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ison of Time-Management Ability and ADL between Elderly People Living Alone and Living with Family

독거노인과 가족동거 노인의 시간관리능력과 일상생활활동의 비교

  • Yoon, Jeong-Ae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aejeon Health Sciences College) ;
  • Lee, Hyang-Sook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aejeon Health Sciences College) ;
  • Cha, Jung-Jin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aejeon Health Sciences College) ;
  • Noh, Jong-Su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aejeon Health Sciences College) ;
  • Park, Ji-Hoon (Institute of Child & Adolescent Development, Daejeon Health Science College) ;
  • Oh, Dong-Hwan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Kyung Hee University Medical Center)
  • 윤정애 (대전보건대학교 작업치료과) ;
  • 이향숙 (대전보건대학교 작업치료과) ;
  • 차정진 (대전보건대학교 작업치료과) ;
  • 노종수 (대전보건대학교 작업치료과) ;
  • 박지훈 (대전보건대학교 작업치료과 아동발달연구소) ;
  • 오동환 (경희대학교병원 재활의학과 작업치료실)
  • Received : 2013.10.31
  • Accepted : 2013.12.10
  • Published : 2013.11.30

Abstract

Objective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basic data to find health care plans for the elderly by comparing time-management ability and ADL and identify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groups with subjects of elderly people living alone and living with family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Method : A total of 80 elders who lived alone or with family that were aged 65 or older were selected with MMSE-K, 40 people were selected as subjects for each group. For time-management ability, a questionnaire was used. ADL were assessed by using FIM. The study period was May to June 2013. Result : Comparison of scores for time-management ability and FIM of the elderly who live alone or living with family did not show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omparison of detailed scores between group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being social interaction, problem solving and memory in social cognition items among detailed items. Conclusion : Through this study, we understood that social cognitive function of the aged living alone who had less opportunity of interaction compared to that of the aged living with family was lowered. Based on this, development and study on various programs should be made with consideration of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within community-based occupational therapy in the future.

목적 : 본 연구는 대전광역시에 거주하는 독거노인과 가족동거 노인들을 대상으로 시간관리능력과 일상생활 활동을 비교하고, 집단 간의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노인의 건강관리 방안을 찾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한다. 연구방법 : 연구대상은 65세 이상의 독거노인과 가족동거 노인을 MMSE-K로 선별한 후 각 40명씩 총 80명을 선정하였다. 시간관리능력은 설문지를 사용하였고, 일상생활활동은 FIM을 사용해 평가하였다. 연구기간은 2013년 5월부터 6월까지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자료분석은 SPSS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결과 : 독거노인과 가족동거 노인의 시간관리능력 및 FIM에 대한 총점의 점수비교는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집단 간 세부항목 점수의 비교에서는 FIM의 세부항목 중 사회적 인지항목에서 사회적 상호작용, 문제해결능력, 기억력 모두 두 집단 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가족동거 노인에 비해 상호작용의 기회가 부족한 독거노인이 사회적 인지기능에 저하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지역사회 작업치료 안에서 노인의 인구 사회학적인 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과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