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어메니티자원 분석을 통한 비안도 어촌 마을 특화계획

An Establishment Specialization the Planning of Fishing Villages in Biando via Analysing Amenity Resources

  • 이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
  • 이두형 (한국농어촌공사) ;
  • 강현경 (상명대학교 환경조경학과) ;
  • 안경진 (뉴캐슬대학교 건축.조경학과)
  • Lee, Chan (Graduate school, University of Seoul) ;
  • Lee, Doohyeong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
  • Kang, Hyunkyung (Dept. of Environmental Landscape Architecture, Sangmyung University) ;
  • An, Kyungjin (School of Architecture Planning and Landscape, University of Newcastle upon Tyne)
  • 투고 : 2012.10.18
  • 심사 : 2013.03.18
  • 발행 : 2013.03.30

초록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planning of Biando fishing village where can be well-known fishing villages in Korea. In order to have highlighted a tourist attractions, the identities of Biando fishing village were investigated natural resources, amenity resources, ecological resources and so on. Based on these resources, the planning of Biando fishing village considers to between community facilities and community spaces. To create the attractive fishing village, the study was underwent 5 process. The 5 process is followed as; 1) Choose the planning site 2) Literature review 3) Fields survey 4) Site Analysis 5) Spatial Planning. Through those results, Biando fishing village were classified 4 spaces. Each 4 spaces have got their own theme. The main focus of 4 spaces was associated with communicating between space and space, connecting between space and space. The first space theme was "Meeting the geese" and the main focus of planning was entry space creating. The second space theme was "Walking in the heaven" and the main focus of planning was ecological resource exploring space and relaxing space. The third space theme was "Secret of shingle beach" and the main focus of planning was leisure and experience space. Last space theme was "Falling into the sea" and the main focus of planning was trekking and leisure space.

키워드

참고문헌

  1. 가평군, 2011, 연하리 테마마을 조성 통합디자인, 223.
  2. 강릉시, 한국농어촌공사, 2012, 어촌종합개발사업 기본계획서, 160.
  3. 고종화, 2002, 농어촌체험관광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8.
  4. 국립공원관리공단, 2000a, 시설편람(토목-3)-탐방로 정비(기술4210-319), 33.
  5. 국립공원관리공단, 2000b, 공원시설의 설치 등에 관한 기준, 236.
  6. 군산시, 2006, 群山 島嶼誌(군산 도서지), 222.
  7. 군산시, 2010, 군산통계연보 2009(제15회), 455.
  8. 군산시, 2011, 어청도 도서개발유형화사업 기본계획서, 137.
  9. 군산시, 물과 돌이 아름다운 비밀의 섬 비안도-비안도 찾아가고 싶은 섬 가꾸기 사업-, 50.
  10. 김상범, 이승연, 김은자, 이승주, 이상영, 2009, 농촌 경관의 보전과 경관관리를 위한 농촌경관계획 수립 및 적용방안에 관한 기초연구-예산군을 사례로-, 농촌계획 15(4), 161-172.
  11. 김성귀, 홍장원, 박상우, 2001, 어촌관광 유형별 개발방안 연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연구보고서, 275, 1-170.
  12. 김영택, 이상창, 강은지, 김용근, 2011, 향토자원을 활용한 농촌마을 활성화 계획-가평군 운악산 포도향 권역을 대상으로-, 농촌계획, 17(3), 113-124.
  13. 김재민, 2001, 어촌.어항의 관광상품화 방안, 호텔관광연구, 16, 5-34.
  14. 농림부, 1996, 어촌지역 관광개발에 관한 연구-제1차년도-, 농림부, 358.
  15. 농촌자원개발연구소, 2004, 농촌어메니티 자원 활용 사례, 농촌진흥청, 9-10.
  16. 안계복, 2010, 어메니티자원 분석을 통한 어촌마을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농촌계획 16(4), 147-156.
  17. 안영길, 2006, 커뮤니티 공간 개념 도입을 통한 관광어촌 활성화 계획-변산 대항리를 사례로-,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3.
  18. 윤성수, 김지현, 리신호, 서교, 김한중, 2006, 어메니티를 기반으로 한 노산하석권역 농촌마을 개발계획, 농촌계획, 12(4), 43-51.
  19. 윤희정, 조순재, 김진선, 강방훈, 2006, 농촌어메니티 자원분석을 위한 평가항목 개발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41(2), 93-105.
  20. 이동근, 윤은주, 김은영, 조순재, 2007, 농촌어메니티 자원에 기초한 농촌경관평가에 관한 연구, 농촌계획, 13(1), 11-17.
  21. 이병훈, 2012, 스토리텔링구현을 통한 농촌관광마을 에서의 장소성 확보-개실마을의 사례를 중심으로-, 농촌계획 18(1), 47-57.
  22. 이승우, 홍장원, 이윤정, 2008, 어촌관광을 통한 어촌 활성화 방안,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연구보고서, 477, 1-154.
  23. 이승우, 홍장원, 이윤정, 2009, 어촌의 잠재적 가치 창출을 위한 명품 관광어촌 조성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연구보고서, 118.
  24. 정남수, 2005, 농촌어메니티 자원의 평가를 위한 조사표와 항목개발, 농촌계획, 11(4), 9-15.
  25. 최영완, 김영주, 2012, 농촌공간의 구조적 특성에 바탕으로 한 어메니티자원 분류체계 재정립, 농촌계획, 18(1), 1-8.
  26. 환경부, 2006, (제3차)전국자연환경조사 2006: 비안도, 환경부, CD 발행.
  27. 油井正昭, 1987, 國立公園と國定公園內の自然硏究路に關する硏究, 千葉大園學報 39: 37-52.
  28. Butler, R., C. M. Hall and J. M. Jenkins, 1998, Tourism and Recreation in Rural Areas, New York, John Wily & Sons.
  29. OECD, 2001, Environmental Indicators for Agriculture ;Methods and Results, Vol. 3. OECD, 409.
  30. Richard Florida, 2011, Who's Your City?: How the Creative Economy Is Making Where to Live the Most Important Decision of Your Life, New York, Basic Books, 384.
  31. Sam H. Ham, 1992, Environmental Interpretation: A Practical Guide for People with Big Ideas and Small Budgets, Colorado, North American Press, 456.

피인용 문헌

  1. The Current State of the Korean Rural Amenity Resource Database vol.20, pp.4, 2014, https://doi.org/10.7851/ksrp.2014.20.4.263
  2. 지속가능한 어촌마을 개발을 위한 중요 요소 분석 vol.26, pp.1, 2013, https://doi.org/10.7851/ksrp.2020.26.1.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