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Basic Renewal Directions of Boundary Barriers in Rural Villages by Multi-attribute Decision Making

다요소의사결정법에 의한 농촌마을담장정비의 기본방향

  • Lim, Jong-Hyeon (Dept. of Rural & Biosystems Eng., Jeonnam Nat'l Univ.) ;
  • Choi, Soo-Myung (Dept. of Rural & Biosystems Eng., Jeonnam Nat'l Univ.) ;
  • Yang, So-Yeol (Dept. of Rural & Biosystems Eng., Jeonnam Nat'l Univ.) ;
  • Cho, Eun-Jung (Dept. of Rural & Biosystems Eng., Jeonnam Nat'l Univ.)
  • 임종현 (전남대학교 지역.바이오시스템공학과) ;
  • 최수명 (전남대학교 지역.바이오시스템공학과) ;
  • 양소열 (전남대학교 지역.바이오시스템공학과) ;
  • 조은정 (전남대학교 지역.바이오시스템공학과)
  • Received : 2013.11.12
  • Accepted : 2013.12.26
  • Published : 2013.12.30

Abstract

The value and functionality of boundary barriers in rural villages have been neglected in the aspects as the buffer zone(boundary barrier) that links between the inside space(housing site) and the outside space(road). On this understanding, this study evaluated conservation value, economical efficiency and durability by the types and materials of the boundary barriers in rural village through Multi-attribute Decision Making. By applying to the current situations of boundary barriers on total 21 case study villages, each factor value was measured. And using Matrix Analysis Technique, the boundary barriers are classified into 4 types and the improvement ways for each type were proposed. As a result, the durability of boundary barriers in rural villages showed similarity value(more than 0.85 out of 1). But economical efficiency of those was low(less than 0.5 out of 1) and those functionalities were very lacking(about 0.3 out of 1). In the conclusion, the maintenance of boundary barriers in rural villages requires the policy that is able to complement conservation value and economical efficiency and is proper to the characteristic of each village. These renewable policies would contribute to the increase of the value of rural amenity as well as creation of economical and social value.

Keywords

References

  1. 김성희, 정병호, 김재경, 1999, 의사결정분석 및 응용, 영지문화사.
  2. 김영금, 최정민, 2012, 구룡 해안마을 경관형성 기본계획, 한국조경학회지 40(6) pp.23-34. https://doi.org/10.9715/KILA.2012.40.6.023
  3. 김영미, 2004, 농촌담장의 평가에 관한 연구 : 도시민과 농촌주민의 비교를 중심으로.
  4. 김영수, 2008, 부산시 담장 허물기 사업의 개선방안 연구, 부산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정호, 김창길, 송미령, 한석호, 장도환 , 2010, 농업 농촌 2030/2050 비전과 과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6. 김진욱, 2005, 한식 벽체 미장 기법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노윤미, 신경주, 장상옥, 2010, 거주자 평가를 통해 본 담장 허물기 사업 : 성동구, 관악구, 구로구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생활과학연구 30(2) pp.72-80.
  8.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 시행지침서, 농림축산식품부, 2006.
  9. 문화재청, 2004, 민속마을 보존관리 종합정비계획 공통지침.
  10. 문화재청, 2012, 문화재수리 설계 대가기준.
  11. 서울특별시, 2011, 2011년도 정책자료집 도시교통본부 주차계획과.
  12. 안진희, 2010, 담장허물기 사업 후 공간 활용과 도시 조직 관계 특성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임종현, 2012, 농촌마을 담장자원의 현황조사.분석,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임종현,최수명, 2013, 농촌마을 담장의 역사적 변천과정 탐색, 한국농촌계획학회지 19(1) pp.23-32. https://doi.org/10.7851/ksrp.2013.19.1.023
  15. 정성관, 리 정, 1994, 담장의 시각적 선호성 및 이미지 분석, 한국조경학회지 55('94.10) pp.65-78.
  16. 정충섭, 정준현, 이중우, 1995, 공간구문론에 의한 전통주거의 공간구조의 분석연구- '길-담-마당'의 공간구조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계획계 15(2).
  17. 한국물가정보(www.kpi.or.kr), (사) 한국물가정보.
  18. 홍순영, 2009, 근대 건축유산의 보전가치에 따른 활용방법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 芦原 義信, 建築の 外部空間, 技文堂.

Cited by

  1. Analysis on Characteristics of Installing Environment for Improvement of Boundary Barriers in Rural Villages vol.21, pp.1, 2015, https://doi.org/10.7851/ksrp.2015.21.1.0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