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Critical Thinking of Philosophy as a Creative Method of Science: Neurophilosophical Explication

창의적 과학방법으로서 철학의 비판적 사고: 신경철학적 해명

  • Received : 2012.11.19
  • Accepted : 2013.01.07
  • Published : 2013.02.28

Abstract

This study is a proposal, which is the trial to explicate, in neurology, on how critical thinking as a creative method of sciences functions. The creative methods of sciences, even at present, are mostly the hypothetical insistences concerning with the logical processes of researches suggested from the philosophers of science; Popper, Kuhn, Hempel, or Lakatos. These insistences do excavate what process or approach can be scoped out of scientists' creativity. I call the tendency or approach of the researches, "Process Approach of Creativity (PAC)". From my view point, any PAC trial does not concern with how creative theories can actually be invented. On the other hand,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philosophical thinking abilities of scientists who invented new great theories. They mostly had some experiences to study philosophy while studying their science fields, thus had critical thinking abilities on their studies. From my point of view, critical thinking in philosophy raised questions as to their fundamental and basic (old) concepts and principles, and thus gave them new creative theories. I will try to explain this from the point of neurophilosophy. From the perspectives coming from "the state space theory of representation" of Paul & Patricia Churchland, the pioneers of neurophilosphy, the "creative theories" are the networks of topographic maps giving new comprehensive explanations and predictions. From these perspectives, I presuppose that the attitude of critical questioning revises the old networks of maps with back-propagation or feedback, and thus, is the generative power of searching new networks of maps. From the presupposition, I can say, it is important that scientists reflect on the basic premises in their academic branches for issuing out extraordinary creativity. The critical attitude of philosophy can make scientists construct the maps of new conceptual scheme by shaking the maps of the old basic premises. From this context, I am able to propose "Critical Thinking Approach of Creativity (CTAC)".

