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Form of Seok(舃) in the Period of Joseon

조선시대 석(舃) 연구

  • Received : 2012.10.06
  • Accepted : 2013.01.22
  • Published : 2013.02.28

Abstract

Seok, shoes worn for rituals that originated in China, is worn as part of a formal dress in Korea. The Seok for men were worn with Myeonbok(冕服: kingly ceremonial costume) and Wonyugwanbok(遠遊冠服) and the Seok for Jeokui(翟衣: queenly ceremonial costume) and Jangsam(長衫). Myeonbok, Wonyugwanbok, Jeokui and Jangsam were ceremonial costumes of ancient times. This paper examines Seok, which has never been the focal point of a study, and focuses on the period of Joseon(1392~1897). It was possible to concretely identify its changes in each of the periods and genders by means of the literature and picture data. It turns out from this paper that a unique Korean style emerged in the days of Kings Yeongjo(英祖: 1694~1776) and Sunjo(純祖: 1790~1834). The Seok that were imported from China after the Goryeo period included a neck part, which was a departure from its original form. However, during this period, fences were added on the top of the shoes, and rings were added to thread laces in Seok from China. Women wore their Seok in this period with different ornaments in accordance with the different situations.

Keywords

References

  1. 오희경 (1982), 朝鮮朝 靴鞋工藝에 關한 考察-形態 및 裝飾性을 中心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44-45.
  2. 조진애 (1986), 우리나라 신에 관한 考察,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34-36.
  3. 김지희 (1988), 우리나라 신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5-7, 39-41.
  4. 조선희 (1996), 東北아시아 신 文化에 關한 硏究-靴.鞋.履를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33-65, 94.
  5. 박성실 (2004), 朝鮮時代 靴.鞋.履에 관한 연구, 靴.鞋.履,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편, 서울: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pp. 173-176.
  6. 金東旭 (1962), 冕服考 (上, 下), 鄕土서울 14, 15, 서울: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7. 유희경 (1972), 冕服에 關한 硏究-우리나라 冕服을 中心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107-109.
  8. 유희경 (1973), 冕服에 關한 硏究, 韓國文化硏究院 論叢, 22, 韓國文化硏究院, pp. 46-47.
