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Structure Types and Concrete Strength Zoning of Domestic Tall Apartment Buildings

국내 초고층 주상복합 건축물의 구조시스템 유형과 콘크리트 강도 조닝 분석

  • 김상연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Received : 2013.06.20
  • Accepted : 2013.07.29
  • Published : 2013.07.30

Abstract

In this study, cases of domestic tall residential buildings were investigated for the structural types, numbers of stories, total heights, type of lateral load resisting systems, and zoning of concrete strength. Based on these investigation data, the structural planning pattern of tall residential building was analyzed. SRC structure is main structural types of tall residential building at the initial stage of domestic tall residential building, but RC structure is substituted for main structural types since 2005. Retaining wall system is positioned at the core part of structural plan as a lateral load resisting system. Concrete strength zoning of vertical members like columns are divided by vertical heights of lower parts, middle parts, and upper parts. Basic data of structural planning of 40stories and 60 stories residential buildings was proposed based on case investigation.

본 논문에서는 국내의 초고층 주상복합건축물들에 대하여 층수와 높이 등의 규모 및 구조형식과 횡력저항 시스템의 유형 및 사용 재료의 강도와 층별 콘크리트 강도의 조닝 등에 대하여 조사 분석하여, 이를 토대로 초고층 주상복합 건축물의 구조 계획 유형을 분석하였다. 조사한 결과, 국내 초창기 초고층 주상복합 건축물의 구조시스템은 도곡동 타워팰리스와 같이 철골철근콘크리트구조(SRC)로 건설된 사례가 많았으나, 2005년 이후에는 대부분이 철근콘크리트(RC)구조로 건설되었다. 구조체에서 코어부분을 전단벽으로 배치하여 횡력저항 시스템으로 활용하고 있고, 콘크리트의 강도는 층수에 따라 고층부, 중간부, 저층부로 나누어 강도를 조닝하여 적용하고 있었다. 사례조사를 토대로 국내에 주상복합건축물의 대표적인 유형으로 건설되고 있는 40층 및 60층 규모의 건축물에 대한 구조계획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대한건축학회(2001), 국제 심포지엄 논문집 "초고층 건물의 현실과 전망.
  2. 토지주택연구원(2010), 초고층주상복합아파트 구조, 공법 적용성 분석 및 공사비 산정기준 연구.
  3. 한국초고층건축기술포럼(2009), 제3회 한국초고층 건축기술세미나 자료집.
  4. KPC연구회(2004), High-Rise Precast/Prestressed Concrete Structure.
  5. 한국건축시공학회(2009), 초고층 건물 시공의 요소기술 세미나 자료집(구조체 요소기술).
  6. 초고층 웹사이트: http://www.Emporis.com.

Cited by

  1. CO2 Emissions and Cost by Floor Types of Public Apartment Houses in South Korea vol.8, pp.5, 2016, https://doi.org/10.3390/su80504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