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Greenhouse Gas Reduction Potentials in a Electronic·Electrical components company using LEAP Model

LEAP 모형을 활용한 전자소재·부품업의 온실가스 감축 잠재량 분석

  • Park, Yeong-Su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Kumoh National Institute of Technology) ;
  • Cho, Young-Hyuck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Kumoh National Institute of Technology) ;
  • Kim, Tae-Oh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Kumoh National Institute of Technology)
  • 박영수 (금오공과대학교 환경공학과) ;
  • 조영혁 (금오공과대학교 환경공학과) ;
  • 김태오 (금오공과대학교 환경공학과)
  • Received : 2013.10.29
  • Accepted : 2013.12.02
  • Published : 2013.12.31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energy demand, greenhouse gas emission and greenhouse gas reduction potential of Electronic Electrical components company. The LEAP model targeting long term energy plan was used to establish the most efficient plan for the companies by examining the climate change policy of government and the countermeasures by companies. A scenario was created by having 11 greenhouse gases reduction plans to be introduced from 2011 as the basic plan. Regarding input data, energy consumption by business place and by use, number of employee from 2009 to 2012, land area and change in number of business places were utilized. The study result suggested that approximately 13,800 TJ of energy will be spent in 2020, which is more than 2 times of 2012 energy consumption. When the integrated scenario based on the reduction plan of companies would be enforced, approximately 3,000 TJ will be reduced in 2020. The emission of greenhouse gases until 2020 was forecasted as approximately 760,000 ton $CO_2eq$. When the integrated scenario would be enforced, the emission will be approximately 610,000 ton $CO_2eq$, which is decrease by approximately 150,000 ton $CO_2eq$. This study will help the efficient responding of eElectronic Electrical components company in preparing detail report on objective management system and enforcement plan. It will also contribute in their image as environment-friendly companies by properly responding to the regulation reinforcement of government and greenhouse gases emission target based on environment policy.

Keywords

References

  1. 국립환경과학원, 2010, 온실가스 감축잠재량 평가모델 구축 및 감축기반 연구.
  2. 기상청, 2011, 지역기후변화정보 어떻게 활용해야 하나.
  3. 김진형, 2008, 기후변화협약에 따른 대구시 산업부문 온실가스 현황 및 감축 잠재량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김호석, 2007, LEAP 모델링시스템을 이용한 상향모형 구축 및 에너지부문 기후정책 평가, 한국에너지기후변화학회지, 2(1), 49-58.
  5. 민문기, 2012, 온실가스.에너지 목표관리제 현황과 전망, 전기저널, 425, 28-33
  6. 박년배, 2011, 발전 부문 재생가능 에너지 전환을 위한 장기 시나리오 분석,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7. 박찬, 김대곤, 성미애, 서정현, 설성희, 홍유덕, 이동근, 2013, 지자체 유형별 사회경제적 특성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특성 분석,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지, 22(3), 195-201. https://doi.org/10.14249/eia.2013.22.3.195
  8. 박효정, 정혜진, 이승묵, 박재우, 2012, LEAP 모델 적용을 통한 대학단위 온실가스 감축안 도출- 한양대학교 안산캠퍼스 대상으로, 대한환경공학회지 34(4), 280-287. https://doi.org/10.4491/KSEE.2012.34.4.280
  9. 신승복, 전수영, 송호준, 박종진, 2009, LEAP 모형을 이용한 연료전지 열병합발전설비 도입에 따른 온실가스배출저감 잠재량 분석, 에너지공학 18(4), 230-238.
  10. 에너지경제연구원, 2010, 제5차 에너지이용합리화 기본계획 수립연구.
  11. 에너지관리공단, 2011, 2011 에너지절약 통계 핸드북
  12.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 2011, 2020년 저탄소 사회구축을 위한 로드맵 단계별.부문별 온실가스 감축목표 수립.
  13. 우정호, 최경식, 2012 LEAP 모델을 이용한 대학의 온실가스 배출량 및 감축잠재량 분석,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지 21(3), 409-415.
  14. 유정화, 박년배, 조미현, 전의찬, 2012, 상향식 모형을 이용한 대학의 온실가스 감축 잠재량 평가, 한국기후변화학회지 3(3), 183-193.
  15. 유기형, 송규동, 2007, 바닥급기 시스템의 거주역 공조를 위한 설계 기법 및 에너지 절감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태양에너지학회, 27(3), 127-133.
  16. S. Zampolli, I. Elmi, F. Ahmed1, M. Passini, G.C. Cardinali, S. Nicoletti, L. Dori, 2004, An electronic nose based on solid state sensor arrays for low-cost indoor air quality monitoring applications, 101, 39-46.
  17. 강한기, 정진우, 2005, 반도체 공정에서 수축열시스템 적용사례, 대한설비공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36-40.
  18. 이유지, 유미혜, 정웅준, 박상훈, 여명석, 김광우, 2011, 주거건물에 구체축열시스템 적용 시 운전시간에 따른 에너지 절감량 분석, 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16-19.
  19. 김동은, 김진효, 2011, 국내 업무시설의 LEED 인증을 위한 건물 에너지 비용 절감 분석, 대한건축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31(2), 453-454.
  20. 안윤기, 허재용, 진윤정, 2010, MARKAL 모형을 통한 철강산업의 온실가스 감축잠재량 분석, 한국지구시스템공학회, 47(3), 312-323.
  21. 이상엽, 유상희, 2009, 우리나라 산업부문의 온실가스 저감잠재성 분석, 산업혁신연구, 25(4), 177-196.
  22. 임재규, 2006, 기후변화협약 제3차 국가보고서 작성을 위한 기반구축연구(제3차년도), 에너지경제연구원.
  23. 장현재, 2002, 거주역 중심의 자연환기 방식과 하이브리드(Hybrid) 공조방식, 공기청정기술, 15(4), 44-54.
  24. 조미현, 2013, LEAP 모형을 이용한 가정 부문 온실가스 저감대책 분석, 세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5. 환경부, 2011, 온실가스.에너지 명세서 작성 해설서.
  26. 환경부, 2012, 온실가스 배출 전망 및 감축잠재량 예측.분석.평가 기술 개발에 관한 연구.
  27. Heaps, C., 2008, An Introduction to LEAP, Stockholm Environment Institute.
  28. IPCC, 2006, IPCC Guidelines.
  29. Shin, H. C., Park, J. W., Kim H. S., Shin E. S., 2005, Environmental and economic assessment of landfill gas electricity generation in Korea using LEAP model, Energy Policy, 33(10), 1261-1270. https://doi.org/10.1016/j.enpol.2003.12.002
  30. Stern, Nicolas, 2009, The Global Deal: Climate Change and the Creation of a New Era of Progress and Prosperity.
  31. 에너지관리공단 http://www.kemco.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