  9. 이경자 (1978), 朝鮮朝 中後期 宮中 服飾 硏究, 韓國文化硏究院 論叢, 32, 韓國文化硏究院, pp. 21-22.
  10. 홍나영 (1982), 朝鮮王朝의 王妃法服에 관한 硏究,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61-62.
  11. 김영재 (1982), 法服衍義-여자법복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2-15.
  12. 金明淑 (1983), 朝鮮時代 冕服의 考察-國葬都監儀軌 服玩圖說을 中心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77-78.
  13. 洪旻均 (1986), 釋奠祭禮服飾硏究,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60-61.
  14. 김명숙 (1992), 朝鮮時代 王世子 冕服, 服飾, 18, p. 162.
  15. 金明淑 (1994), 韓國과 中國의 袞冕에 관한 硏究,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 임상임, 임영주 (1997), 적의(翟衣)에 관한 소고, 원광대학교대학원 논문집 19, p. 116.
  17. 이민정 (2002), 高麗 初期 太廟 祭禮服飾 硏究,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김경미 (2011), 조선말기 적의 일습에 관한 고찰 및 제작, 건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32-33.
  19. 이승해 (2011), 고려시대 官服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78-86, 114-115.
  20. 高光林 韓國의 冠服 (和成社, 1990).
  21. 노주연 (2001), 朝鮮時代 宮中과 士大夫의 婚禮 節次와 婚禮服 硏究-女子服飾을 中心으로-,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65-66.
  22. 조효순 (2002), 朝鮮朝 女子 婚禮服 硏究, 한복문화, 5, p. 20.
  23. 박현미 (2003), 조선시대 신분에 따른 여자혼례복 연구-궁중과 민가를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39-40.
  24. 김정규 (2010), 朝鮮時代 婚禮儀式에 관한 硏究-女子婚禮服을 中心으로-, 원광대학교 동양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63.
  25. 조선희 (2007), 화혜장, 서울: 민속원, pp. 18-20.
  26. 朝鮮古蹟硏究會 편 (1934), 樂浪彩篋, 京城: 朝鮮古蹟硏究會, p. 56.
  27. 原田淑人(1988), 中國服裝史硏究, 常任俠, 郭淑芬, 蘇兆祥 譯, 合肥: 黃山書社, p. 81.
  28. 高麗史, 권7, 世家7 文宗.
  29. 高麗史, 권19, 世家19 明宗.
  30. 高麗史, 권72, 輿服志1, 冠服: 王冠服, (王)祭服, 王世子冠服.
  31. 世宗實錄, 세종26년 윤7월 23일(庚子)
  32. 高麗史, 권72, 輿服志1, 冠服: "(王)祭服. ......毅宗朝詳定......袞冕九旒......赤舃, 赤繶.赤純.靑絇.綦帶."
  33. 高麗史, 권72, 輿服志1, 冠服: "百官祭服. ......毅宗朝詳定......七旒冕......赤舃, 赤繶.赤純.靑絇.綦帶. 五旒冕......赤舃, 赤繶.赤純.靑絇.綦帶."
  34. 高麗史, 권72, 輿服志1, 冠服: "(王)視朝之服. ......恭愍王十九年五月. 太祖高皇帝賜遠遊冠七梁......絳紗袍, 紅裳, ......白襪, 黑舃."
  35. 高麗史, 권72, 輿服志1, 冠服: "王妃冠服. 恭愍王十九年五月. 太祖高皇帝孝慈皇后賜冠服......翟衣靑質, 繡翟九等, ......靑舃."
  36. 國朝喪禮補編, 권1, '大斂'
  37. 太宗實錄, 태종3년 10월 27일(辛未).
  38. 世宗實錄, 세종26년 3월 26일(丙子).
  39. 世宗實錄, 세종27년 8월 3일(甲戌).
  40. 端宗實錄, 단종즉위년 윤9월 17일(丙子).
  41. 睿宗實錄 예종1년 윤2월 4일(己未).
  42. 成宗實錄 성종1년 5월 1일(戊寅).
