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1960년대 강북 고층업무시설의 외피형성에 관한 연구

An Study on the Skin Fabrication of Office Building of the 1960's Located in the Northern Metropolitan Seoul Area

  • 발행 : 2013.09.25

초록

This thesis aims to focus on the distinctive character of contemporary Korean architecture by focusing on the formative process of out skin fabrication of high-rise office buildings in the Sixties. This decade was characterized by a policy that intended to transform whole national territory as productive vehicle of economy. Urban migration and consequent settlement in quatitative level had taken place, as demand for monumental buildings that could physical represent economic growth had been growing. The skin of these building is a manifestation of the figurative premise of each architect that correspond to the urbanization and economic development actualized by central government. This thesis proposed three categories to understand different strategies taken by various architects toward the urban phenomenon and infrastructure condition of the decade under specula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안창모, 한국현대건축 50년, 재원, 2008
  2. 미셀 푸코, 이정우 역, 지식의 고고학, 민음사, 2000
  3. 손정목, "서울 도시계획 이야기 2권", 한울, 2003
  4. 김성우 외, "건축가 김정수 작품집", 공간사, 2008
  5. 신영훈 외, "우리건축 100년", 현암사, 2001
  6. 윤승중, "한국의 현대건축 1876-1990", 기문당, 1994
  7. 한국건축가 협회, "서울의 건축", 발언, 1995
  8. 정인하, "김중업 건축론", spacetime, 2003
  9. 정인하, "김수근 건축론", 시공문화사, 2000
  10. 권태문, "건축미학과의 만남", 시공문화사, 2001
  11. 정인국, "현대 건축론", 야정문화사, 1970
  12. 박길룡, "한국 현대건축의 유전자", 공간사, 2005
  13. 김세진 전봉희, 1960년대 사무소 건축의 시기적 특징, 대한건축학회 v.23, 2003
  14. 정형봉, "1960-70년대 한국 현대건축의 사회학적 해석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1994
  15. 김세진, "1960년대 서울지역 사무소 건축의 전개와 전환기적 성격",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2004
  16. 김일현, "1960년대 한국건축의 성격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1994
  17. 김훈 외, "1960-1970년대 한국 업무시설에서의 고층 인식의 변화",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26, 2010
  18. 송률, "한국 근대 건축의 발전과정에 관한 연구", 서울대, 1992
  19. 전우식 외, "서울 종로구 관철동 삼일로 빌딩의 건립배경과 건축특징에 관한 연구", 한국건축역사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10
  20. 전상백, "초고층 건물과 구조", "건축"135, 대한건축학회지, 1987
  21. 현대건축 1961년 4월호
  22. 공간지 1987년 6월호, '오늘의 한국건축이 안고 있는 과제:탈서구와 탈기능의 의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