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X선 촬영에서 조사야 크기에 따른 산란선량의 변화

Change of the Scattered Dose by Field Size in X-ray Radiography

  • 최성관 (광주보건대학교 방사선과)
  • 투고 : 2013.01.04
  • 심사 : 2013.02.04
  • 발행 : 2013.03.28

초록

본 연구에서는 손, 머리, 복부 등에 대한 X선 촬영 시행 시 조사야 크기를 최적화할 경우와 최대화할 경우 검사목적부위로부터 30cm 거리에서의 X선 산란선량이 각각 어느 정도인지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손, 머리, 복부 등에 대한 X선 산란선량은 첫째, 소인촬영의 경우 조사야 크기를 최적화하였을 때 각각 $0.08{\mu}Sv$, $4.39{\mu}Sv$, $5.56{\mu}Sv$로 나타났고, 조사야 크기를 최대화하였을 때 각각 $0.58{\mu}Sv$, $33.47{\mu}Sv$, $35.93{\mu}Sv$로 나타났으며, 둘째, 성인촬영의 경우 조사야 크기를 최적화하였을 때 각각 $0.40{\mu}Sv$, $14.51{\mu}Sv$, $18.86{\mu}Sv$로 나타났고, 조사야 크기를 최대화하였을 때 각각 $2.78{\mu}Sv$, $107.40{\mu}Sv$, $117.52{\mu}Sv$로 나타났다(P<0.001). 결론적으로, X선 촬영 시 조사야 크기를 필요한 만큼만으로 최대한 줄여주어 최적화시켰을 때에 최대화 시켰을 때보다 피사체 주변의 X선 산란선 발생량은 약 6~7배 정도 감소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cattered dose of X-ray at a distance of 30cm from the area to be examined when X-ray field is the most optimized and maximized when X-ray is performed on hand, skull and abdomen. As a result of scattered dose of X-ray on hand, skull and abdomen, first, when X-ray field was the most optimized upon adult X-ray examination, it was $0.08{\mu}Sv$, $4.39{\mu}Sv$ and $5.56{\mu}Sv$, respectively. When x-ray field was maximized, it was $0.58{\mu}Sv$, $33.47{\mu}Sv$ and $35.93{\mu}Sv$, respectively. Second, when X-ray field was the most optimized upon pediatric X-ray examination, it was $0.40{\mu}Sv$, $14.51{\mu}Sv$ and $18.86{\mu}Sv$, respectively. When x-ray field was maximized, it was $2.78{\mu}Sv$, $107.40{\mu}Sv$ and $117.52{\mu}Sv$, respectively(P<0.001). As a result, when the size of X-ray field was decreased down to be necessary and optimal upon X-ray examination, emission of scattered X-ray around specimen is reduced approximately 6-7 times as much as that when it was maximized.

키워드

참고문헌

  1. 신귀순, 방사선물리학, 신광출판사, 2005.
  2. 박수성, 김건상, 이관세, 오용호, 이용철, 박경진, 김건중, 진단방사선원리, 대학서림, 2000.
  3. 나수경, 한상효, "엑스선 촬영실의 공간산란선 발생 인자에 관한 연구", 방사선기술과학, 제32권, 제4호, p.397, 2009.
  4. 조평곤, 이준협, 김윤식, 이창엽, "전산화 단층촬영실의 산란선 측정에 대한 연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 제26권, 제2호, p.38, 2003.
  5. 안봉선, "X선 일반촬영 시 산란선량에 관한 연구", 대한의료영상기술연구학회지, 제4권, 제1호, pp.35-36, 2005.
  6. Faiz M. Khan, The Physics of Radiation Therapy, Williams & Wilkins, 1994.
  7. 전민철, 임현수, 한만석, "일반촬영 시 거리역자승 법칙에 따른 산란선 감약에 관한 연구", 대한방사선기술과학, 제34권, 제3호, pp.186-187, 2011.
  8. 나수경, 한상효, "엑스선 촬영실의 공간산란선 발생 인자에 관한 연구", 대한방사선기술과학, 제32권, 제4호, pp.394-397, 2009.
  9. 박창희, "이동형 X선 장치를 이용한 흉부촬영 시공간선량률에 관한 연구", 대한의료영상기술연구학회지, 제8권, 제1호, p.74, 2009.
  10. 조평곤, "투시 검사실 내 공간산란선 분포 측정",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10호, pp.349-353,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10.3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