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ssessment on Economies-Environmental Affect of Smart Operation System(SOS) in Sewage Treatment Plant

실증규모 하수처리장에 적용된 스마트 운영시스템의 경제-환경적 기여도 평가

  • Received : 2013.08.05
  • Accepted : 2013.08.28
  • Published : 2013.12.31

Abstract

Generally, Sewage Treatment Plants(STPs) are complexes systems in which a range of physical, chemical and biological processes occur. However, their performance strongly depends on the know-how acquired by the field-engineer. Recently, in order to solve this situations, various operation and management technologies based on the Instrumentation, Control and Automation(ICA) have been developed. As a economies-environmental affect point of view, this study was for the performance evaluation and assessment of results from the Smart Operation System(SOS) in full-scale STP. The SOS in STP consisted of the process monitoring module, including real-time influent prediction and effluent simulation, and the Smart Air Control(SAC) module. According to the results from field test for 2 years, the results of economical evaluation, amount of benefits and cost saving by the SOS have shown to be much higher than that of traditional operation. Nevertheless, the removal load(kg/yr) of BOD 13.3 %, COD 28.2 %, TN 44.4 % and TP 20.8 % were increased, respectively. Remarkable improvement of removal load could be achieved after the SOS was adapted. It was concerned that the SOS offer a user friendly functionalities and cost saving needed by the field-engineers. In addition, it wa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supply helpful information for design and cost saving for the SOS in full-scale STP.

Keywords

References

  1. 김경학, 유승훈, 2013, 전라남북도 하수처리시설 운영에 대한 규모의 경제성 분석, 대한상하수도학회지, 27(1), 11-20.
  2. 김신걸, 최인수, 구자용, 2008, ASM No.2 간략화 모델에 기초한 인산염의 제어 및 인 섭취 제한현상에 대한 고찰, 대한환경공학회지, 30(2), 181-189.
  3. 김연권, 김지연, 김병군, 문용택, 김홍석, 서인석, 한인선, 2009, 생물학적 하수처리장 모사를 위한 동적-물질수지모델 기반의 KM2BM 적용성 평가, 한국환경기술학회지, 10(3), 182-188.
  4. 김연권, 채수권, 한인선, 김주환, 2010, 하수처리장 유입수의 특성평가를 위한 실시간 수질예측,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지, 19(6), 617-623.
  5. 김연권, 김병군, 김홍석, 김지연, 2013, 스마트 운영기술이 적용된 하수처리장의 환경기여도 평가.환경적/경제적 관점에서,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춘계학술대회.
  6. 김연권, 김병군, 김홍석, 김지연, 2012, 실시간 유입수 분석기술과 모델모사기술을 이용한 실규모 BNR 공정에서의 스마트 공기량 제어시스템 평가, 한국수처리학회지, 20(5), 71-80.
  7. 김창원, 2011, 하수처리장 실시간 진단.제어 운영 기술동향, 하수처리시설의 SMART 운영기술 심포지엄-IT기술을 접목한 첨단 운영관리, 15-30.
  8. 우승한, 이민우, 박종익, 박종문, 2003, 미국 EPA의 CPE 기법을 이용한 국내 하수처리장 평가, 대한환경공학회지, 25(5) 535-543
  9. 이경용, 2011, 하수처리시설 통합운영관리 추진계획, 하수처리시설의 SMART 운영기술 심포지엄-IT기술을 접목한 첨단 운영관리, 117-131.
  10. 최주행, 2011, 하수처리시설 통합운영관리 시스템 운영 현황, 하수처리시설의 SMART 운영기술 심포지엄-IT기술을 접목한 첨단 운영관리, 97-116.
  11. 한국개발연구원, 2007, 환경분야 민간투자사업 적격성조사 지침 연구.
  12. 한국개발연구원, 2008, 수자원부문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판).
  13. 환경관리공단, 2006, 수질원격감시체계(TMS)구축 업무처리 절차, SOP No. WTMS-OF-PC.
  14. 환경부, 2008, Data mining 기법에 의한 하수처리장 운전의 예측진단, 동향/연구보고서.
  15. 환경부, 2010, 2009년도 공공하수처리시설 운영관리실태 분석결과.
  16. 한국수자원공사, 2010, 자가진단형 하수처리장 운영관리 시스템 개발 및 실규모 하수처리장 현장적용 연구(3차년도) 연구보고서.
  17. Henze, M., Gujer, W., Mino, T. and Loosdrecht, M., 2008, Activated sludge models ASM1, ASM2, ASM2d and ASM3, IWA Scientific and Techmical Report, IWA, UK.
  18. Henze2, M, van Loosdrecht, M.C.M, Ekama, G.A., Bradjanovic, D., 2008, Biological Wastewater Treatment; Principles, modelling and Design, IWA.
  19. Matsui, S., Kato, T. and Shimizu, Y., 2005, "Japan's Waster and Sewage Service Systems at a Turning Point and the Chnllenge of ICA Technology," Proc. 2nd IWA-ICA, P4-14. 1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