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Landscape of Sangwonsa Temple of Early Joseon Period by Records and Picture in Gwaneumhyeonsanggi

관음현상기(觀音現相記)를 통해서 살펴본 조선 초기 상원사의 경관연구

  • Hong, Kwang-Pyo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yeongju Campus, Dongguk University) ;
  • Hwang, Min-Ha (Dept. of Landscape of the Graduate School of Dongguk University)
  • 홍광표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조경학과) ;
  • 황민하 (동국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Published : 2013.09.30

Abstract

Gwaneumhyeonsanggi is a writing of praise of the incarnated White-robed Gwanseumbosal by Choi Hang which King Sejo witnessed at the top of Damhwajeon during his visit to Sangwonsa Temple. In Gwaneumhyeonsanggi, White-robed Gwaneumhwahyeondo drawn by a painter is attached, which demonstrate the feature of Sangwonsa temple in the early Joseon period.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landscape features of Sangwonsa in the early Joseon period by records and picture in Gwaneumhyeonsanggi. As a result, it was determined that the building display, spatial structure, building type and landscape arrangement seemed to be unique compared with other temples. In particular, the treatment of scenic stone(景石) is important in terms of landscape because it complements existing ideas and concepts that the temple landscape was mainly made of water as the main resources. Also the trees around the temple shown in the picture in can be compared with the current state of the data is valuable.

관음현상기는 세조가 미지산 상원사에 행차했을 때, 담화전(曇華殿) 상공에서 목격한 백의관세음보살의 화현 모습을 최항에게 일러 찬(讚)한 글이다. 관음현상기에는 화공이 그린 백의관음화현도가 붙어 있는데, 이 그림으로 인해서 조선 초기의 상원사의 모습을 알 수가 있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관음현상기에 실린 기록과 그림을 통해서 조선 초기 상원사의 경관성을 살피는 것에 주목하였다. 연구 결과, 조선 초기 상원사의 건물 배치나 공간구성 그리고 건물의 형식이나 조경처리에 있어서 다른 산지 사찰과는 다른 특별성이나 차별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특별성이나 차별성은 상원사가 왕실의 원찰이라는 사격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던 것으로 보인다. 특히, 조경적 측면에서 볼 때, 경석은 주목되는 바가 큰데, 그것은 사찰조경이 주로 물을 재료로 해서 이루어졌다는 지금까지의 생각을 보완케 만드는 자료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중앙박물관(2010). 고려불화대전도록.
  2. 김재길(2006). 조선시대 중층사찰건축의 비례에 관한 연구. 목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종엽, 기경석, 민건영(2012). 용문산 상원사계곡 식물군집구조 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6(5): 758-769.
  4. 문명대(1990). 한국의 불화. 서울: 열화당.
  5. 문명대(2005). 고려불화. 파주: 열화당.
  6. 사찰문화연구원(1995). 인천.경기도의 전통사찰II. 서울: 사찰문화연구원 출판국.
  7. 운허 용하(1992). 불교사전. 서울: 동국역경원.
  8. 이경미(2007). 고려.조선의 법보신앙과 경장건축의 변천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이경재, 김지석, 최진우, 한봉호(2008). 오대산국립공원 월정사 전나무숲 식생구조 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2(2): 173-183.
  10. 이광수, 김석권, 배상원, 이중효, 정문호(2010). 강원 남부 삼척과 태백지역 소나무림의 식생유형과 임분구조. 한국임학회지. 99(6): 855-862.
  11. 이동혁, 제갈영(2008). 길과 숲에서 만나는 우리나라 나무이야기. 서울: 도서출판 이비컴.
  12. 이선(2000). 오대산의 산림식생과 입지 특성에 관한 연구(II): 동대산식물군락의 입지특성. 한국임학회지. 89(5): 552-563.
  13. 이정 편(1996). 한국불교 사찰사전. 서울: 불교시대사.
  14. 이태원 역(1995). 정토삼부경개설. 서울: 운주사.
  15. 정영호(2001). 부도. 서울: 대원사.
  16. 환경부(2007). 제3차 전국자연환경조사. 환경부 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