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Application of Landscape Diagnosis Index and Landscape Formation Plan of Rural Villages

농촌마을단위 경관진단지표 적용 및 경관형성방안에 관한 연구 - 충청북도 9개 마을을 대상으로 -

  • Song, Hee-Jung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
  • Kim, Dae-Sik (Dept. of Agri. Eng., College of Agri. & Life Sciences, Chungnam Nat'l Univ.) ;
  • Doh, Jae-Heung (Dept. of Agri. Eng., Graduate School, Chungnam Nat'l Univ.) ;
  • Koo, Hee-Dong (Dept. of Agri. Eng., Graduate School, Chungnam Nat'l Univ.)
  • 송희중 (한국농어촌공사) ;
  • 김대식 (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지역환경토목학과) ;
  • 도재형 (충남대학교 대학원 농공학과) ;
  • 구희동 (충남대학교 대학원 농공학과)
  • Received : 2013.09.29
  • Accepted : 2013.11.28
  • Published : 2013.12.30

Abstract

In this study, it propose what the landscape elements is to be improved urgently and how to improve landscape by reflecting the rural village characteristics away from the spatial integrated landscape planning. The study area for landscape research is selected as the 9 rural villages in Chungcheongbuk-do, and research is done by using village unit landscape diagnostic index(VULDI). the result is shown that average VULDI value of the rural village zones is bigger than one of the town village zones with difference of 15%. Two zones of Chilseong-myeon and Sangchon-myeon among the town village zones are appeared to be similar with the rural village zones in landscape level by VULDI value. Generally, the rural villages to maintain the good landscape have the low population and high engagement rate in agriculture. Looking political support criteria at the landscape level, the seven zones except Deoksan-myeon and Maengdong-myeon have high VULDI value more than 60%, which means that it seems unnecessary to support political landscape improvement. However, when it is divided into two parts of the village inside landscape and the surrounding landscape, 8 rural village zones except one zone of Sangchon-myeon have low VULDI value less than 60%, which means it is necessary to support political landscape improvement. It is important to give the intensive support of ever urgent landscape improvements and high priority landscape elements on the results of the diagnostic before planning of the rural landscape formation.

Keywords

References

  1. 김대식, 전택기, 배승종, 2010, 농촌마을단위의 정주 환경진단지표 개발, 한국농촌계획학회지, 16(3), 1-15.
  2. 김성학, 양병이, 2009, 농촌 마을경관을 고려한 지역경관계획 수립 방안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7(3), 82-90.
  3. 김한수, 오충현, 2011, 경관지수를 활용한 농촌마을 유형분류, 한국농촌계획학회지, 17(3), 1-13. https://doi.org/10.7851/ksrp.2011.17.3.001
  4. 나정화, 류연수, 사공정희, 2001, 평가지표에 의한 도시 비오톱의 가치 평가, 한국조경학회지, 29(1), 100-112.
  5. 나정화, 이정민, 2003, 도시 비오톱의 경관생태학적 특성 분석, 한국조경학회지, 30(6), 128-139.
  6. 나정화, 조현주, 이현택, 김진효, 박천진, 2011, 자연체험 및 휴양가치 등급 설정을 위한 비오톱 구조분석, 한국농촌계획학회지, 17(3), 27-41. https://doi.org/10.7851/ksrp.2011.17.3.027
  7. 박천진, 나정화, 조현주, 김진효, 권오성, 2012, 비오톱 유형분류를 기반으로 한 경관평가 모형개발 및 적용, 한국조경학회지, 40(4), 114-126. https://doi.org/10.9715/KILA.2012.40.4.114
  8. 백호진, 정산국, 2008, 전원마을의 입지선정평가에 관한 연구, 부동산학연구, 14(2), 75-96.
  9. 송희중, 김대식, 2013, 농촌마을단위 경관진단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계획학회지, 19(3), 107-115. https://doi.org/10.7851/ksrp.2013.19.3.107
  10. 안동만, 김명수, 2003, 환경친화적인 도시공원녹지 계획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1(4), 34-41.
  11. 이동근, 김은영, 2008, 수도권 내 개발계획관련 요소와 산림파편화 관계분석을 통한 관리방안, 한국조경학회지, 35(6), 37-47.
  12. 이동근, 윤소원, 김현, 김은영, 2004, 자연환경분석을 통한 생태학적 지역 구분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계획학회지, 10(1), 27-33.
  13. 이우성, 2011, 산림녹지의 계획 및 관리를 위한 자연생태적 기능 평가, 한국조경학회지, 39(5), 1-11.
  14. 이정아, 이유경, 이상우, 전진형, 2011, 수변 농촌마을의 경관 자원 우수성 평가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계획학회지, 17(3), 91-101.
  15. 정순오, 2009, 도시림의 보호 및 증진관리를 위한 계획제도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계획학회지, 15(4), 135-146.
  16. 조현주, 이현택, 사공정희, 나정화, 2010, 비오톱의 자연체험 및 휴양가치 평가모형 개발과 적용, 한국조경학회지, 38(4), 11-24.
  17. 허지연, 이경재, 한봉호, 2011, 도심 산지형공원의 생물서식 기능 및 친자연적 이용을 위한 개선방안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9(4), 83-97.

Cited by

  1. 농촌의 에너지사업 유무에 따른 경관색채 인식 비교연구 vol.24, pp.2, 2013, https://doi.org/10.12653/jecd.2017.24.2.0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