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금화시책(禁火施策)의 전개과정에 관한 연구 - 금화정책, 금화계획, 금화사업, 금화시설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rogression of Fire Control Policies in Joseon Dynasty - Regal & Administrative System, Planning Tools, Works and Facilities -

  • 김상희 ((주)도경, 원광대학교 도시공학과) ;
  • 이경찬 (원광대학교 도시공학과)
  • Kim, Sang-Hee (Do-kyung Co., Dept. of Urban Engineering, Wonkwang University) ;
  • Lee, Kyung-Chan (Dept. of Urban Engineering, Wonkwang University)
  • 발행 : 2013.09.30

초록

도시 전체가 화재에 취약한 구조를 가지고 있었던 조선시대 화재는 많은 재산피해와 인명피해를 가져왔지만, 다른 한편으로 화재를 예방하고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과 계획수법, 기술과 시설들이 발달하는 계기가 되었다. 본 연구는 화재와 관련한 정책, 계획, 건축, 구조물 시설물 등을 중심으로 조선시대 전반에 걸쳐 이루어진 금화시책의 흐름을 파악하고자 하는 목적을 지니고 있다. 조선시대의 금화시책은 그 목적에 따라 화재예방을 위한 비보풍습(裨補風習)과 비화(備火)시책, 화재 확산을 막기 위한 경계(境界)시책, 화재를 끄기 위한 멸화(滅火)시책, 구화(救火)시책 등으로 구분된다. 조선시대에 이루어진 금화시책은 크게 3단계로 구분된다. 먼저 태종대로부터 문종대에 이르는 시기로, 이 시기에는 행정 및 사법체제 정비, 금화행정, 금화계획, 금화사업, 금화기구 개발 등 다양한 측면에서 금화정책이 시행되고 있다. 제2단계는 기와를 공급하는 관아가 소멸되는 단종대부터 현종대에 이르는 시기로, 부분적인 금화사업을 중심으로 금화정책이 진행되고 있다. 제3단계는 숙종대부터 순종대에 이르는 시기로 금화사업보다는 금화기구 개발을 중심으로 금화정책이 진행되고 있다.

The cities of Joseon dynasty had weak structure against fire. Fires have resulted in damage on property and life. But they gave a chance to development various policies, planning tools, techniques and facilities for minimizing the damages of fire.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progression of fire control policy in Joseon dynasty. Fire control policies can be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 fire prevention, prohibition of fire spreading, fire extinguishing and rescue system. The progression of fire control policies can be divided into three steps. In the first step, from Taejong to Moonjong, various policy, such as regal & administrative system, planning tools, fire control works & appliances have been built and executed. In the second step, from Danjong to Hyunjong, fire control work have taken the central place of fire control policy. In the third step, from Sookjong to Sunjong, development of fire control appliances have taken the central place of fire control policy.

키워드

참고문헌

  1. 윤국일(1998). 신편 경국대전. 서울: 신서원.
  2. 윤열수(2010). 신화 속 상상동물 열전. 서울: 한국문화재보호재단.
  3. 이지희, 추연희(2011). 조선왕조실록에 근거한 조선시대 화재사례분석연구. 한국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7(8): 83-90.
  4. 이진삼, 조성제(2011). 불교사찰에 적용된 비보풍수 사례연구. 한국사상사학회지. 390: 27-60.
  5. 장영기(2004). 조선시대 궁궐 장식기와 잡상의 기원과 의미.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조선총독부중추원(소화 9년, 1934). 경국대전.
  7. http://cafe.daum.net/cjjtmdh (블로그)
  8. http://sillok.history.go.kr (조선왕조실록)
  9. http://www.terms.naver.com (한국민족문화대백과)
  10. http://www.navercast.naver.com (네이버캐스트) 아름다운 한국 / 불가사리, 해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