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haracteristics of Unsold Land and Sites Needing Value Enhancement

미매각 토지의 원인진단 및 가치제고 사업지구 선정 방안

  • 정연우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 이상준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 성장환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Received : 2013.06.18
  • Accepted : 2013.07.29
  • Published : 2013.07.30

Abstract

This paper defined the concept of unsold land and diagnosed the cause of unsold land of LH business site. The results are showing as follows. First, unsold land is defined as land could not be sold until the completion of the project, and plan to sell the unsold land can be changed partially. Second, the status of unsold land in the 226 project sites were analyzed. $146km^2$ area corresponding to 74.8% of the total capital area($195km^2$) are unsold. By purpose, co-residential($38km^2$), industry($21km^2$), exclusive residential($16.4km^2$), commercial business($12.5km^2$), education($10.2km^2$) was larger in order. Third, value enhancement target project sites were selected and its symptoms and the cause of unsold land were analyzed. For the project site over average unsold rate, 6 sites located in province and 2 sites located in capital region were selected through collecting the practitioners and expert opinion. These 8 sites are characterized that sale of land for medium and large co-residential, urban support facilities, block-shaped house and attached house was inactive. Also, these sites commonly experienced economic fluctuations, changes in market demand, supply and demand mismatch, inflexible planning standards.

본 논문은 가치제고 대안의 적용 여건을 감안한 미매각 토지의 개념을 새롭게 정의내리고, 공사 사업지구의 미매각 토지 현황과 원인을 진단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미매각 토지의 개념을 용지 매각을 위한 판매비 지출시점 이후부터 사업 준공까지 판매되지 못한 토지로서, 사업시행자의 자체사용분이 아닌 지자체 민간 등을 대상으로 판매를 지속하는 토지 중 부분적으로 계획변경이 가능한 경우로 정의하였다. 둘째, 2012년 기준으로 진행중인 226개 사업지구의 미매각 현황을 분석하였다. 전체 유상면적 $195km^2$의 74.8%에 해당하는 $146km^2$가 미매각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용지별로는 공동택지($38km^2$), 산업용지($21km^2$), 단독택지($16.4km^2$), 상업업무용지($12.5km^2$), 교육청사($10.2km^2$)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치제고 사업지구를 선정하고 해당 지구의 미매각 현상과 원인을 분석하였다. 평균 미매각 비율 이상인 사업지구를 대상으로 실무자 및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여 수도권 6개, 지방권 2개 사업지구를 최종 선정하였다. 8개 사업지구의 용지별 매각현황을 분석한 결과, 주로 중대형 공동주택과 도시지원시설용지, 블록형 단독 및 연립주택용지 매각이 부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8개 사업지구는 공통적으로 경기변동, 시장수요변화 등 외부적 측면과 수요와 공급의 불일치, 경직된 계획기준 등 내부적 측면의 원인을 두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창덕(2004), "토지가치평가 : 이론과 활용방안", 부동산연구, 14(2): 37-63.
  2. 김은종, 여홍구(2010), "공공택지개발사업의 공원 및 녹지계획 수립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영향평가 요소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45(3): 105-121.
  3. 박성식, 이기열(2006), "도심건부지의 토지건물 이중가치모형에 관한 연구", 부동산연구, 16(2): 9-29.
  4. 박지호, 박환용(2004), "조건부가치추정법(CVM)을 이용한 신도시 중앙공원의 경제적 가치평가", 국토계획, 39(6): 199-214.
  5. 박재홍, 김철홍(2010), "도시지원시설용지의 활성화 요인에 관한 연구 : 입주자 관점에서 본 활성화 요인을 중심으로", 도시행정학보, 23(3): 127-141.
  6. 서충원(2009), "택지개발사업지구 내 미매각 학교시설용지의 해소방안 연구", 부동산학보, 39: 347-355.
  7. 손동욱, 박현신(2011), "택지개발사업구역 내 도시지원시설용지의 계획과 공급을 위한 제도정비방안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지, 12(3): 27-39.
  8. 오영선, 유선종(2009), "감정평가 가격형성요인의 기타요인에 관한 연구", 부동산연구, 19(1): 127-150.
  9. 정진원(2009), 부동산 개발사업의 미분양 마케팅 전략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10. 한돈근(2008), 공기업이 조성하는 대규모 토지개발사업에 있어서 부동산 마케팅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