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atient Classification Technique based on Computerized Clinical Data and Nursing Workforce Management : Analysis case of a general Hospital

전산화된 임상 데이터에 기반한 환자 분류 체계 및 간호 인력 관리 방안 : 일개 종합병원 분석 사례

  • Received : 2013.02.20
  • Accepted : 2013.03.12
  • Published : 2013.03.28

Abstract

To develop a technique classifying patients based on computerized clinical data followed by validity verification by comparing with nurse's examination. Class scores were determined by nurses for a day on 348 resident patients in 7 wards of a general hospital according to KPCS-1. The class scores were simultaneously evaluated by reviewing the computerized clinical data acquired from the hospital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These two class scores were both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different departments as well as disease patterns. Intraclass correlation analysis resulted a very high correlation coefficient of 0.96(p<0.01) between the two scoring methods, but the clinical data scores were somewhat higher. An automated patient classification system seemed possible to be developed in future with further enhancement of the present results based on computerized clinical data without manual scoring, which can be applied for performance evaluation as well as workforce planning.

본 연구는 전산화된 임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환자 중증도를 분별하는 기법을 고안하고 간호사가 작성한 분류 점수와 비교 분석하여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일개 종합병원의 7개 병동 재원환자 348명에게 하루동안 간호사가 수행한 행위를 근거로 환자분류(KPCS-1: Korean patient classification system for nurses) 점수를 간호사가 작성하고, 병원정보시스템에 저장되어 있는 임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산정, 수집한 점수와 비교하였다. 간호사가 작성한 점수와 임상 데이터를 이용한 환자 중증도 점수 모두 진료과 및 환자유형에 따라 점수 분포를 비교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환자분류의 타당성이 동일하게 검증되었으며, 두 방법 간 에는 상관계수 0.96(p<.001)의 높은 상관성이 있었다. 임상 데이터 기법이 다소 높은 점수를 보였으나 일부 영역의 보완을 거친다면 간호사가 환자분류를 작성하지 않고, 병원정보시스템에 저장된 임상 데이터에 연동하여 자동으로 환자 중증도를 분별하는 시스템 개발이 가능하고 이를 간호인력의 성과관리 및 수급계획 등에 활용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문실, 방희숙, 김정아, 김도형, 김일원, 김복순등, "시스템 다이내믹스를 이용한 적정 법정 간호인력 산정에 관한 연구", 임상간호연구, 제10권, 제1호, pp.82-96, 2004.
  2. 문원희, 간호인력관리정보시스템 개발(환자분류에 근거하여), 충남대학교 박사 학위논문, 2006.
  3. 박경순, 박민호, 김경옥, 박세진, 김성식, 이인광, 이혜란, 차은종, "이동전화를 이용한 천식질환원 격관리시스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호, pp369-378, 2012.
  4. 박현애, 변남수, 조인숙, 간호와 정보기술, 현문사, 1997.
  5. 송경자, 김은혜, 유정숙, 박현애, 송말순, "한국형환자분류도구(KPCS-1)의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 및 간호시간 환산지수 산출 연구", 임상간호연구, 제16권, 제2호, pp.127-140, 2010.
  6. 안성훈, 박혜영, 고대곤, "교육용 콘텐츠를 활용한 수업의 효과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5권, 제6호, pp.293-300, 2005.
  7. 정태웅, "호텔경영정보시스템(HMIS)에 대한 사용자 인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8권, 제12호, pp.386-395, 2008.
  8. 조용애, 신현주, 조정구, 정미경, 이복남, 송경자, "WMSN을 이용한 중환자 분류도구의 개발과 적용", 임상간호연구, 제11권, 제1호, pp.71-84, 2005.
  9. 조인숙, "전자의무기록 데이터의 이차활용을 위한 구조화된 데이터 질에 대한 탐색", 의료정보학회지, 제15권, 제4호, pp.423-431, 2009.
  10. 조인숙, 윤호연, 박상임, 이현숙, "욕창발생 예측도구 개발을 위한 전자의무기록 데이터 이용 가능성", 의료정보학회지, 제14권, 제2호, pp.161-168, 2008.
  11. 조인숙, 정은자, "전자의무기록을 이용한 욕창 발생 예측 베이지안 네트워크 모델 개발", 대한간호학회지, 제41권, 제3호, pp.423-431, 2011.
  12. 최희원, 박현애, "종합병원의 간호정보화 수준별 간호정보시스템 요구도 분석", 대한의료정보학회지, 제14권, 제4호, pp.405-416, 2008.
  13. F. G. Abdellah and E. Levine, Better patient care through nursing research(2nd ed.). NY:Macmillan, 1979.
  14. B. Marianne, C. Kathleen, and S. Ken, "Using clinical data to capture nurse workload," Computers, Informatics, Nursing, Vol.28, No.4, pp.229-234, 2010. https://doi.org/10.1097/NCN.0b013e3181e1e57d
  15. G. P. Marcia and E. K. Anna-christina, "Utilization of patient classification system in Swedish hospitals and the degree of satisfaction among nursing staff,"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Vol.15, pp.472-480, 2007. https://doi.org/10.1111/j.1365-2834.2007.00732.x
  16. R. D. Zielstorff, C. Hudgings, and S. Grobe, Next generation nursing information system, Washington, DC: American Nurses' Association, 1993.

Cited by

  1. Policy Implications of Nurse Staffing Legislation vol.13, pp.6,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6.3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