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Meaning of Experience of Teachers who Implemented Action Research

현장연구를 실행해 본 유아교사의 경험과 그 의미에 관한 연구

  • 안지혜 (숙명여자대학교 아동복지학부) ;
  • 서영숙 (숙명여자대학교 아동복지학부)
  • Received : 2013.04.15
  • Accepted : 2013.08.15
  • Published : 2013.10.31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figure out the action research process and experience and to examine the significance of such experiences to teachers who implemented action research. This study took in-depth interviews with three experienced teachers and analyzed collected data. In order to carry out action research, they must start from the point of their standing and find the most suitable methodology for the method of their own life. There might cases that they felt strangeness because of unexpected reaction, and struggled hard against uncertainty. But, they finally experienced the joy of completion of their research. Such experiences gave them opportunities to reflect on their own lives and to escape any mannerism through concentration and enthusiasm. And they could recognize the importance of record of ordinary life in a meaningful way, and also recognize the meaning of process as a new start other than failure. So, they made efforts to grant meaning in a widened perspective. And they found themselves to live as empirical researchers.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eachers in the educational field could not only have sufficient quality to be researchers but also need to be more aware of such talents.

본 연구는 유아교사로 살아가면서 교육대학원에 진학하여 현장연구를 실행해 본 유아교사 3인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하여 그들의 경험을 드러내고 그 의미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현장연구의 실행과정은 그들의 현장에서 출발하였고, 연구주제, 자신의 관점과 맞는 적합한 연구방법을 고려하게 되며, 현장 속으로 다시 들어가게 된다. 익숙하게 느껴졌던 현장은 예상치 못한 반응에 낯설게 느껴지기도 하고 연구과정의 불확실성으로 불안하기도 했지만 점차 연구의 탄력을 더하여 드디어는 해냈다는 희열을 맛보게 되었다. 이러한 경험을 통해 자신을 돌아보고 집중과 열정을 통해 타성에서 벗어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되었다. 또한 일상을 의미있게 하는 기록의 중요성을 깨닫고, 실패가 아닌 새로운 출발로서의 과정의 소중함을 느꼈으며, 폭넓은 관점으로 스스로 의미를 부여하려 노력하였다. 그리고 실행연구자적 삶을 살아가고 있는 자신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현장교사들이 충분히 연구자가 될 수 있음과 교사 자신이 이를 자각해나가는 것이 필요함도 확인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분한 외(1999). 현상학적 연구방법의 비교고찰-Giori, Colaizzi, Van Kaam방법을 중심으로-. 대한간호학회지, 29(6), 1208-1220.
  2. 김영천(2006). 질적연구방법론. 서울: 문음사.
  3. 김은숙, 한미라(2009).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의 기록작업에 대한 교사 인식의 변화. 경남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4. 김지선(2011). 수업반성을 통한 교육과정 실행자로서의 교사에 관한 연구. 교육과정연구, 29(1), 187-208.
  5. 김희연(2004). 실행연구자(action researcher)로서의 유아교사: 유아교사의 정체성 확립을 위한 일고. 유아교육연구, 24(6), 235-255.
  6. 서동은(2009). 하이데거와 가다머의 예술이해. 서울:누멘
  7. 서혜정, 김은영(2012). 자유선택활동시간에 교사역할을 찾아가는 현장연구. 유아교육학논집, 16(5), 163-188.
  8. 성열관(2005). 반성적 교사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실천연구, 교육과정연구, 23(1). 261-282.
  9. 성열관 (2006). 교육과정 실행연구의 성장과 주요 특징에 대한 이론적 고찰. 교육과정연구, 24(2).87-109.
  10. 손유진, 정혜영, 손원경(2008). 현장개선과 실행연구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요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3(3), 455-476.
  11. 신경림, 조명옥, 양진향(2008). 질적연구방법론. 서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2. 안지혜(2011). 교사와 부모 간 프로젝트 일지 공유의 의미.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13. 안지혜(2012). 프로젝트 일지쓰기 과정에서 경험하는 교사됨의 의미. 유아교육연구, 32(4), 341-363.
  14. 안혜준(2010). 유아교사의 반성적 정서저널쓰기 과정의 의미탐색. 유아교육학논집, 14(4), 287-314.
  15. 염지숙(2011). 교육과정 실행 주체로서의 유치원 교사의 역할과 전문성. 유아교육학논집, 5(6), 295-310.
  16. 오채선(2009). 질적연구의 계획과 설계.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추계학술논문집. 621-635.
  17. 이경진, 김경자(2005). '실행'을 중심으로 본 교육과정의 의미와 교사의 역할. 교육과정연구, 23(3), 57-80.
  18. 이근호(2007). 질적연구방법론으로서의 현상학-독특성과 보편성 사이의 변증법적 탐구양식-. 교육인류학연구, 10(2). pp.41-64.
  19. 이부미(2007). 공동육아 어린이집 교사의 실천적 지식구성과정에 대한 현장연구: 연못활동을 중심으로. 유아교육학논집, 11(2), 5-46.
  20. 이부미(2009). 생태론적 세계관, 2007년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에서 어떻게 실현할 것인가? 한국유아교육과정, 아이와 교사를 행복하게 하는가?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자료집, 25-52.