본 논문은 '창의적 과학탐구 방법으로 철학의 비판적 사고가 어떤 기능을 하는지'를 신경학적으로 설명하려는 하나의 가설적 제안이다. 지금까지 창의적 과학연구 방법은 주로 포퍼(Popper), 쿤(Kuhn), 헴펠(Hempel), 라카토슈(Lakatos) 등 과학철학자들이 제안한 과학의 논리적 '탐구과정'과 관련된 가설적 주장들이었다. 그러한 주장들은 어떠한 연구과정 또는 접근법이 창의성을 발휘하게 하는지를 모색하게 한다. 본 연구자는 그러한 탐구 경향 혹은 접근법을 "창의성 과정 접근법(Process Approach of Creativity: PAC)"이라 부르겠다. 그러나 본 연구자의 관점에 따르면, PAC를 모색하는 연구자들은 실질적으로 창의적 이론이 어떻게 도출되는지에 관심을 두지 않는다. 반면에 본 논문은 서양에서 새로운 이론을 창안했던 과학자들의 '철학적 사고 능력'에 초점을 맞춘다. 그들은 과학 연구 이외에도 대부분 철학을 공부한 경험이 있으며, 자신의 학문에 대한 비판적 사고를 할줄 아는 학자들이었다. 본 연구자의 관점에 따르면, 철학의 비판적 사고는 자신이 갖는 (낡은) 과학이론에서 핵심적 기초 개념과 원리에 대한 회의와 의문을 제기하게 하여, 새로운 창의적 이론을 얻게 한다. 본 연구는 이것을 신경철학의 관점에서 설명하려 한다. 신경철학의 창시자인 처칠랜드 부부(Paul and Patricia Churchland)의 "상태공간 표상이론(the state space theory of representation)"의 관점에서 전망해보면, "창의적 이론"이란 새로운 포괄적 설명과 예측을 제공하는 새로운 국소 대응도(topographic maps)의 연결망이다. 그 전망에서, 철학의 비판적 질문의 태도는 낡은 국소대응도 연결망의 오류를 역전파(back-propagation) 또는 피드백(feedback)으로 수정하게 할 것이며, 따라서 새로운 대응도 연결망을 탐색하게 만들 원동력이라고 본 연구자는 가정한다. 이 가정에서, 과학자들은 특별히 비범한 창의성(extraordinary creativity)을 위해 자신의 학문적 기초 가정들을 철학적으로 돌아보는 것이 중요하다. 철학의 비판적 태도는 낡은 기초 가정들의 대응도를 흔들어 과학자들이 새로운 개념체계의 국소 대응도를 형성하도록 해주기 때문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자는 "창의성 비판적 사고 접근법(Critical Thinking Approach of Creativity: CTAC)"을 제안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용주, 정진수, 박윤복, 강민정 (2003). 선언적 과학지식의 생성 과정에 대한 과학철학적 연구: 귀납 적, 귀추적, 연역적 과정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 23(3), 215-228.
  2. 권재슬 (2001). 과학 개념형성의 한 인지적 모형. 과학교육연구소.
  3. 김현승 (2010). 과학의 창의성에 대한 철학적 접근: 창의성 연구와 과학적 발견의 관계를 중심으로". 과학철학, 13(2), 117-146.
  4. 박제윤 (2006). 과학적 사고에 날개를 달아주는 철학의 나무. 도서출판 함께.
  5. 박제윤 (2007). 과학적 사고에 날개를 달아주는 철학의 나무2. 도서출판 함께.
  6. 백성혜 (2001). 아르키메데스는 무엇을 발견했을까?. 화학교육, 28(4), 60-67.
  7. 백성혜, 이상희(2011). 과학의 본성과 과학교육: 과학자의 창의적 사고과정에 대한 이해와 교육에의 적용문제 고찰. 한국과학철학회 2011년 학술대회논문집, 99-134.
  8. 백성혜, 김윤기, 홍예윤, 황신영 (2012). 기체입자 운동론에 관련된 과학자들의 창의적, 비판적 사고과정에서 나타난 과학철학적 관점의 변화가 과학교육에 주는 함의. 과학철학, 15(1), 79-99.
  9. 김왕동, 성지은(2009). 창의적 인재육성의 근본적 한계와 당면과제, 과학기술정책연구원, 32.
  10. 양일호, 정진수, 권용주, 정진우, 허명, 오창호 (2006). 과학자의 과학지식 생성 과정에 대한 심층 면담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 26(1), 88-98.
  11. 이경화, 성은현, 최병연, 박춘성, 전경원, 하종덕, 한순미 (2009). 초등학교 중학년의 창의성 교육 혁신 방안 연구. 창의력 교육연구, 9(2), 35-67.
  12. 이상원 (2007). 패러다임과 과학의 창의성. 2007년 한국과학철학회 발표집, 190-198.
  13. 이상욱 (2010). 과학자의 창조성은 어디에서 오는가. 한양대학교과학철학교육위원회, 이공계 학생을 위한 과학기술의 철학적 이해. 한양대학교출판부, 637-656.
  14. 홍성욱 (2003). 과학적 창조성, 천재를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계간 과학사상, 2003 여름.
  15. 홍성욱, 이상욱 (2004). 뉴턴과 아인슈타인, 우리가 몰랐던 천재들의 창조성. 창비.
  16. Andreasen, Nancy C. (2005). The Creative Brain: The Science of Genius. A Plume Book.
  17. Baer, John (1998). The Case for Domain Specificity of Creativity. Creativity Research Journal, 11(2), 173-177. https://doi.org/10.1207/s15326934crj1102_7
  18. Becker, Madelle (1995). Nineteenth-Century Foundation of Creativity Research. Creativity Research Journal, 8(3), 219-229. https://doi.org/10.1207/s15326934crj0803_2
  19. Bak, Per (1996). How Natural Work: The Self-organized Criticality, (정형채, 이재우 역, 2012. 자연은 어떻게 움직이는가: 복잡계로 설명하는 자연의 원리. 한승)
  20. Briskman, Larry (1981). Creative Product and Creative Process in Science and Art. Inquiry, 23(1), 83-106.
  21. Bullock T. H. (1984). Comparative neuroscience holds promise for quiet revolutions. Science, 225, 473-478. https://doi.org/10.1126/science.6740319
  22. Carson, Shelley (2010). Your Creative Brain: Seven Steps to Maximize Imagination, Productivity, and Innovation in Your Life. Harvard Health Publications: Harvard University.
  23. Chalmers, A. F. (1978, 1982, 1999). What is This Thing Called Science?, Open Univ. Press. (신중섭 외 역, 2012. 과학이란 무엇인가?. 서광사)
  24. Churchland, Paul M. (1989). A Neurocomputational Perspective: The Nature of Mind and the Structure of Science. Cambridge, MA: The MIT Press.
  25. Churchland, Patricia S. (2002). Brain-Wise, Studies in Neurophilosophy. The MIT Press.
  26. Churchland, Patricia S. (1992, 1999). The Computational Brain. Cambridge, MA: The MIT Press.
  27. Churchland, Paul M. & Churchland, Patricia S. (2002). Neural worlds and real worlds. Nat Rev Neurosci., 3, 903-907.
  28. Einstein, Albert (1922). The Meaning of Relativity. Princeton and Oxford: Princeton University Press.(고종숙 역, 2011. 상대성이란 무엇인가. 김영사)
  29. Einstein, Albert (1961). Relativity: The Special and the General Theory. Translated. by Robert W. Lawson, New York: Three Rivers Press. (장헌영 역, 2008. 상대성 이론: 특수 상대성 이론과 일반 상대성 이론. 지식을 만드는 지식)
  30. Feyerabend Paul (1975, 1988, 1993). Against Method. London: NLB, Atlantic Highlands: Humanities Press. (정병훈 역, 1987. 방법에의 도전, 한겨레)
