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마감재와 조명의 관계에 의한 공간감성 변화 분석 연구

A Study on Change of Space Emotion by the Correlation of Finishing Material and Lighting

  • 서지은 (영남대학교 가족주거학과) ;
  • 이곡숙 (영남대학교 가족주거학과)
  • 발행 : 2013.01.25

초록

In this study, the changes of space emotions on the space image planned out with focus on finishing material and lighting were identified depending on their expression methods through evaluation of their emotion vocabularies, and the following study conclusions were reached: First, the correlation of finishing material and lighting particularly significantly affects the change of space emotion, where major space emotions were classified into 'comfort', 'friendliness', 'sense of being practical' and 'aesthetic beauty'. Second, the emotional changes of spaces with finishing materials of modern natural and classic natural image were evaluated from the 16 simulation images with lighting sources like LED, Three Wave and halogen as variables, an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emotional change of space regarding finishing material was greatest when 'halogen lamp' was applied rather than 'LED' or 'Three Wave'. Third, the vocabularies that showed the greatest emotional change were 'bright-dark' emotion in the case of 'comfort', 'plain-unique' emotion in the case of 'friendliness' and 'orderly-disorderly' emotion in the case of 'sense of being practical', and all these vocabularies were found to be affected the most when 'halogen lamp' is related with 'finishing material'. Meantime, in the case of 'aesthetic beauty', emotional change through the vocabulary of 'sophisticated-rustic' was the most conspicuous, and from this, it was noteworthy that the significant change shown when instead of 'halogen' or 'LED' lighting, 'Three Wave lamp' is related with finishing material. Fourth, it was found characteristic that 'LED' lighting works positively when expressing 'comfort', and 'Three Wave' and 'halogen' were found to satisfy all the space emotions 'comfort', 'friendliness', 'sense of being practical' and 'aesthetic beauty'.

키워드

참고문헌

  1. 권영걸, 공간디자인 16강, 도서출판 국제, 2008
  2. 코야마 히사오 저, 건축의장강의, 도서출판 국제, 2008
  3. 박영순 외 3명, 국내 공동주거 공간이미지 요소로서의 아트월 패턴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19권 3호, 2010
  4. 박필제, 감성이미지 기반 도시경관 조명연출 평가모형에 관한 연구, 홍익대 박사논문, 2006
  5. 백선경, 감성기반 이미지 검색을 위한 시각정보 요소별 감성공간 생성, 조선대 박사논문, 2008
  6. 서동연, 공간 디자인에 대한 감성연상 매개로써 언어와 시각이미지 특성,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0
  7. 서지은, 박의정, 마감재를 통한 공간감성 표현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21권 1호, 2012
  8. 서지은, 이곡숙, 공간이미지와 감성어휘에 따른 마감재 표현방법 비교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21권 3호, 2012
  9. 서지은, 이곡숙, 마감재와 조명에 의한 Mix & Match 공간표현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8권 10호, 2012
  10. 이경희, 이범재, 빛과 입면조형의 관계에서 본 감성적 특징,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6권 7호, 2010
  11. 이윤정, 아파트 외부공간에 대한 거주자의 감성적 평가에 관한 연구, 계명대 석사논문, 2000
  12. 이진숙 외 3명, 공동주택의 실내공간별 조명적용현황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6권 12호, 2010
  13. 이호남, 오피스 실내 공용공간을 구성하는 심미적 표현체계, 연세대 석사논문, 2005
  14. 정아영, 오영근, 공간연구에 있어서 감성적 연구경향에 관한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17권 5호, 2008
  15. 정준현, 아파트 외부환경에 대한 감성평가 사례연구, 디자인연구논집 제1권 1호, 2002
  16. 천정오, 디지털 홈에 적용 가능한 LED조명의 도입방안에 관한 연구, 한성대 석사논문, 2006
  17. 최주영 외 3명, 실내공간 이미지 평가에 나타난 주시시간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20권 5호, 2011
  18. 한명흠, 감성어휘를 통한 공간 환경 평가지표 개발에 관한연구, 경원대 박사논문, 2010
  19. 한명흠, 오인욱, 공간환경의 감성평가척도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19권 4호, 2010
  20. 한지애 외 2인, 정서구현으로 본 루이스 바라간 건축,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7권 12호, 2011
  21. 홍성욱, Light scape을 통한 조명 프로그램의 올바른 사용,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