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Level Inference System using Education Video Watching Behaviors

학습동영상 학습행위 기반의 학습레벨 추론시스템

  • Kang, Sang Gil (Department Computer and Information Engineering, Inha University) ;
  • Kim, Jeonghyeok (Department Computer and Information Engineering, Inha University) ;
  • Heo, Nojeong (Depart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Dongyang University) ;
  • Lee, Jong Sik (Department Computer and Information Engineering, Inha University)
  • 강상길 (인하대학교 컴퓨터 정보공학과) ;
  • 김정혁 (인하대학교 컴퓨터 정보공학과) ;
  • 허노정 (동양대학교 정보통신학과) ;
  • 이종식 (인하대학교 컴퓨터 정보공학과)
  • Published : 2013.09.30

Abstract

Video-demand learning through E-learning continuously increases on these days. However, not all video-demand learning systems can be utilized properly. When students study by education videos not matched to level of their own, it is possible for them to lose interest in learning. It causes to reduce the learning efficiency.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we need to develop a recommendation system which recommends customized education videos according the study levels of students. In this paper, we estimate the study level based on the history of students' watching behaviors such as average watching time, skipping and rewinding of videos. In the experimental section, we demonstrate our recommendation system using real students' video watching history to show that our system is feasible in a practical environment.

다양한 형태의 학습 시스템이 생겨나고 있다. 그 중 E-러닝을 통한 동영상 학습에 대한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하여 모든 이가 이러한 시스템을 적합하게 활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학업능력이 떨어지는 학생은 자신의 학습수준보다 높은 동영상을 학습할 경우 학습에 대한 흥미를 잃을 수 있고, 학업능력이 뛰어난 학생의 경우는 수준에 맞지 않는 동영상을 제공할 경우에는 심화 학습의 기회를 잃어버릴 수 있어 학습효율성을 저하하게 된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선호할 만한 정보를 예측하고 필터링 된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추천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학생 레벨추천 시스템을 제안한다. 학생그룹과 학생간의 학습정보를 바탕으로 학습동영상과 학생의 레벨을 추론하고, 이를 토대로 동영상에 대한 학생의 상대적 난이도를 제시하고, 적합한 난이도의 동영상을 추천한다. 실험을 통하여 본 연구의 추천 서비스의 유용성을 검증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남궁지영, 김위정, 김양분, 학교 교육 실태 및 수준 분석: 1-3주기 초. 중. 고등학교 종합 분석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 최숙영, 양형정, 자기 주도적 학습을 지원하기 위한 온톨로지 기반의 이러닝 시스템,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제13권 제5호, pp. 29-38, 2010.
  3. Henze, N., Personal Readers: Personalized Learning Object Readers for the Semantic Web. Proceedings of 12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rtificial Intelligence in Education, AIED '05, 2005.
  4. Jovanovic, J., Gasevic, D. and Devedzic, V., Dynamic Assembly of Personalized Learning Content on the Semantic Web. Proc. of 3rd European Semantic Web Conf., LNCS, 2006.
  5. 김성기, 김영학, 윤현주, 학습 성과 개선을 위한 사례기반 학습의 실험적 연구 및 평가,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제14권 제6호, pp. 53-64, 2011.
  6. Claypool, M., Gokhale, A., Miranda, T., Mumikov, P., Netes, D. and Sarti, M., "Combining Content- Based and Collaborative Filters in an Online Newspaper," ACM SIGIR Workshop on Recommender Systems, Berkeley, CA, 1999.
  7. 신선영, 범정부 클라우드 컴퓨팅 활성화 종합계획. Korea Local Information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e, Vol. 61, 2010.
  8. 권순범, 남동수, 이태욱,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의 교육적 활용 방안 모색,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pp. 123-126, 2011.
  9. 이규수, 스마트교육을 위한 EaaS 클라우드 서비스 모델 개발 및 구현,. 2013.
  10. kai Yu, Anton Schwaighofer, Volker Tresp, Xiaowei Xu and Hans-peter Kriegel, "Probabilistic Memory- Based Collaborative Filtering", IEEE Transactions on knowledge and data Engineering, Vol. No. 1 January 2004.
  11. Zan Huang, Daniel zeng, and Hsinchun Chen, "A Comparison of Collaborative-Filtering Recommendation Algorithms for E-commerce", IEEE Intelligent Systems, p. 69-78, 2007.
  12. 변경혜, "Series E: The Influence of the repeated Learning of moving picture materials applying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al power' program on The Self-Directed Learning", E-수학교육 논문집 20권 2호 pp 295-326, 2006.
  13. 김용진, 장남기, "시청각 학습의 반복 수행에 따른 전두부의 뇌파 활성도 변화,"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1권 3호 pp. 516-528,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