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is study is conducted to estimate the nutrient compositions and in-situ ruminal disappearancerates of roughage sources which are commonly used in South Korea. Twelve types of roughage sources are being selected based on surveys from more than 50 farms, and 12 samples from various farms and companies are collected and analyzed for their nutritive components and minerals. Two Hanwoo steers (BW $526{\pm}14$ kg) with ruminal cannula are used to investigate in situ ruminal degradability. Five roughage sources, timothy hay, alfalfa pellet, rice straw, klein grass hay and tall fescue straw, are all selected from 12 roughage sources above for further experiments. Overall, the nutrient components and minerals from the 12 roughage sources have shown low values when comparing with standard tables of feed compositions in Korea. In situ dry matter disappearance rate is recorded as high in order of klein grass, timothy, alfalfa pellet, tall fescue and rice straw. In situ crude protein disappearance rate is high in order of alfalfa pellet, klein grass, timothy, tall fescue and rice straw.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반추가축에게 주로 이용되는 조사료원들의 영양소 함량 및 반추위 in situ 소실율을 평가하기 위해서 수행하였다. 착유우 30두 이상의 50여개 농가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를 토대로 선정한 12종류의 조사료를 다양한 수입원을 고려하여 확보한 다음, 주요 영양소 성분과 미네랄을 분석하였다. 또한 그 중 5개의 조사료원(티모시, 알팔파펠렛, 볏짚, 클라인글라스 및 톨페스큐)을 선정하여 반추위 cannula가 장착된 거세 한우 2두(평균체중 $526{\pm}14$ kg)를 이용하여 반추위 in-situ 소실율을 평가하였다. 조사한 조사료원들의 영양소 함량은 한국표준사료성분분석표에 비하여 전반적으로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최종 반추위 in-situ 건물 소실율은 클라인글라스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티모시, 알팔파 펠렛, 톨 페스큐, 볏짚 순으로 낮아졌다. 최종 조단백질 소실율은 알팔파 펠렛이 가장 높았으며 클라인 글라스, 티모시, 톨페스큐, 볏짚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