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Architectural Method of Mus${\bar{o}}$ Soseki

무소오 소세키(夢窓疎石)의 작정기법

  • Choi, Mi-Young (Dept. of Landscape of the Graduate School of Dongguk University) ;
  • Hong, Kwang-Pyo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yeongju Campus, Dongguk University)
  • 최미영 (동국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 홍광표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조경학과)
  • Published : 2013.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identify the gardening method of Mus${\bar{o}}$ Soseki by looking into his works. Through this research, life and religious values of Soseki were studied, which gave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garden architect as an individual and seeker of religious truth. Among his works, the most widely known-four ponds, Eiho-ji, Erin-ji, Saiho-ji and Tenryu-ji were studied. The research found that based on the Zen of Buddhism, Soseki symbolized various philosophical ideas into space structures. In addition, through two gardening components, stone buildings and tributaries, he specifically materialized related themes. An absolute religious aesthetics of the creator could be found in the stone buildings that expresses the world of Buddhism and the Chinese letter 'Sim'(heart)-shaped tributaries. By experimenting new method away from a Chinese-style Japanese garden which was widely popular during his time, Soseki devised a garden as residential quarters of a high priest that can be set aside entirely for Zen-study, which became to represent Japanese garden style. If Soseki's gardening method had not been adopted, Japanese gardens could not have been developed as a personal garden that contains symbolic concepts. Unfortunately, in this study, to think of another Zen monk and Mus${\bar{o}}$ Soseki did not study is to compare. also the study on how another Zen monk and Mus${\bar{o}}$ Soseki's compare has to be continued.

본 연구는 무소오 소세키의 작품을 통해서 그의 작정기법을 밝히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무소오 소세키의 삶과 종교관을 통해서 무소오 소세키를 인간적으로, 종교적으로 이해하고자 했으며, 그의 작품 가운데 가장 대표적이라고 생각하는 에이호지, 에린지, 사이호지, 텐류지 등 4사찰을 대상으로 무소오 소세키가 추구한 작정관과 작정기법을 찾아보았다. 연구결과, 무소오 소세키는 불교의 선사상을 기본으로, 본인이 터득한 다양한 사상과 철학을 공간구성으로 상징화하고, 석조와 지천이라는 두 가지 정원요소를 통해서 구체화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부처의 세계를 형상화한 석조와 마음 심(心)모양의 지천 구성기법에서 작정자의 절대적인 종교미를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그의 작정기법은 당시 중국을 모티브로 한 일본 정원에서 벗어나, 선 공부를 위한 전용공간, 즉 방장정원을 고안하였으며, 이는 대표적인 일본정원 형식이 되었다. 만약 무소오 소세키의 작정술이 일본정원에 도입되지 않았다면 일본정원은 지금과 같이 상징적 개념을 가진 사유정원이 될 수 없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 아쉽게 생각하는 것은 또 다른 선승 셋슈와 무소오 소세키를 비교연구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이 연구에 대해서는 다음 과제로 남기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江澤隆志(2013). 日本の禪. 株式會社洋泉社.
  2. 宮元健次(1998). 日本庭園のみかた. 學藝出版社.
  3. 柳田聖山(1995). 禪과 日本文化. 불광출판부.
  4. 大橋治三(1993). 日本庭園鑑賞事典. 東京堂出版.
  5. 木文美士(2005). 日本彿敎社-사상사로서의 접근. 도서출판 뿌리와 이파리.
  6. 姸野梭明(2005). 夢窓國師日本庭園を極めた禪僧.
  7. 自幡洋三郞(2012). 庭 [にわ] を讀み解く. 淡交社.
  8. 長谷川本正海(1983). 日本庭園雜考. 株式會社東洋文化社.
  9. 정옥헌(2008). 일본 古山水庭園의 구성기법. 충북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 석사학위논문.
  10. 中村蘇人(2007). 夢窓疎石の庭と人生. 創土社.
  11. 濟藤万壽子(2012). 京都ガイド- こだわりの步き方. 同志社大學京都觀學硏究所.
  12. 澤田天瑞(1976). 庭園の背景思想と構成に關する硏究,( ), 夢窓國師と永保寺庭園の構成について(その1). 造園雜誌. 40(2): 13-21
  13. 澤田天瑞(1977). 庭園の背景思想と構成に關する硏究. 夢窓國師と西芳寺庭園の構成について(XII). 造園雜誌40(4): 24-31
  14. 한보광(2001). 日本禪의 歷史. 如來藏.
  15. http://www.yahoo.co.jp
  16. http://www.daum.net
  17. http://www.cafe.naver.com/sundomzs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