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Metropolitan Neighborhoods and Homicide

도시지역의 사회구조적 특성과 살인범죄와의 인과관계 : 서울시 행정동을 중심으로

  • 정진성 (순천향대학교 경찰행정학과) ;
  • 강욱 (경찰대학교 경찰학과)
  • Received : 2013.01.28
  • Accepted : 2013.02.22
  • Published : 2013.03.28

Abstract

This study attempted to test the causal effect of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metropolitan neighborhoods on crime, based on the ecological model of crime explanation. To this end, a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for Seoul's 424 Dong Districts. Results showed that the incidence of homicide increases as much as the scales of economic disadvantage, family disruption, and commercial land use go worse. It suggested that family integrity is one of the most strong and consistent factors that could deter crime in neighborhood's contexts. Economic disadvantage and commercial land use were also critical targets as crime-generating factors. Reasoning with the results of past studies implied that neighborhood-specific approaches need to be developed for effective crime prevention. Although a few limitations could raise a caveat against such interpretation of the results, the value of this research would not be simply denied as the first attempt to utilize all Dong districts of Seoul.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ontributes to activating Dong level research and developing effective crime control policy.

본 연구는 도시지역의 사회구조적 특성이 범죄에 미치는 영향을 생태학적 범죄이론에 근거하여 검증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서울시의 424개 행정동을 대상으로 살인범죄에 대한 음이항 회귀분석을 실시했다. 그 결과, 기초수급자비율이 높을수록, 세대당인구수가 적을수록, 숙박 음식업비율이 높을수록 살인범죄가 증가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온전한 가족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증명해보임과 동시에, 도시지역에서는 숙박 음식업비율과 기초수급자비율이 범죄유발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보여준 결과였다. 과거의 시군구 대상 연구들과 더불어 유추하면 지역 특성에 맞는 맞춤형 범죄예방책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살인범죄에 국한되고 횡단적 연구설계가 이루어지는 등의 몇 가지 한계점들이 있었지만, 서울시의 전체 행정동을 분석단위로 한 최초의 범죄연구로서 향후 동 단위 연구의 활성화와 효과적인 범죄예방책 마련에 기여한 의미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http://news.naver.com/main/hotissue/read.nhn? mid=hot&sid1=100&cid=909465&iid=664883& oid=005&aid=0000539753&ptype=011
  2. J. Cheong, Neighborhood Disorder, Dilapidated Housing, and Crime: Multilevel Analysis within a Midsized Midwestern City Context. A Dissertation for Ph.D., Michigan State University, 2008.
  3. 박성훈, 김준호, "범죄현상에 대한 사회생태학적 접근 : 지역요인 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형사정책연구, 제23권, 제2호, pp.259-293, 2012.
  4. 오미진, 도시범죄에 영향을 미치는 도시환경특성에 관한 연구 : 서울시 5대 범죄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2011.
  5. 정진성, 김우중, "지역사회 범죄연구와 가변적 공간단위의 문제(MAUP)", 경찰학연구, 제12권, 제2 호, pp.27-47, 2012.
  6. 정진성, 곽대훈, "지역사회의 생태학적 변인이 범죄율에 미치는 영향 : 성장곡선모형을 이용한 종단적 분석", 형사정책연구, 제19권, 제3호, pp.251-290, 2008.
  7. 김동근, 윤영진, 안건혁, "토지이용에 따른 도시범죄에 대한 연구", 국토계획, 제42권, 제7호, pp.155-168, 2007.
  8. 이성우, 조중구, "공간적, 환경적 요인이 범죄피해에 미치는 영향", 서울도시연구, 제7권, 제2호, pp.57-76, 2006.
  9. 이재열, 강상진, 방하남, 이명진, 박경숙, 은기수, 한준, 이윤석, 사회과학의 고급계량분석 : 원리와 실제, 서울대학교출판부, 2007.
  10. 황선영, 황철수, "GIS를 활용한 도시 범죄의 공간패턴분석", 국토계획, 제38권, 제1호, pp.53-66, 2003.
  11. 김진혁, "살인범죄의 특성 및 대응방안", 한국공안행정학회보, 제11권, 제2호, pp.29-63, 2002.
  12. 정진성, 박현호, "지역사회의 구조적 특성이 살인범죄에 미치는 영향 : 전국 시군구를 대상으로한 음이항 회귀분석", 형사정책연구, 제21권, 제1호, pp.91-119, 2010.
  13. R. D. Baller, L. Anselin, S. F. Messner, G. Deane, and D. F. Hawkins, "Structural Covariates of U.S. County Homicide Rates: Incorporating Spatial Effects," Criminology, Vol.39, pp.561-590, 2001. https://doi.org/10.1111/j.1745-9125.2001.tb00933.x
  14. 정진성, 황의갑, "방범용 CCTV의 범죄예방효과에 관한 연구 : 천안아산 지역 읍면동을 중심으로", 한국공안행정학회보, 제21권, 제1호, pp.183-209, 2012.
  15. R. J. Sampson and S. Raudenbush, "Systematic Social Observations of Public Spaces: A New Look at Disorder in Urban Neighborhoods," The Am. J. of Sociology, Vol.105, pp.603-651, 1999. https://doi.org/10.1086/210356
  16. P. Wilcox, N. Quisenberry, D. T. Cabrera, and J. Shayne, "Busy Places and Broken Windows? Toward Defining the Role of Physical Structure and Process in Community Crime Models," Sociological Quarterly, Vol.45, pp.185-207, 2004. https://doi.org/10.1111/j.1533-8525.2004.tb00009.x
  17. E. M. Beck and S. E. Tolnay, A Festival of Violence : An Analysis of Southern Lynchings, 1882-1930,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1995.
  18. A. C. Cameron and P. K. Trivedi, Regression Analysis of Count Data,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8.
  19. K. C. Land, P. L. McCall, and D. S. Nagin, "A Comparison of Poisson, Negative Binomial, and Semiparametic Mixed Poisson Regression Models with Empirical Applications to Criminal Careers Data," Sociological Methods and Research, Vol.24, No.2, pp.387-442, 1996. https://doi.org/10.1177/0049124196024004001
  20. 한은진, "와인수요의 결정요인 분석 : 절단된 포아송 모형의 적용", 외식경영연구, 제12권, 제1호, pp.59-79, 2009.
  21. 정진성, 황의갑, "살인범죄의 원인에 대한 거시적 분석 : GIS를 활용한 공간회귀모델링", 형사정책, 제22권, 제1호, pp.157-184, 2010.
  22. 김두섭, 강남준, 회귀분석 : 기초와 응용, 나남, 2008.
  23. D. A. Belsley, E. Kuh, and R. E. Welsch, Regression Diagnostics: Identifying Influential Data and Sources of Collinearity, John Wiley, 19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