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dustrial Cluster: Still a Valid Policy Tool for the Creative Economy in Korea?

산업클러스터, 창조경제를 위한 정책수단으로의 가능성

  • Received : 2013.11.16
  • Accepted : 2013.11.30
  • Published : 2013.12.30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industrial cluster policy implemented in Korea during the last decade or so, examine whether it can still be a valid policy measure in the creative economy regime, and propose policy directions for the future. It is evaluated that the cluster policy has contributed to increasing productivity by improving networks between companies, universities and research centers and thus strengthening innovation infrastructure. The policy, however, by its characteristics of government-domination, failed to develop open-ended and flexible spontaneous clusters. Industrial clusters have the capability to contribute to the virtuous circle of creative economy by enhancing creativity and innovativeness, and subsequently by increasing value-added. In order to maximize these positive effects, a few suggestions are made, including being faithful to the very nature of clusters, e.g. geographical proximity and connectedness, intending clusters with creativity well maintained, orienting toward multi-scalar clusters with a mixture of local and global perspectives, and matching regional and industrial policies with regards to clusters.

이 논문은 지난 10여 년간 우리나라가 채택한 산업클러스터 정책의 평가에 기초하여, 이 정책이 창조경제 실현을 목표로 하는 시대에서도 유효한 정책이 될 수 있을 것인지를 검토하고 향후 정책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그동안의 산업클러스터 정책은 산 학 연 네트워킹의 개선과 혁신기반의 강화로 생산성 증가에 기여했지만, 정부 주도의 인위적 클러스터 만들기 정책으로 인해 개방적이고 유연한 클러스터의 발전이 이루어지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산업클러스터는 창의성에 의한 혁신 유발과 가치창출이라는 창조경제의 선순환에 기여할 것으로 보았다. 그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향후 정책방향으로서 지리적 집중과 상호 연계라는 클러스터의 본질에 충실할 것, 창조성이 보장되는 클러스터를 만들 것, 국지적-세계적 전략을 결합한 다중 스케일의 산업클러스터를 지향할 것, 지역정책과 산업정책 부문 간의 정합성을 확보할 것 등이 제안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