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mushroom exports in Gyeongbuk Province, Korea

경북지역 버섯 수출의 특징 분석

  • Jo, Woo-Sik (Gyeongbuk Province Agricultural Technology Administration, Organic Agriculture Research Institude) ;
  • Hwang, Ji-Sung (Gyeongbuk Province Agricultural Technology Administration, Organic Agriculture Research Institude) ;
  • Kim, Dong-Geun (Gyeongbuk Province Agricultural Technology Administration, Organic Agriculture Research Institude) ;
  • Yoo, Young-Bok (Mushroom Research Division, Department of Herbal Crop Research, National Inst. of Horicultural & Herbal Science, RDA)
  • Published : 2013.03.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he Gyeongbuk area of mushroom exports by increasing exports strategy, and export support for establishing a policy analysis of the factors that you can take advantage of the basic information to get. Mushroom industry has made a rapid growth over the past 20 years in Korea. Gyeongbuk province mushroom exports account for about half of the country, enoki and total exports in 2009, and 81%, increased to 14% in 2010 and 2010, the maximum exports (9,415 tons) and the maximum exports (14,840 grand)was recorded. King oyster mushroom to represent the Netherlands in Europe, exports were higher exports to China is negligible. In the case of China in 2001, 5 spots automated mushroom factory, production, but only 8,000 tons in 2011, 652 mushroom factory, production of 1,100,000 tons very quickly grew.

경북지역 버섯수출의 요인들을 분석하여 수출증대 전략과 수출지원 정책을 수립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기초정보를 얻고자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가. 팽이버섯과 새송이버섯 품목의 경북지역 버섯수출량은 전국 버섯수출량의 약 절반을 차지하고 있으며, 팽이버섯은 총 수출액이 2009년 81%, 2010년 14%로 증가하여 2010년에는 최대수출량(9,415톤)과 최대수출액(14,840천$)을 기록했다. 이후 2011년 -15%, 2012년 -19%로 다소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새송이버섯의 경우는 수출액이 2010년 52%, 2011년 18%, 2012년 6.5%로 증가하여 완만한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 나. 2012년 기간의 경북지역 팽이버섯의 수출지역별 수출액을 보면 2010년에 대중국 수출액 2,325천$, 대홍콩 수출액 7,653천$에서 2012년에 대중국 196천$, 대홍콩 1,666천$로 각각 -91%(2,129천$), -78%(5,987천$)로 급감하였는데 같은 시기의 경북지역 총수출액도 14,841천$에서 10,113천$로 -31%(4,728천$) 감소하였다. 다. 새송이버섯의 경우 팽이버섯과는 달리 유럽지역을 대표하는 네덜란드가 수출비중이 높게 나타났으며, 중국으로의 수출은 미미한 수준이다. 라. 중국의 경우 2001년 공장형버섯농장 5개소, 생산량이 8천톤에 불과하였으나 2011년에는 652개의 공장형버섯농장, 생산량은 1,100천톤으로 매우 빠르게 급성장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경수, 유창현, 차동열. 1995. 최신식용버섯 재배기술. pp. 443.
  2. 문한필, 김경필, 어명근, 이지용. 2012. 신선농산물 수출의 결정 요인과 지원 효과 분석. 농촌경제. 35(1) : 69-90.
  3. 안병일, 김성용, 김윤식, 홍기성. 2009. 버섯 수출의 특징 분석. 식품유통연구. 26(2) : 19-36.
  4. 유영복, 장현유, 고인수, 윤미정, 김응철, 김하원, 신용광, 김연중, 이찬, 이송화, 유광호. 2012. 2011 한국버섯산업연감. (사)한국버섯생산자연합회. pp. 43-58.
  5. Zhang JX, Wang HX, Chen MJ. 2012. MUSHROOM SCIENCE XVIII. THE 18TH CONGRESS OF THE INETRNATIONAL SOCIETY FOR MUSHROOM SCIENCE. pp. 964.

Cited by

  1.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mushroom exports in Gyeongbuk province, Korea vol.13, pp.3, 2015, https://doi.org/10.14480/JM.2015.13.3.1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