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mprovement of Energy Efficiency in Wood Frame House with Energy Efficient Methods

건물 에너지 절약요소 적용을 통한 목조주택의 에너지 성능 개선

  • Kim, Sejong (Division of Wood Engineering, Department of Forest Products,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Park, Joo-Saeng (Division of Wood Engineering, Department of Forest Products,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Lee, Jun-Jae (Department of Forest Sciences, Colleg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김세종 (국립산림과학원 임산공학부 재료공학과) ;
  • 박주생 (국립산림과학원 임산공학부 재료공학과) ;
  • 이전제 (서울대학교 산림과학부)
  • Received : 2012.11.13
  • Accepted : 2013.01.24
  • Published : 2013.01.25

Abstract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to evaluate and raise the energy efficiency of wood frame house. The commercial solution program CE3 (Construction Energy Efficiency Evaluation) was used for simulating the energy consumption in the single-family wood frame hous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nnual heating energy demand of the house was 160 kWh per 1 $m^2$ floor area. In order to decrease the heating energy demand, the following energy efficiency methods were applied to the simulation : a) simplification of building shape, b) decrease of windows area, c) application of high performance windows (with low thermal transmittance) and d) application of heat recovery ventilator. In case of replacement of the windows with high performance one with thermal transmittance 1 $W/m^2{\cdot}K$, the lowest heating demand of 80 $kWh/m^2{\cdot}a$ was obtained. The best combination of methods, application of high performance windows and heat recovery ventilator, showed heating energy demand 34.5 $kWh/m^2{\cdot}a$.

본 연구는 목조주택의 건물에너지 성능을 평가하고 개선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목조주택의 에너지 요구량을 산정하기 위하여 CE3 (Construction Energy Efficiency Evaluation) 웹기반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였고 그 결과 대상 주택의 연간 난방에너지 요구량은 바닥면적 1 $m^2$당 160 kWh로 계산되었다. 난방에너지 요구량을 줄이기 위해 다음 4가지의 에너지 절감방법을 채택하였다; a) 건물형태의 단순화, b) 창호면적의 축소, c) 고성능 창호의 적용, d) 폐열회수환기장치의 적용. 열관류율 1 $W/m^2{\cdot}K$의 고성능창호로 교체할 경우 대상 주택의 난방에너지 요구량은 80 $kWh/m^2{\cdot}a$로 감소하였다. 4가지 방법을 조합하여 적용하면 고성능창호와 폐열회수환기장치를 함께 적용하였을 때 난방에너지 요구량은 34.5 $kWh/m^2{\cdot}a$로 감소하여 가장 우수한 성능을 나타냈다.

Keywords

References

  1. 에너지관리공단. 2012. 2012 에너지 통계 핸드북. www.kemco.or.kr.
  2. 이승복. 1995. 공동주택의 기밀성능 평가 및 에너지 절감효과 분석.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15(3): 119-125.
  3. 장문석, 김병수, 박효순. 2000. 단독주택의 에너지 소비 실태 조사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 계획계 16(5), 131-136.
  4. 이봉진, 정동열, 이선, 홍회기. 2004. 한국형 아파트의 난방에너지 분석 2: 난방방식에 따른 차이, 설비공학논문집 16(5): 459-467.
  5. 윤종호, 박재완, 이광성, 벽남춘, 신우철. 2008. 충청지역 단독주택의 기밀성능 실측 연구,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28(5): 65-71.
  6. 김치훈, 안병립, 김지연, 장철용. 2009. 외피 열성능에 따른 건물에너지효율등급 분석 연구, 한국태양에너지 학회 논문집 29(5): 59-64.
  7. 안병립, 김치훈, 김지연, 장철용. 2009. 지역에 따른 주거용 건물에너지효율등급 분석 연구,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29(5): 53-58.
  8. 이명주, 김원석, 이우주, 이원택. 2012. 건축물에너지절 약요소기술 적용에 따른 단독주택 에너지 요구량 절감률 변화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 계획계 28(5): 275-282.
  9. 송승영, 이수진. 2007. 국내외 건물 에너지성능 인증제도 비교, 분석,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27(4): 77-85.
  10. 정창헌, 김지영, 김태연, 이승복. 2010. 패시브 하우스와 건물에너지효율등급인증 건물의 특성 비교를 통한 건물에너지효율등급인증제도 개선점 분석,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 계획계 26(3): 235-243.
  11. 송승영, 구보경, 이병인. 2010. 한국과 영국의 주거용 건물 에너지효율등급인증제도 운영 및 평가 방식과 에너지소요량 산출방법 비교 분석,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 계획계 26(5): 363-372.
  12. ISO 13790: 2008. Energy performance of buildings - Calculation of energy use for space heating and cooling.

Cited by

  1. Insulation Details and Energy Performance of Post-Beam Timber House for Insulation Standards vol.43, pp.6, 2015, https://doi.org/10.5658/WOOD.2015.43.6.876
  2. Assessment on Thermal Transmission Property of Wall Through a Scaled Model Test vol.43, pp.6, 2015, https://doi.org/10.5658/WOOD.2015.43.6.884
  3. Evaluation and Analysis of The Building Energy Saving Performance by Component of Wood Products Using EnergyPlus vol.44, pp.5, 2016, https://doi.org/10.5658/WOOD.2016.44.5.6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