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Basic Study for the Education Programs of Multi-cultural Family Counselors : Focus Group Interviews of the Multi-cultural Staffs

다문화상담자 교육 콘텐츠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 다문화 현장 전문가 FGI를 중심으로

  • 김현아 (서울사이버대학교 상담심리학과) ;
  • 이자영 (서울사이버대학교 군경상담학과)
  • Received : 2013.01.29
  • Accepted : 2013.02.20
  • Published : 2013.03.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roblems of a multi-cultural family counseling as a support for the families in order to suggest efficient education programs for counselors. For these reasons, this study used interviews of three focus-groups consisting of 11 experts each other, and then the qualitative data was analyzed. The analysis of data was conducted by two doctors and one master and investigated by a multi-cultural counselor. As a result, 5 categories, 13 sub-categories, and 46 definitions were identified. Each five categories were the problems of multi-cultural counseling, effective multi-cultural counseling skill, the qualities of a counselor with multi-cultural attitude and recognition, multi-cultural knowledge factors and effective teaching methods. At last, implications, practical use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es were also discussed in this study.

본 연구는 현재 다문화상담지원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에 따른 효율적인 다문화상담자 교육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지역의 다문화 현장 전문가 11명을 대상으로 3개의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한 후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박사 2인과 석사1인이 실시하였으며, 외부 다문화 전문가 1인에게 검수를 받았다. 연구 참여자들과의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한 자료 분석 결과 5개의 범주의 13개 하위영역 46개의 개념이 도출되었다. 5개의 각 범주는 다문화상담의 문제점, 효과적인 다문화상담전략, 필요한 다문화적 지식 요소, 다문화적 태도와 인식을 갖춘 상담자 자질, 효과적인 다문화상담의 교육방식이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의 활용방안, 연구 의의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안을 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원진숙, 글로벌 시대의 다문화 교육, 서울: 사회평론, 2010.
  2. 주은선, 이현정, "결혼이주여성 대상 다문화 상담 관련 종사자들의 현장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제29권, 제4호, pp.817-846, 2010.
  3. 강기정, 이무영, 강복정, "다문화 가족상담 모델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 한국가족복지학, 제16권, 제3호, pp.225-245, 2011.
  4. 김현아, 정성란, "새터민의 가족상담 모형 개발. 상담학 연구", 제9권, 제3호, pp.1333-1356, 2008.
  5. 오윤자, 정민자, 라휘문, 박정윤, 김상만,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운영모델 및 발전방안, 보건복지가족부, 2009.
  6. 양미진, 이동훈, 고홍월, 김영하, 남현주, "현장전문가가 지각한 다문화 청소년 상담의 특성에 대한 질적 분석", 상담학 연구, 제13권, 제3호, pp.1181-1200, 2012.
  7. 민무숙, 김이선, 이춘아, 이수영, 다문화 전문 인력양성현황과 정책과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09.
  8. 김승권, 김유경, 강복정, 신숙자, 최준영, 다문화가족 교육관계자 지원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방안연구, 한국교육개발원.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0.
  9. 양미진, 고홍월, 이동훈, 김영화, 다문화 청소년 상담매뉴얼 개발, 서울: 한국청소년상담원, 2011.
  10. 정지윤, 다문화사회 전문가 양성과정의 실태와 요구분석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2010.
  11. 이재경, 박언주, 김효정, 조영주, 대학생 다문화 감수성 함양 교육모듈 개발 연구, 문화체육관광부, 2010.
  12. 이성순, "다문화 전문 인력 양성 현황과 과제 -다문화사회 전문가 2급 양성사례를 중심으로", 다문화콘텐츠연구, 제10권, pp.241-268, 2011.
  13. 김종철, "다문화가정 자녀의 행동특성 분석을 통한 교수전략 개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제5호, pp.277-283, 2008.
  14. 권충훈, 김훈희, "다문화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경험 선정 아이디어",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8권, 제8호, pp.293-301, 2008.
  15. 하혜숙, 김태호, 김인규, 이호준, 임은미 역, 다문화상담-이론과 실제. 서울: 학지사, 2011.
  16. R. A. Kruger, Analyzing and Reporting Focus group results (Focus group kit 6),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 1999.
  17. 한국여성정책연구원, 다민족.다문화사회로의 이행을 위한 정책패러다임 구축(III), 서울: 한국여성개발원, 2009.
  18. T. Cross, B. Bazron, K. Dennis, and M. Issacs, Towards a culturally competent system of care. Washington, DC: Georgetown University Child Development Center, 1989.
  19. 최명민, 이기영, 최현미, 김정진, 문화적 다양성과 사회복지, 학지사, 2009.
  20. 강기정, "다문화전문인력 양성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제17권, 제2호, pp.153-168, 2012.
  21. 한재희, "한국의 가족문화와 다문화상담. 진리 논단", 제16권, pp.117-133, 2004.
  22. A. McPhatter, Cultural competence in child welfare: What is it? How do we achieve it? What happens without it? Child Welfare, Vol.76, No.1, pp.255-278, 1997.
  23. 김광수, 다문화사회와 학교상담의 역할과 과제. 서울교대 다문화연구소, 2008.
  24. http://www.apa.org/pi/guide.html.
  25. E. S. Neukrug, Counseling theory and practice .Brooks/Cole. 2011.
  26. D. W. Sue, P. Arredondo, and R. J. McDavis, "Multicultural counseling competencies and standards: A call to the profession,"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Vol.70, pp.477-486, 1992. https://doi.org/10.1002/j.1556-6676.1992.tb01642.x
  27. S. Sue and D. Sue, Counseling the culturally diverse: Theory and practice. Pacific Grove, CA: Brooks/Cole, 2003.
  28. 정의철, "다문화사회와 다문화교육: 참여적 다문화 미디어교육 사례", 비교한국학회, 제19권, 제1호, pp.73-113, 2011.
  29. F. E. Mitchell and H. C. Triandis, "The Culture Assimilator: an Approach to Cross-cultural Training,"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55, pp.95-102, 1971. https://doi.org/10.1037/h0030704
  30. 윤영주, 한국 체류 중국동포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31. S. I. Vondracek and F. W. Vondracek, "The manipulation and measurement of selfdisclosure in pre-adolescents," Merrill- palmer Quartwely, Vol.17, pp.51-58, 1971.
  32. C. R. ley, Overcomming unintentional racism in counseling and therapy (2nd ed.). Thousand O 만, CA: Sage,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