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freshmen's achievements for grade point average among college entrance types in natural science or engineering

입시전형별 이공계 신입생의 대학수학 성취도 비교 분석 - 2012년 M 대학교 이공계 신입생을 중심으로 -

  • Received : 2013.04.18
  • Accepted : 2013.08.14
  • Published : 2013.11.30

Abstract

In this paper, we analyzed the freshmen's achievements on general mathematics their GPA based on 'basic mathematics diagonal test score' among college entrance types in natural science or engineering. Also, we studied the achievements of students who were not passed the 'Basic Mathematics Diagonal Test (BMDT)' and had to take supplementary lessons to improve their mathematics abilities four times a week during the first semester of academic year 2012 in Mokpo National University. We found the followings; first, freshmen were accepted by the university through the regular admission have a higher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compared other type admission. Second, freshmen's academic achievement in the first semester has significant meaningful effect on their academic achievement in the second semester. Finally, there are correlations between achievements of general mathematics and a curriculum of freshmen who were passed test after taking supplementary lessons.

최근 대학에 진학하는 이공계 신입생들의 상당수가 정상적인 전공과목이수가 어려울 만큼 수학과목에 대한 기초수학능력이 심각한 수준으로 저하되어 기초수학능력 및 대학 수학과목의 성취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2012학년도 M대학교 이공계열 신입생 666명을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여 이공계 신입생의 모집전형별 고교내신등급, 대학 성취도와 대학수학 성취도 사이의 관계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고교내신등급이 상대적으로 좋은 수시모집 학생들보다 고교내신등급이 상대적으로 낮은 정시모집 학생들의 대학 1학년 성취도와 대학수학 성취도가 더 높게 나타났고 대학수학 성취도가 높은 학생들의 대학 1학년 성취도가 높았다. 둘째, 이공계열 전체 뿐만 아니라 각 모집전형별 이공계 신입생들의 대학 1학기 성적이 대학 2학기 성적에 매우 강한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초학력보충교육 통과자들과 미통과자들의 기초보충교육 성적과 대학 1학기와 대학수학 1의 성취도 사이의 상관계수가 대학 2학기와 대학수학 2의 성취도 사이의 상관계수보다 높게 나타나 기초보충학습이 2학기 성취도 보다 1학기 성취도에 더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병무 (1999). 학습부진 학생을 위한 대학수학 수업모델,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 논문집>, 9, 219-226.
  2. 김병무․김규상 (1998). 대학 수학 학업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37(2), 159-172.
  3. 김영옥 (2009). 이공계 대학 신입생들의 수학불안과 수학 학업 성취도와의 상관관계.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48(4), 469-481.
  4. 김영희․허민 (2006). 수능 응시 영역에 따른 대학 교양 수학 성취도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 논문집>, 20(4), 523-535.
  5. 김태수․김병수 (2008). 대학수학의 수준별 수업에 따른 성취도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논문집>, 22(3), 369-382.
  6. 박형빈․정인철․이헌수 (2010). 이공계 신입생의 수학 기초학력과 학업 성취도에 관한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49(3), 329-341.
  7. 오정현․정재윤․홍영훈․박상규․김삼용 (2010). 대학 입학전형별 성취도 연구. 응용통계연구, 23(5), 987-996.
  8. 이규봉․오원태․위인숙․장주섭 (2007). 대학 신입생의 수학 기초실력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 논문집>, 21(4), 613-620.
  9. 이정례․이성진․권혁홍․이경희 (2011). 수학기초학력 향상프로그램이 성취도와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D대학교 공과대학 신입생을 중심으로-.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 논문집> 25(1), 167-184.
  10. 장승준․심상길․이기준․신석희․권종남 (2008). 이공계열 학생들의 수학 능력 향상을 위한 기초수학의 실시 방안. 대학교육개발센터협의회 제6회 동계심포지엄 프로시딩, 177-187.
  11. 정상조.박중수.김태순 (2011). 공학인증 기초수학에서 학습부진 학생 성취도 향상을 위한 방안 탐색.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 논문집>, 25(3), 593-606.
  12. 최경미.장인식.정보현.정순모.양우석.조규남 (2007). 중위권 대학 신입생의 수학적 배경과 대학수학 성취도 사이의 관계.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46(1), 53-67.
  13. 최국렬 (2006). 입학성적과 대학학업성취도의 관련성 분석.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191-194.
  14. 최준석.김병수 (2010). 입학사정관제 전형 입학자와 수능중심 전형 입학자간의 성취도 비교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1(11), 4220-4227.
  15. 한우석.강경희.김진경.이혜경 (2012). 대학입학사정관제에 대한 고등학교 교사의 인식에 대한 연구; 면접전형을 중심으로. 디지털정책연구, 10(1), 391-398.
  16. 허민 (2008). 대학 교양수학 과목의 학력 차이에 대하여. 수학교육논총, 26, 59-70.
  17. 홍대기.조경태.박병수 (2008). 상명대학교 공과대학 수학교육 강화방안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집, 9(5), 1479-1486. https://doi.org/10.5762/KAIS.2008.9.5.1479

Cited by

  1. 중위권 공과대학 신입생들의 수학적 성향의 변화 분석 vol.29, pp.4, 2015, https://doi.org/10.7468/jksmee.2015.29.4.745
  2. 대학의 미적분학 교과목에서 수업 방식에 따른 교육 효과 고찰 vol.30, pp.1, 2013, https://doi.org/10.7468/jksmee.2016.30.1.47
  3. A Study on Basic Learning Ability Support System for University Students: Based on Professors and Students' Perception and Needs vol.22, pp.2, 2013, https://doi.org/10.24159/joec.2016.22.2.101
  4. 공과대학생들의 학습지원을 위한 수학클리닉 프로그램별 교과만족도 차이 연구 vol.19, pp.5, 2013, https://doi.org/10.18108/jeer.2016.19.5.48
  5. 교양수학 교과목 공동관리 운영의 효율성에 대한 고찰 vol.22, pp.5, 2013, https://doi.org/10.18108/jeer.2019.22.5.3
  6. 블렌디드 이러닝이 공학수학 교수·학습에 미치는 효과 vol.22, pp.4, 2013, https://doi.org/10.30807/ksms.2019.22.4.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