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inical Results of Arthroscopic Bankart Repair with Absorbable Knot-tying and Absorbable Knotless Suture Anchors

견관절 전방 불안정증에서 관절경적 방카트르 봉합술 시 흡수성 매듭 봉합 나사못과 흡수성 비 매듭 봉합 나사못을 이용한 임상적 치료결과 비교

  • Kim, Seong-Jun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Konkuk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Lu, Yao-Jia (The Subei People's Hospital of Jiangsu Province) ;
  • Oh, Kyung-Soo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Konkuk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Bahng, Seung-Chul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Konkuk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Park, Jin-Young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Konkuk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김성준 (건국대학교 병원 정형외과) ;
  • ;
  • 오경수 (건국대학교 병원 정형외과) ;
  • 방승철 (건국대학교 병원 정형외과) ;
  • 박진영 (건국대학교 병원 정형외과)
  • Received : 2013.01.22
  • Accepted : 2013.02.22
  • Published : 2013.02.28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clinical results of absorbable knot-tying and absorbable knotless suture anchors in arthroscopic Bankart repair.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compared the patients who underwent arthroscopic Bankart repairs using absorbable knottying suture anchors (59 patients: KT Group), and absorbable knotless suture anchors (52 patients: KL Group).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evaluations were performed by Rowe scores, patient satisfaction score, visual analogue scale (VAS), American shoulder and elbow surgeons (ASES) score, range of motion (ROM), and re-dislocation rate. Results: Postoperative VAS, Rowe scores, ASES score were significantly not different between the 2 groups (VAS: p=0.250, Rowe score: p=0.412, ASES: p=0.052). Mean postoperative VAS was 0.5 in KT Group and 0.8 in KL Group (p=0.250), and limited ROM was noted only in one patient in KL Group. Mean Rowe score was 94.3 in KT Group and 96.3 in KL Group (p=0.412), and mean ASES score was 97.3 in KT Group and 94.0 in KL Group (p=0.052). Re-dislocation rate were no different between the 2 groups. Conclusion: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clinical outcomes and re-dislocation rate between Knot-Tying and Knotless repairs.

목적: 방카르트 병변을 동반한 견관절 전방 불안정증에 대한 관절경적 치료에서 흡수성 매듭 봉합 나사못 과 흡수성 비매듭 봉합 나사못의 임상결과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본연구는 흡수성 매듭 봉합 나사못과 흡수성 비 매듭 봉합 나사못을 이용하여 관절경적 방카르트 봉합술을 시행 받고, 1년 이상 추적관찰이 가능했던 11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흡수성 매듭 봉합 나사못 이용한 환자군(KT군)은 59명, 흡수성 비 매듭 봉합 나사못(KL군)을 이용한 환자 군은 52명이였다. 평균 추적 관찰 기간은 각각 25.9개월과 37.0개월이었다. 임상적 평가는 통증의 주관적 시각 척도(visual analogue scale for pain, VAS for pain), 관절 운동 범위, Rowe score, American shoulder and elbow surgeons (ASES) score, 그리고 재탈구율을 측정, 비교하였다. 결과: 주관적 시각척도에 의한 통증의 정도는 흡수성 매듭 봉합 나사못을 이용한 환자 군은 평균 0.5점, 흡수성 비 매듭 봉합 나사못을 이용한 환자 군은 0.8점이었고(p=0.250), 수술 후 관절 운동 범위 제한은 매듭 흡수성 매듭 봉합 나사못을 이용한 환자 군에서는 발견되지 않았고, 흡수성 비 매듭 봉합 나사못을 이용한 환자 군에서는 1예가 발생하였다. Rowe score는 각각 평균 94.3점 및 96.3점(p=0.412), ASES score는 각각 97.29점과 94.03점이었다(p=0.052). 술 후 재 탈구는 KT군에서 4예, KL군에서는 1예가 있었으며 양 군에서 재 탈구 빈도는 통계적 의의가 발견되지 않았다(p>0.05). 결론: 흡수성 매듭 봉합 나사못과 흡수성 비 매듭 봉합 나사못을 이용한 방카르트 병변 봉합술은 임상적으로 우수한 결과를 보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두 방법 사이에 재 탈구 율을 포함한 결과의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