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ase Study on Effective Teachers' Discourse in Science Gifted Class Using Flanders Interaction Analysis Program

Flanders 언어상호작용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한 초등과학 영재수업에서의 유능한 영재교사 발언 사례 연구

  • Received : 2013.11.30
  • Accepted : 2013.12.30
  • Published : 2013.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flow of teacher-student verbal interactions and the types of discourse in the science gifted classes of three effective teachers. The three effective teacher were recommended by the expert of a gifted education or science education expert. A participant observation was carried out in their classes, and all the classes were videotaped. The collected videotape materials were transcribed, and Flanders Interaction Analysis Categories and an AF program were utilized to analyze the video clip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pecific flow of verbal interactions in the classes provided by the effective gifted teachers, but the kind of positive verbal interaction that the students responded diversely to their questions or lectures took place. Second, the most prevalent type of utterance in the classes of them was lecturing, and the remark of direction and criticism scarcely took place. And lots of non-directive remarks were found such as emotional acceptance, praise, encouragement or acceptance of ideas. As a result, the effective science gifted teachers made more nondirective remarks such as emotional acceptance, praise, encouragement and acceptance of ideas than directive remarks such as direction or criticism, and their non-directive remark made it possible to elicit more extensive responses from their students.

이 연구에서는 유능한 초등과학 영재교사의 수업 관찰을 통해 교사 학생 간의 언어적 상호작용 및 교사의 발언 유형을 분석하고, 그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 대상으로 선정된 유능한 영재교사는 영재교육전문가, 과학교육전문가의 추천을 받은 교사이다. 이렇게 선정된 유능한 초등과학 영재교사 3인의 수업에 참관하여 관찰과 녹화를 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전사한 후 Flanders의 언어상호작용 분류틀을 기초로 교사와 학생의 발언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능한 초등과학 영재교사들의 영재수업에서 일정한 언어 상호작용 흐름은 나타나지 않았지만 교사의 질문이나 강의/설명 발언 후 학생들이 넓은 반응을 보이는 긍정적인 언어적 상호작용의 흐름이 나타났다. 둘째, 유능한 초등과학 영재교사들의 수업에서 가장 많이 나타난 발언 유형 항목은 강의/설명이고 지시나 비판의 발언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감정의 수용, 칭찬 및 격려, 아이디어 수용의 비지시적 발언을 많이 사용하였다. 결론적으로 유능한 과학영재교사는 지시나 비판의 지시적 발언보다 감정의 수용, 칭찬 및 격려, 아이디어 수용 같은 비지시적 발언의 사용으로 학생의 넓은 반응을 이끌어내는 긍정적인 언어상호작용을 하고 있었으며, 영재학생들의 지적 호기심을 충족시켜주는 확산적 질문을 많이 사용하는 특징을 보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호감, 최선영 (2004). 영재교육 담당교사의 전문성 개발에 관한 연구. 경인교육대학교 과학교육논총, 16, 137-160.
  2. 곽영순, 김주훈 (2002). 좋은 수업방법에 대한 질적분석-과학과를 중심으로. 교육과정평가연구, 6(1), 207-220.
  3. 권기덕, 최명숙 (2013). Franders 언어상호작용 분석법을 이용한 초등학교 우수수업과 일반수업 비교. 아동교육, 22(2), 37-51.
  4. 김동현, 김효남 (2011). 초등학교 과학영재수업에서의 언어적 상호작용 사례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8), 1145-1157.
  5. 김미숙, 이미경, 강병직, 김영아, 김인순, 박지은, 서예원, 유경재, 이희현, 전경남, 서정연,김아름, 기정연, 박지희, 이석영, 이정희, 정경란 (2010). 한국의 영재교육: 영재교육현황과 국가 표준 정림.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6. 김미환 (2011). Flanders 언어상호작용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한 초등수학영재 수업에서의 교사 발언 사례분석. 석사학위논문. 경인교육대학교.