  21. 이부미(2010). 공동육아 교사들의 협력적 실행연구 경험에 대한 탐색, 유아교육학논집, 14(3),123-171.
  22. 이용숙 외(2005). 실행연구방법. 서울: 학지사.
  23. 이진화(2004). 유아교육 교수-학습의 질적향상을 위한 현장연구(action research)의 효용성 탐색. 교육과학연구, 35(2), 105-120.
  24. 이혁규(2005). 교육현장 속으로 들어온 실행연구 논문읽기. 초등우리교육, 18, 118-122.
  25. 이혁규(2009). 교육현장 개선을 위한 실행연구방법. 교육비평, 25, 196-213.
  26. 장상호(1997). 학문과 교육(상).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27. 장석주(2012). 일상의 인문학. 서울: 민음사.
  28. 정민(2010). 한시미학산책. 서울: 휴머니스트.
  29. 정민(2012). 일침. 파주: 김영사.
  30. 조재식(2002a). 연구자로서의 교사 개념에 대한 이론적 고찰. 교육인류학연구, 5(2), 191-222.
  31. 조재식(2002b). 교육과정 실행과 교사의 일: 현상학적 접근. 교육과정연구, 20(1). 229-252.
  32. 조정호(2002). 현장연구의 새로운 방향에 대한 고찰-지정토론. 한국교육인류학회 춘계 학술대회, 29-32.
  33. 진권장(1999). 교육경험의 의미에 관한 해석학적 이해. 교육인류학연구, 2(1), 123-169.
  34. 한국문화인류학회(2003). 처음만나는 문화인류학. 서울: 일조각.
  35. 한전숙(1998). 현상학. 서울: 민음사.
  36. 황광우(2012). 철학하라. 서울: 생각정원.
  37. Atkinson, S. (1994). Rethinking the principles and practices of action research: The tensions for the teacher-researcher. Educational Action Research, 2(3), 383-401. https://doi.org/10.1080/0965079940020306
  38. Bruner, J. (1996). The culture of education.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39. Clandinin, D. J. (1985). Personal practical knowledge: A study of teacher's classroom image. Curriculum Inquiry, 15(4), 361-385. https://doi.org/10.2307/1179683
  40. Eisner, E. (1988). The primacy of experience and the polities of method. Educational Researcher, 20, 15-20.
  41. Elliott, J. (1991). A Practical guide to action research. Buckingham: Open University Press.
  42. Gadamer, H. G. (1993). Truth and Method. London: Sheed and Ward.
  43. Grundy, S. (1994). Action research at the school level: possibilities and problems. Educational Action Research, 2(1), 23-38. https://doi.org/10.1080/09650799400200007
  44. Kemmis, S., & McTaggart, R. (2000).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In N. Denzin & Y. Lincoln(Ed.),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2nd ed.)(pp. 568-569). Thousand Oak, London: Sage Publication, Inc.
  45. Mills, G. E. (2005). 교사를 위한 실행연구. (강성우, 부경순, 심영택, 양갑렬, 이경화, 이혁규, 임진영, 허영식 옮김). 서울: 우리교육(원판 2003).
  46. Noffke, S. (1994). Action research towards the next generation. Educational Action Research, 2(1), 9-21. https://doi.org/10.1080/09650799400200010
  47. Padget, D. K. (2001). Qualitative Method in Social Work Research: Challenges and rewards.
  48. Patton, M. Q. (2002). Qualitative research and evaluation methods(3rd ed). Thousand Oak, CA:Sage.
  49. Ricoeur, P. (1981). In J. B. Thompson (Ed), Hermeneutics and the Human Science. Lond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50. Squire, F. (1999). Action research & Standards of practice for the teaching profession: Making connections. Ontario Action Researcher, 2(12), 1-11.
  51. Stenhouse, L. (1975). An introduction to curriculum research and development. London: Educational Books.
  52. Van Manen, M. (1990). Researching lived experience: Human science for an action sensitive pedagogy. New York: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53. Winter, R. (1989). Learning from experience: Principles and practice in action-research. London: The Falmer Press.
  54. Zeichner, K. (2001). Educational Action research, In H. Bradbury, & P. Reason(Eds), Handbook of Action Research, 273-284. Newbury Park: Sage.
  55. Zeichner, K. (2003). Teacher research as professional development. Educational Action Research, 3(2), 295-324.

Cited by

  1. The Effect of SNS Use by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PBL-Based Class on the Flow and Problem-Solving Skills vol.10, pp.6, 2014, https://doi.org/10.14698/jkcce.2014.10.6.165
  2. Analysis of domestic research trends of action research in the area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11, pp.2, 2013, https://doi.org/10.16978/ecec.2016.11.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