 등으로 바뀌었다. 이에 따라 역사적, 구체적 장소는 사라지고 개발과 발전이라는 명목 하에 전국 어디서나 볼 수 있는 아파트를 중심으로 연출되는 공간의 균질화와 획일화가 이루어졌다. 하지만 주민들의 힘과 노력으로 지켜낸 화명동 고유의 역사와 관습, 기억과 흔적들 그리고 생태하천으로 변모시킨 대천천 등에서 화명동만의 특이성을 드러내고 있었다. 또한 동질적인 농촌공간이었던 화명동은 아파트 공급주체와 규모, 산업시설의 종류와 분포, 주민들의 구성 등의 측면에서 이질적이고 다층적인 도시공간으로 변하였으며 이는 공간뿐 아니라 주거, 교육, 문화 등의 세분화, 위계화를 야기하고 있었다. 특히 대규모 아파트밀집지역으로 개발된 화명3동은 화명2동과 큰 격차를 드러냈으며 과거 중심지였던 화명2동은 주변화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화명2동에는 생태주거공동체와 교육문화공동체를 중심으로 살기좋은 마을을 만들기 위한 주민들의 움직임과 노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