  43. 文宗實錄, 문종즉위년 5월 17일(庚申): "大紅素紵絲舃一雙."
  44. 國朝五禮儀序例, 권1, 吉禮 '祭服圖說.王世子冕服'.
  45. 國朝五禮儀序例, 권2, 嘉禮 '冠服圖說.遠遊冠服': "舃, 制與冕服同."
  46. 世宗實錄, 세종7년 12월 25일(庚寅).
  47. 世宗實錄, 세종8년 1월 1일(丙申).
  48. 춘관통고 권12 吉禮.
  49. 춘관통고 권49 嘉禮.
  50. 국조오례통편 권3 吉禮.
  51. 국조오례통편 권6 凶禮.
  52. 國朝續五禮儀補序例, 권1, 吉禮, '王世孫冕服圖說'.
  53. 國朝續五禮儀補序例, 권2, 嘉禮, '王世子遠遊冠服圖說' [王世孫冠服同, 唯冠梁玉數異.]
  54. 周禮, 권8, 屨人: "王吉服有九, 舃有三等. 赤舃爲上, 冕服之舃." 鄭玄 注: "凡屨.舃, 各象其裳之色."
  55. 春官通考, 권12, 吉禮, '宗廟.原儀祭服圖說' 殿下冕服.
  56. (昭顯世子, 孝章世子)殯宮都監儀軌, 殯宮三房 '大斂'.
  57. (仁祖, 孝宗, 顯宗, 肅宗, 景宗)殯殿都監儀軌, 殯殿三房 '大斂'.
  58. (正祖, 純祖, 憲宗, 哲宗)殯殿魂殿都監儀軌, 殯殿三房 '大斂'.
  59. (宣祖, 昭顯世子, 仁祖, 孝宗, 玄宗, 肅宗, 景宗, 孝章世子)國葬都監儀軌, '服玩秩'.
  60. (宣祖, 昭顯世子, 仁祖, 孝宗, 玄宗, 肅宗, 景宗, 孝章世子)國葬都監二房儀軌, '服玩秩'.
  61. (昭顯世子, 孝章世子)禮葬都監儀軌, '服玩秩'.
  62. (昭顯世子, 孝章世子)禮葬都監二房儀軌, '服玩秩'.
  63. (英祖)國葬都監儀軌, '本房所掌.服玩秩'.
  64. (英祖)國葬都監二房儀軌, '本房所掌.服玩秩'.
  65. (正祖, 純祖, 憲宗, 哲宗)國葬都監儀軌, '造作秩.服玩秩'.
  66. (正祖, 純祖, 憲宗, 哲宗)國葬都監二房儀軌, '造作秩.服玩秩'.
  67. 國朝喪禮補編, 圖, '大斂'.
  68. 國朝喪禮補編, 圖, '服玩': "冕服諸具, 已見於大斂條. 圖說並略之, 只於制樣之稍異者, 錄識之."
  69. 國朝喪禮補編, 圖, '大斂'; 권1, '大斂'의 諸具: "用平日所御者."
  70. 國朝五禮儀序例, 권5, 凶禮, '服玩圖說': "體制, 半於平時. 其圖形見於吉禮者或易知者, 今皆略之."
  71. 國朝喪禮補編, 圖, '服玩': "用平日所御者外, 新造者用常制五分之一. 受敎."
  72. 尙方定例, 권2, 別例上.
  73. 正祖大王國葬都監儀軌, 권2.
  74. 國葬都監二房儀軌 '造作秩' 服玩秩.
  75. 유송옥 (1991), 朝鮮王朝宮中儀軌服飾, 서울: 修學社, p. 21.
  76. 景慕宮儀軌, 권1, 祭服圖說: "殿下冕服."
  77. 박성실 (2004), 朝鮮時代 靴.鞋.履에 관한 연구, 靴.鞋.履,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편, 서울: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p. 174.
  78. 宮內府去來案文牒, 照會, 1904년 2월 18일,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자료검색일 2012. 9. 22, http://db.history.go.kr
  79. (懿仁王后)殯殿魂殿都監儀軌, 儀註, '襲'.
  80. (仁穆王后)殯殿魂殿都監儀軌, 儀註, '襲'.
  81. (仁宣后)殯殿都監儀軌, 儀註, '襲'.
  82. (仁敬王后)殯殿魂殿都監儀軌, 儀註, '襲', 殯殿三房 '襲'.
  83. (明聖王后)殯殿魂殿都監儀軌, 儀註, '襲', 殯殿三房 '襲'.
  84. (仁顯王后)殯殿都監儀軌, 儀註, '襲', 殯殿三房 '襲'.
  85. (宣懿王后)殯殿都監儀軌, 儀註, '襲', 殯殿三房 '襲'.
  86. 서울역사박물관 (2007), 追封冊封儀軌, 서울: 서울역사박물관, 표지.
  87. 宣祖實錄, 선조 36년 4월 27일(癸丑).
  88. 春官通考, 卷49, 嘉禮, '王妃禮服'.'世子嬪禮服'.'王世孫嬪禮服'.
  89. 國朝五禮通編序例, 卷3, 吉禮, '祭服圖說' 王妃禮服.王世子嬪禮服.王世孫嬪禮服.

Cited by

  1. 『(인조장렬왕후)가례도감의궤』 노의(露衣) 일습(一襲) 고증 제작 vol.42, pp.2, 2018, https://doi.org/10.5850/jksct.2018.42.2.3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