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search for The Environmental Optimization of Dose and Image quality in Digital Radiography

디지털 방사선촬영 환경에서 선량의 최적화 및 영상품질에 대한 연구

  • Lee, Kwang Jae (Department of Radiology, Eulji General Hospital) ;
  • Kim, MinGi (Department of Electronic & Information Engineering, Korea University) ;
  • Lee, Jong Woong (Department of Radiology, Kyung Hee Hospital at Gangdong) ;
  • Kim, Ho Cheol (Department of Radiologic Technology, Eulji University)
  • 이광재 (을지병원 영상의학과) ;
  • 김민기 (고려대학교 전자 및 정보공학과) ;
  • 이종웅 (강동경희대학병원 영상의학과) ;
  • 김호철 (을지대학교 방사선학과)
  • Received : 2012.10.17
  • Published : 2013.02.25

Abstract

Digital Radiography (DR) has improved a quality of resolution based on a wide dynamic range, high detective quantum efficiency (DQE), and modulation transfer function (MTF), compared with film/screen(F/s). Unlike expectation that a low level of radiation can be used in examination, high level of signal to noise ratio(SNR) due to over-exposure caused increase of exposed dose to patients. Also, the auto exposure control (AEC) using Kilovolage(kVp) in F/S can cause over-exposure. Hence, in this study, we proposed a proper method for using DR, in which effect of tubing Kilovolage on device's image, DR MTF measurement with changes of tubing current (mA), and the quantitative evaluation of skull phantom captured images' PSNR were evaluated. Changes of contrast with tubing Kilovolage can be improved by retouching, and MTF changes according to tubing current(1.41~1.39 lp/mm in 50% area, and 3.19~2.8 lp/mm in 10% area) does not influence on resolution of image. As a result, high tubing Kilovoltage, and tubing current will be suitable to use of DR.

Digital Radiography(DR)는 film/screen(F/S)과 비교하여 넓은 계조와 높은 Detective Quantum Efficiency(DQE), Modulation Transfer function(MTF)를 바탕으로 화질의 개선과 저 선량으로 검사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됐지만 기대와는 다르게 과노출이 Signal to Noise Ratio(SNR)향상을 가져 오면서 환자 피폭선량의 증가를 가져오게 되었으며 이는 Dose Creep이라는 개념으로 설명 된다. DR에서의 선량 증가 이유는 F/S의 촬영에서 사용했던 관전압(kVp)을 고정 적용하여 Auto Exposure Control(AEC)를 사용하기 때문에 과노출을 유발 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은 DR에서 적합한 일반촬영 방법을 제안하고자 관전압이 대조도에 주는 영향, 관전류(mA)변화에 따른 MTF 측정, 머리 모형을 촬영한 영상의 Peak Signal to Noise Ratio(PSNR) 측정을 통해 정량적 평가를 시행 하였다. 그 결과 관전압에 의한 대조도 변화는 후보정 이후 개선이 가능하며, 관전류에 의한 MTF 측정 결과 50%영역은 1.41~1.39 lp/mm, 10% 영역은 3.19~2.8 lp/mm로 관전류 변화에 따른 초점크기 변화는 영상의 해상력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영상의 PSNR측정 결과는 관전압과 관전류가 증가 하여도 90kVp를 제외하고 30dB 이상으로 시각에 의한 영상의 차이를 인지하기 어렵다.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디지털 일반촬영에서 관전압은 80kVp 이상 100kVp이하, 관전류는 선예도와 상관 관계가 없으므로 선량과 조사시간을 단축 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사용하기를 제안한다.

Keywords

References

  1. Cornelia Schaefer-Prokop, Ulrich Neitzel, Henk W. Venema, Martin Uffmann, and Mathias Prokop, Dose containment and control of image quality, Eur Radiol ; 18(9): pp.1818-1830. September 2008. https://doi.org/10.1007/s00330-008-0948-3
  2. International Commission on Radiological Protection (ICRP):93 pp.12-21
  3. TERRI L FAUBER, EoD, R.T.(R)(M) High kilovoltage Digital Exposure Techniques and Patient Dosimetry. Radiologicn Technology Vol.82/No.6 July/August 2011.
  4. 김정민 외 4명, 방사선 화상정보학실험, 펴냄 홍, pp.30-45, 2000.
  5. 박수성, 김건상, 이관세, 이용철, 진단방사선원리, 대학서림, pp.376, 1985.
  6. 강희두, Wide Step Wedge 영상분석법을 이용한 디지털 X선장치의 항구성 평가, 광운대학교 대학원, 11쪽, 학위논문(박사) 2009.
  7. 이종웅, Exposure횟수에 따른 IP화질 변화의 정량 평가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의용과학대학원, 43 쪽, 학위논문(석사) 2011.
  8. 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International Standard IEC 62220-1, medical electrical equipment-characteristics of digital imaging devices-Part 1: determination of the detective quantum efficiency, Geneva 2003.

Cited by

  1. PSNR Evaluation of P Company DSA System between Server Display Monitor and Client Display Monitor vol.8, pp.1, 2014, https://doi.org/10.7742/jksr.2014.8.1.43
  2. DR 시스템에서 화질 개선을 위한 VGR 알고리즘의 유용성에 관한 연구 vol.14, pp.6, 2020, https://doi.org/10.7742/jksr.2020.14.6.763
  3. DR 시스템에서 모드 변화에 따른 구리필터의 유용성 평가 vol.44, pp.1, 2013, https://doi.org/10.17946/jrst.2021.44.1.39
  4. 부비동 디지털 엑스선검사에서 자동노출제어 조절인자의 최적화를 통한 조사선량 감소 효과 vol.44, pp.3, 2013, https://doi.org/10.17946/jrst.2021.44.3.1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