  31. Fisher, Alec (2001). Critical Thinking: An Introduc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최원배 역, 2010. 피셔의 비판적 사고, 서광사)
  32. Fox, P. T. & Friston, K. J. (2012). Distributed processing; distributed function?. Neuroimage, 61, 407-426. https://doi.org/10.1016/j.neuroimage.2011.12.051
  33. Gardner, H. (1993). Creating Mind: An anatomy of creativity seen through the lives of Freud, Einstein, Picasso, Stravinsky, Eliot, Graham, and Gandhi. New York: Basic. (가드너, 임재서 역, 2004. 열정과 기질: 거장들의 삶에서 밝혀낸 창조성의 조건. 북스넷.)
  34. Godfrey-Smith, Peter (2003). An Introduction to the Philosophy of Science: Theory and Reality.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Chicago and London.
  35. Hanson, Norwood Russell (1958). Patterns of Discovery: An Inquiry Into The Conceptual Foundations of Science. UK, the Press of the University of Cambridge. (송진웅.조숙경 역, 2007. 과학적 발견의 패턴: 과학의 개념적 기초에 대한 탐구. 사이언스북스.)
  36. Hebb, Donald O. (1949). The Organization of Behavior: A Neuropsychological Theory. New York, Wiley.
  37. Hudson, Donnal L. & Cohen, Maurice E. (2000). Neural Network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for Biomedical Engineering. New York,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38. Hawkins, Robert D., and Eric R. Kandel (1984). Steps toward a cell-biological alphabet for elementary forms of learning. In G. Lynch, J. L. McGaugh, and N. M. Weinberger, eds. (1984). 385-404.
  39. Hempel, Carl G. (1966). Philosophy of Natural Science. Prentice-Hall, INC. (김유항 역, 1982, 과학철학. 인하대학교출판부)
  40. Jason, G. (1989). The Logic of Discovery. New York: Peter Lang.
  41. Kuhn, Tomas (1962, 1970). The Structure of Scientific Revolutions. 2nd ed.,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조형 역, 과학혁명의 구조.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42. Lakatos Imre (1978) The Methodology of Scientific Research Programmes.(신중섭 역, 2002. 과학적 연구 프로그램의 방법론. 대우학술총서 527, 아카넷.)
  43. Lawson, A. E. (2001). Promoting Creative and Critical Thinking Skill in College Biology. Bioscene, 27(1), 13-24.
  44. Mandler, G. (1994). Hypermnesia, incubation, and mind popping: On remembering without really trying. in C. Umilita and M. Moscovitch, Attention and Performance XV. Cambridge: MIT Press.
  45. Newton, Isaac (1687). Mathematical Principles of Natural Philosophy. (translaed Andrew Motte 1729. revised Florian Cajori, 1934. Sir Isaac Newton's Principia. Vol. 1, 2, The System of the World., 이무현 역, 1998. 프린키피아 1, 2, 물체들의 움직임. 교우사)
  46. Newton, Isaac (1704). Optics (Commentary, Nicholas Humez., ed., Octavo, 1998. Opticks or, a treatise of the reflexions, refractions, inflexions and colours of light : also two treatises of the species and magnitude of curvilinear figures. Palo Alto, Calif.: Octavo.
  47. Miller, A. I. (1996). Insight of genius: imagery and creativity in science and art. New York, NY: Copernicus.(김희봉 역, 2001. 천재성의 비밀: 과학과 예술에서의 이미지와 창조성. 사이언스북스.)
  48. Nickles, T. (1980). Introductory Essay: Scientific Discovery and The Future of Philosophy of Science. ed., in Thomas Nickles, Scientific Discovery, Logic, And Rationality. Dordrecht, Holland; Boston.
  49. Penrose, Roger (1989). Emperor's New Mind. Oxford University Press. (박승수 역, 1996. 황제의 새 마음.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50. Popper, Karl (1934). The Logic of Discovery. (translation of Logik der Forschung). Hutchinson, London, 1959. (박우석 역, 1994. 과학적 발견의 논리. 고려원)
  51. Root-Bernstein, Robert & Michele (1999). Sparks of Genius. Boston, MA, Eco's Library Publisher.(박종성 역, 2007. 생각의 탄생. 에코의 서재.)
  52. Rose, John (1972, 2001). A Historical Introduction to the Philosophy of Science. Oxford University Press.(최종덕 역, 1999. 과학철 학의 역사, 동연총서 205. 동연)
  53. Steptoe, A. (1998). Genius and The Mind. Oxford University Press.(조수철 외 역, 2008. 천재성과 마음. 학지사)
  54. Sternberg, R. J. and Lubart. T. I. (1999). The concept of creativity: Prospects and Paradigms. In Sternberg, R. J. (ed.), Handbook of Creativity. Cambridge, U.K.;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55. Weisberg, R. W. (1999). Creativity and Knowledge: A Challenge to Theories. In Sternberg, R. J. (ed.), Handbook of Creativity. Cambridge, U.K.;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56. Weisberg, R. W. (1999). Creativity: Understanding Innovation in Problem Solving, Science, Invention, and Arts. Hoboken, N. J. : John Wiley & Sons.(김미선 역, 2009. 창의성: 문제 해결, 과학, 발명, 예술에서의 혁신. 시그마프레스.)
  57. http://joongang.joinsmsn.com/article/aid/2 011/08/12/5610468.html?cloc=n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