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rrelation between Paldang Reservoir Discharge and Causes of Algal Blooming

팔당호 방류량과 조류발생요인들의 상관성

  • Yoo, Hosik (Dept. of Environmental Energy Eng., Kyonggi University) ;
  • Lee, Byonghi (Dept. of Environmental Energy Eng., Kyonggi University) ;
  • Rhee, Seung-Whee (Dept. of Environmental Energy Eng., Kyonggi University)
  • 유호식 (경기대학교 환경에너지공학과) ;
  • 이병희 (경기대학교 환경에너지공학과) ;
  • 이승희 (경기대학교 환경에너지공학과)
  • Published : 2013.09.30

Abstract

Main causes of algal bloom was studied in Paldang reservoir. Statistical approach was tried using meteorological and water quality data. Algae alert system showed that more than ten days were counted in a year, once it happened in Paldang reservoir. Alert dates increased in recent 5 years.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chlorophyll-a and other indexes did not showed strong relations resulting in coefficients less than 0.4. Among them, sunshine duration, BOD, and flow rate were appeared relatively main causes of algal blooming. Sunshine duration and BOD showed positive relation while flow rate did negative one, which is resonable for photosynthetic microorganisms. Water temperature and total phosphorus, which were presumed probable main causes before study, resulted in low correlation coefficients.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discharge flow and rainfall, water temperature showed positive relation due to seasonal effect.

본 연구에서는 최근 자주 거론되는 녹조발생의 주요 원인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지난 십년이상의 기상자료 및 수질에 대한 실측자료를 이용하여 녹조원인에 대한 통계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팔당호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조류예보일수에 일정한 추세를 발견할 수는 없지만 발생년도에는 10일 이상씩 나타나는 특징을 보여 주고 있으며 최근 5년간은 발령일수가 증가하고 있어 주의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유속의 자료 대신 사용된 방류량을 보면 조사기간 중 세 배 정도의 차이가 나는 해도 관찰되었다. 클로로필a에 대한 다른 지표들의 상관계수를 보면 뚜렷한 한 가지 지표로 나타나지 않아서 상관계수 0.4를 넘는 요인은 없었다. 그 중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나는 것은 일조시간, BOD, 그리고 방류량이며 일조시간과 BOD는 양의 상관 그리고 강수량과 방류량은 음의 상관을 나타내고 있어서 광합성미생물에 의한 현상으로서 타당한 결과로 보였다. 수온과 총인농도는 중요한 요인이 될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결과는 낮은 상관성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판단할 때 조류발생에는 여러 가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그중 일조시간, BOD, 그리고 유속 또는 방류량은 중요한 요인으로 판단된다. 방류량과 다른 요소와의 상관관계도 조사하였다. 강수량과 수온이 양의 상관을 보이는 것은 계절적인 효과로 타당해 보였다.

Keywords

References

  1. 환경부, 조류예보제 운영 매뉴얼. pp.3 (2008).
  2. 유호식, 김지태," 팔당호에서 나타난 조류발생요인들의 상관성" 경기대학교 산업기술종합연구소 논문집 Vol 42, pp.111-118 (2012).
  3. 기상청, 지상관측자료-과거자료-요소별자료. (2012).
  4. 물환경정보시스템, http://water.nier.go.kr. (2012).
  5. 환경부, 수질오염총량관리제 고시훈령규정집. pp.47 (2007).
  6. 환경부, 수질측정망운영계획, pp.6 (환경부고시 제2012-97호, 2012. 5.30). (2012).
  7. 한강홍수통제소, 한국수문조사연보, 수위편, 댐별 일평균 방류량 (1995-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