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 안보의식 제고 방안 연구 - 대학생 통일안보 대토론회 및 설문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

On the Study of College Student's Security Awareness - On the fucus of college student's survey & seminar for unification and security -

  • 김규남 (신성대학교 전문사관과)
  • 투고 : 2013.12.04
  • 심사 : 2013.12.30
  • 발행 : 2013.12.30

초록

국가안보란 국가와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적으로부터 지키는 것이며, 안보의식은 국민이 국가안보에 관심을 갖고 생각하며 살아야 하는 것으로 그 나라 국민의 안보의식은 국가의 존망이 달린 것이다. 대학생들이 인생의 목표를 세우고 열심히 최선을 다하며 열정적으로 노력해야 함은 당연하다. 그러나 국가의 안보가 보장되지 않는다면 그 꿈과 목표는 실현 불가능 할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 대학생들은 대부분 초 중 고교를 거치면서 입시위주 교육을 받았다. 또한 대학생이 되어서도 취업 준비를 위한 경력 쌓기에만 많은 시간을 할애하다보니 정작 중요한 국가안보에 대해 무관심하던 시점에 금번, "대학생 통일안보 대 토론회"에서 토의된 사항과 대토론회 이후 대학생들의 달라진 안보의식 분석 결과를 토대로 '대학생 안보의식 제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definition of the national security is that the lives of its people and the property of the country must be kept from the enemies. The people in the country must have the awareness of national security in their mind, and the fate of the country relies on the security awareness of the people. Most of college students are to have their own goals trying to fulfil in their life. If the national security is not guaranteed, it will not be possible to achieve their dreams and goals. Currently, most of college students have been trained only for passing college entrance exams in their growth processes, and some of them are confused with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identity. College students are spending most of time on the preparation for getting employment, so they are indifferent to the national security of their country. After the seminar for college student's unification and security, we will survey how much they could be changed and propose the guidelines for college student's security awareness.

키워드

참고문헌

  1. 임병묵, "한반도의 안보 환경과 현실", 국가발전미래교육협의회 워크숍 자료. pp2-6. 2012.
  2. 아크로팬, 2013. 1. 4일자 中인용.
  3. NEWSis, 2013. 7. 2일자 中인용.
  4. 신성대학교, "2013 교과과정." 2012 中인용.
  5. 조영갑, "국가안보학", 선학사. p19. 2006.
  6. 국가법령정보센타, "대한민국헌법", 1987.
  7. 평화문제연구소 "동서독 통합 20주년 독일통일바로알기", 서울 평화문제연구소, pp9-10. 2010.
  8. 평화문제연구소, "동독 슈타지의 침투 그리고 서독의 방어", 서울 평화문제연구소, pp150-151.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