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 about Scientists between Science Class and Convergence Class Applicants in Gifted Science Education Center

과학영재교육원의 과학반과 융합반에 지원한 학생들의 과학자에 대한 인식 차이 분석

  • Received : 2013.11.27
  • Accepted : 2013.12.30
  • Published : 2013.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convergence gifted students through the their perception of the differences about scientists between Science class and Convergence class in gifted science education center. Consequently, this article reports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about scientists was distinction between applicants of Convergence and Science class. Science class applicants mainly recognized scientists as pure scientists, but Convergence class applicants recognized scientist were including mathematician, artist, architect, etc. Also Convergence class applicants thought that affective domain including 'effort', 'patience', 'interest' was more important that Science class applicants. On the other hand, when they described the scientists, Science class applicants knew their achievements as scientists more specifically than Convergence class. And to conclude, the characteristics were different between Convergence and Science class applicants in gifted science education center.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this paper suggests the following: Firstly, conceptual study is urgent about convergence gifted students in their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s. Secondly, information regarding the criteria to select student for convergence class in gifted science education center. Finally, when teaching convergence gifted students,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ir characteristics such affective domain.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영재교육원의 과학반과 융합반에 지원한 학생들의 과학자에 대한 인식분석을 통해 과학영재와 융합영재의 특성 차이를 알아보는 데 있다. 연구 결과 과학반과 융합반 지원자는 과학자라고 인식하는 범위의 차이가 있었다. 과학반 지원자는 대부분 순수과학자를 과학자로 인식하고 있었으나 융합반 지원자는 수학자, 예술가, 건축가 등을 포함하여 과학자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융합반 지원자는 과학반 지원자에 비해 '노력', '끈기', '흥미' 등 정의적 영역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반면, 과학반 지원자는 과학자의 업적에 대해 융합반 지원자보다 잘 알고 있었다. 이를 통해 과학영재교육원의 과학반과 융합반 지원자는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연구 결과에 따른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융합영재를 명확하게 정의하고 특성을 밝혀 정리해줄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과학영재교육원의 융합반 학생을 선발하는 기준을 정하는 데 준거가 될 수 있는 융합영재의 특성을 제공해야 한다. 본 연구가 융합반을 선발하는 데 참고가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융합반을 지도할 때 정의적 영역을 중시하는 융합영재의 특성을 반영하는 교수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 (2013). 제3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13-'17). 교육부, 1-12.
  2. 국립국어원 (2013). 표준국어대사전. http://stdweb2.korean.go.kr/. (검색일: 2013. 11. 3.).
  3. 김범기 (1993). 학생들의 과학교과 불안도와 학습성취도와의 관계.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3(30), 341-358.
  4. 김소형, 박재일, 정진수, 이혜정, 권용주, 박국태 (2005). 과학자에 대한 초등학교 일반 학생과 과학 영재반 학생의 인식 비교 분석. 초등과학교육, 24(1), 1-8.
  5. 김왕동 (2012). 창의적 융합인재에 관한 개념 틀 정립: 과학기술과 예술 융합 관점. 영재와 영재교육, 11(1), 97-119.
  6. 김학수, 홍혜현, 박성철 (2000). 과학자에 대한 청소년의 인상(이미지). 기술혁신연구, 11(2), 41-69.
  7. 류지영, 정현철 (2010). 영재학급 대상자 선발을 위한 관찰.추천 영재판별모형 개발 연구. 영재교육연구, 20(1), 257-287.
  8. 박종석, 심규철, 육근철 (2001). 과학영재들의 과학과 과학자에 대한 인식 조사. 영재교육연구, 11(3), 85-97.
  9. 송인섭, 도승이, 이정규, 김누리, 성은현 (2011). 한국 영재교육의 방향 모색-융합형 창의 인재 육성-. 영재와 영재교육, 10(3), 75-95.
  10. 송진웅 (1993). 교사의 과학자에 대한 이미지와 존경하는 과학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3(1), 48-55.
  11. 여상인 (1998). 변형된 DAST와 인터뷰를 이용한 과학자에 대한 이미지와 과학자가 하는 일에 관한 초.중등 학생의 인식 조사. 초등과학교육, 17(1), 1-10.
  12. 옥현주 (2011). 영국의 STEM 교육 동향과 시사점. KEDI 교육정책포럼 215호, 28-32.
  13. 유미현, 전미란, 홍훈기 (2007). 과학 영재 학생들이 존경하는 과학자의 조건과 황우석 박사 사건에 대한 과학 영재들의 인식. 영재교육연구, 17(1), 99-122.
  14. 이승우, 백종일, 이정곤 (2013). 융합인재교육(STEAM)을 적용한 초등 수학영재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효과. 한국수학교육학회지, 16(1), 35-55.
  15. 이신동, 홍종선 (2011). 영재학생과 일반학생, 그리고 영역별 영재학생의 심리적 ․ 신체적 ․환경적 특성 비교. 한국교육학연구, 17(1), 351-372.
  16. 이준기, 하민수 (2012). 언어 네크워크 분석법을 통한 중학교 과학영재들의 사실, 가설, 이론, 법칙과 과학적인 것의 의미에 대한 인식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 32(5), 823-840.
  17. 이용주, 송순옥 (2003). 초등학교 학생들의 과학자에 대한 인식 조사. 전주교육대학교 과학교육연구 논문집, 25, 1-19.
  18. 이효녕, 박경숙 (2010). 초등학생이 생각하는 과학자와 공학자에 대한 이미지. 실과교육연구, 16(4), 61-82.
  19. 임완철, 천세영 (2012). 융합인재교육(STEAM)을 위한 미래형 과학교실 설계 과정에서의 교사 및 전문가 의견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2(2), 257-283.
  20. 임희준, 여상인 (2001). 초등학교 영재 학생들의 과학자에 대한 인식 조사. 영재교육연구, 11(2), 39-57.
  21. 정재승, 진중권 (2012). 크로스. 서울: 웅진지식하우스.
  22. 한국산업기술진흥원(KIAT) (2010). 2011 세상을 바꾸는 생각들 3: 융합인재. 서울: 한국산업기술진흥원.
  23. 한혜숙, 이화정 (2012). STEAM 교육을 실행한 교사들의 STEAM 교육에 관한 인식 및 요구 조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지, 12(3), 573-603.
  24. Gottfredson, L. S. (1981). Circumscription and compromise: A development of a field test of a checklist for the draw-a-scientist-test.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95(4), 195-205.
  25. Kuenzi, J. J. (2008).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nd Mathematics (STEM) Education: Background, Federal Policy, and Legislative Action. CRS Report for Congress, RL33434.
  26. Nay, M. A., & Crocker, R. K. (1970). Science teaching and the affective attributes of scientists. Science Education, 54(1), 61-62.
  27. She, H. C. (1998). Gender and grade level differences in Taiwan students' stereotypes of science and scientists. Research in Science and Technological Education, 16(2), 125-136. https://doi.org/10.1080/0263514980160203

Cited by

  1. Characteristics of High School Students’ and Science Teachers’ Cognitive Frame about Effective Teaching Method for High School Science Subject vol.36, pp.4, 2015, https://doi.org/10.5467/JKESS.2015.36.4.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