  7. 김미환, 송상헌 (2011). Flanders 언어상호작용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한 초등수학영재 수업에서의 교사 발언 사례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5(2), 385-415.
  8. 나수경 (2012). 초등학교 음악 '우수 수업' 분석 연구. 석사학위논문. 성신여자대학교.
  9. 노태희, 강석주, 강훈식 (2012). 중등과학영재교육에서 초임 교사의 수업 전문성 제고 전략으로써의 멘토링 적용 사례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2), 331-345.
  10. 박경희, 서혜애 (2007). 영재교육 교사 전문성의 구성요소 탐색 연구. 영재교육연구, 17(1),77-98.
  11. 박병학 (1986). 발문법 원론. 서울: 세광출판사.
  12. 박인식 (1997). 초등교사의 과학선호도가 아동의 과학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한국교원대학교.
  13. 박지은, 이봉우 (2012). 과학 영재교육 담당교사의 영재교육 전문성에 대한 인식. 교과교육학연구, 16(2), 587-601.
  14. 백제은, 김경현 (2010). 초등학교 우수 수업의 플랜더즈 언어상호작용 유형 분석. 교육혁신연구, 20(1), 79-98.
  15. 박 준 (2010). 임상장학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분석. 석사학위논문. 경인교육대학교.
  16. 변영계, 김경현 (2008). 수업장학과 수업분석. 서울: 학지사.
  17. 서혜애, 박경희 (2006). 영재교육 수업 모범사례 연구. 수탁연수 CR2006-51, 한국교육개발원.
  18. 안정숙 (2006). 과학 영재 교육에서 초임 영재 담당 교사의 수업특성.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19. 엄규한, 임청환 (1998). 학습 단계별 발문 모형의 구안 적용을 통한 탐구적 사고력 신장방안. 대구교육대학교 논문집, 3(2), 5-44.
  20. 유경재, 이경숙, 서혜애, 김수겸, 신민, 김태영 (2012). 영재교육과정 운영지칩개발연구(1)-과학영재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수탁연구 CR 2012-52). 한국교육개발원.
  21. 이종섭, 유미현 (2013). 초등 영재와 일반 학생의 인지발달 및 논리적 사고력 형성 수준 비교. 영재교육연구, 23(3), 335-354.
  22. 이지향, 김동진, 황현숙, 박세열, 백인환, 박국태 (2010). 중학교 일반학급과 영재학급의 과학수업에서 교사와 학생 사이의 언어적 상호작용 비교 분석. 영재교육연구, 20(3),721-741.
  23. 임 염 (1996). 국민학교 교사의 과학적 배경에 따른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태도.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24. 전병화 (2010). 초등 영재 수업에 나타난 교사와 학생의 언어 상호 작용분석. 석사학위논문. 인천대학교.
  25. 정민수, 전미란, 채희권 (2007). 과학영재 수업에서 언어적 상호작용을 통하여 본 교사의 발문과 피드백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9), 881-892.
  26. 조구영 (2011). 과학교과에서 과학자기효능감 증진 교수․학습 전략 개발 및 적용. 박사학위논문. 공주대학교.
  27. 조난심, 양종모, 유정애, 정미경, 강연자, 김수천, 김희란 (2001). 학교 교육내실화 방안연구(I)-학교 교육과정과 수업 운영을 중심으로 (연구보고 RRC 2001-10).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8. 주삼환, 이석열, 김홍운, 이금화 (2009). 수업관찰 분석과 수업연구. 파주: 한국학술정보.
  29. 최남구 (2011). 영재 담당 교사의 전문성과 효능감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경인교육대학교.
  30. 최취임, 조민정, 여상인 (2012). 초등과학 수업에서 나타나는 교사의 발문에 대한 인식과 실제 수업 분석. 초등과학교육, 31(1), 57-70.
  31. 허 균 (2009). 현장 우수수업 사례에 대한 Flanders 언어상호작용 분석 연구. 수산해양교육연구, 21(4), 499-507.
  32. Blosser, P. E. (2000). How to Ask the Right Questions. Arlington: National Science Teachers Association.
  33. Davis, B. G. (1993). Tools for teaching. San Francisco: Josey-Bass Inc.
  34. Gallagher, J. J. (Ed). (2008). 영재교육의 공공정책 [김미숙, 유효현, 이행은, 역]. 서울: 학지사. (원본출간년도: 2004).
  35. Renzulli, J. (1985). Are teachers of the gifted specialists? A landmark decision on employment practices in special education for the gifted. Gifted Child Quarterly, 29(1), 24-28. https://doi.org/10.1177/001698628502900105
  36. Silverman, L. K. (1982). The gifted and talented. In E. L. Meyen (Ed.), Exceptional children and youth (pp. 184-190). Denver. CO: 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