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김보람, 함주현. 서산시 중.고등학생들의 척추측만증 인지도와 치료현황 조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1;11(11):204-12.
- 김명일, 정대철. 일반적 척추 아급성기와 만성기 자세문제의 관계개선에 따른 연구 고찰. 한국스포츠리서치. 2004;15(2):1411-22.
- 문곤성, 김승재. 운동과학 편: 사격 자세에 따른 잠재적 척추 만곡 변형에 관한 연구 -사례 연구-. 한국사회체육학회지. 2012;50(2):981-9.
- 박지현, 정현아, 홍서영. 추나치료를 이용한 골반, 척추 및 견갑대 부정렬의 치험 3례- Full spine AP X-ray, VAS 분석에 따른-. 척추신경추나의학회지. 2010;5(2):135-49.
- 문승진, 박윤성. u-WBAN 기반의 센서를 이용한 자세교정 시스템 설계 및 구현. 한국지능시스템학회지. 2010;20(2):304-10.
- Jadad AR, Moore RA, Carroll D, Jenkinson C, Reynolds DM, Gavaghan DJ, McQuay HJ. Assessing the quality of report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 Is blinding necessary? Controlled clinical trials. 1996;17:1-12. https://doi.org/10.1016/0197-2456(95)00134-4
- Wei S, Cai X, Huang J, Xu F, Liu X, Wang Q. Recombinant human BMP-2 for the Treatment of Open tibial fractures. Orthopedics. 2012;35(6):847-54. https://doi.org/10.3928/01477447-20120525-23
- 이주립. 여대생들의 척추이상에 관한 분석연구. 한국체육학회지. 1996;35(4):4311-7.
- 조은정. 무용전공과 경력이 척추 변형에 미치는 영향. 서울: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997:1-60.
- 김보미. 특수고 및 일반고 학생들의 척추이상 및 하지변형에 관한 연구. 서울: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1-54.
- 오덕원. 만성요통 여성 환자들에서 발생되는 자세의 변화.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2000;7(4):1-7.
- 이현욱, 한상완, 이인학. 고교 무용 전공자의 신체 분절정렬 분석. 한국무용과학회지. 2003;7:51-61.
- 김정미. 무용 실기 전과 후의 척추 만곡 변화에 관한 연구: 여고생을 중심으로. 수원: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1-48.
- 이충열. 고등학교 남학생의 자세 변형 정도에 따른 생활습관 자세. 청원: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1-87.
- 김유경. 연령과 신체적 특성에 따른 남녀 중학생의 척추변형 발생빈도의 비교연구. 서울: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1-50.
- 정선영, 남혜주, 홍대석, 이준희, 김종경, 노호성. 편측 운동종목 선수의 신체 정렬상태와 평형능력 비교. 한국체육학회지. 2013;52(1):431-42.
- 이지은. 유소년의 자세측정을 통한 자세 이상의 빈도분석. 서산:한서대학교 건강증진대학원. 2013:1-30.
- 정훈교. 요부 보강 운동이 체형 교정에 미치는 효과. 한국사회체육학회지. 2000;14(1):679-89.
- 조한글. 댄스스포츠 프로그램이 아동의 자세변화 및 체력에 미치는 영향. 서울: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05:1-127.
- 최영준. 경.흉부 신장 및 근력강화 운동이 머리전방자세에 미치는 영향. 서울:고려대학교 의용과학대학원. 2007:1-57.
- 박광묵. 자세교정 운동프로그램이 요통과 요추전만각에 미치는 영향. 대구:계명대학교 스포츠산업대학원. 2009:1-70.
- 김혜미. 요통환자의 바른자세 걷기운동이 체간균형과 통증에 미치는 영향: FIMS 시술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서울: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1-89.
- 원동용, 김소연, 김요셉, 박지혜, 안유경, 이윤경, 장은영, 정수지, 최승화. 목 폄 근력강화운동과 가슴 폄 근력강화운동이 머리전방자세와 목 관절가동범위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치료사학회지. 2011;18(2):41-9.
- 김은주, 김지원, 박병래. 슬링 운동 프로그램이 머리전방자세의 근 활성도와 목뼈 배열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1;11(11):213-20.
- 이효정. 키네시오테이핑이 전방머리자세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치료사학회지. 2012;19(3):31-8.
- 이정석. 12주간의 교정 운동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PAPS 자세평가에 미치는 영향. 부산:동아대학교 대학원. 2012:1-61.
- 이우성. 탄성밴드(Thera-band)를 활용한 견갑대 안정화 가정 운동 프로그램이 전방머리자세로 인한 긴장성 두통 환자의 자세 개선 효과. 죽전: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2:1-33.
- 장신애, 최성이. RAD 발레 프로그램을 통한 자세 교정. 한국무용과학회지. 2012;27:147-57.
- 손명주. 동작관찰훈련을 통한 자세교육이 머리전방자세와 둥근어깨자세에 미치는 영향. 서산:한서대학교 대학원. 2012:1-42.
- 김진수, 김종수, 김정원, 추원정, 남항우, 김창연. 전방락킹, 후방락킹 운동 및 MET (Muscle Energy Techniques)를 이용한 Sway-back 자세 환자의 치험 3례. 척추신경추나의학회지. 2012;7(1):35-47.
- 박주현, 문옥곤, 왕중산, 김년준, 구자풍, 김지성. 지속적 대항근 강화운동과 에비안스-함베르크 스트레칭이 머리전방자세 개선에 미치는 효과.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2013;7(2):109-15.
- 김기현. 승마기구운동과 Kendall운동이 두부전방전위자세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구대학교 대학원. 2013:1-51.
- 한정석, 금동호. 척추만곡 이상에 대한 문헌 고찰.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003;13(4):173-86.
- 이충휘, 유원규, 김민희. 컴퓨터 작업 시 전방머리자세 교정장치의 효과.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2006;13(1):9-15.
- 윤정호, 성동진. Mckenzie 운동요법이 만성 경부통 환자의 머리, 어깨자세에 미치는 영향. The Research Institude of Physical Education & Sports Science. 1998;17(1):79-90.
- 한방재활의학과학회. 한방재활의학. 서울:군자출판사. 2011: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