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ulti Screen 서비스 발전 동향 및 전망

  • Published : 2013.08.31

Abstract

본고에서는 Multi Screen 서비스의 태동과 발전 과정, 사용자의 이용형태 분석을 통한 현재 모습 그리고 향후 이어질 Multi Screen 기술의 진화를 전망한다. 특히 Multi Screen 관점에서 본 2007년에서 2013년까지 네트워크의 성장, 단말의 스마트화, 클라우드 컴퓨팅의 등장 등 기술의 발전 과정을 살펴보고, 실제 사용자들이 인식하는 Multi Screen 환경에 대해 분석해 본다. 또한 새로운 Screen의 등장, PES(Personal Environment Service) 기반 스마트 Screen 환경의 보편화, Screen의 Virtual화 등 세가지 측면에서 앞으로의 기술 발전과 소비 창출이 어떻게 이어질까를 예측해 본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윤화, "N스크린 전략 및 추진 동향 분석", 정보통신정책, 제22권 20호,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10.11.
  2. 이현주,"N스크린 서비스를 위한 주요기술 및 콘텐트의 발전 방향", 정보처리학회지, 제19권 1호,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12.1.
  3. 김윤화,"세컨드 스크린 해외 서비스 동향", 정보통신정책, 제24권 12호,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12.7.
  4. "The New Multi Screen World: Understanding Cross Platform Consumer Behavior", Google, 2012.8.
  5. 김재호,"스마트TV기반 멀티스크린 서비스 기술 동향", 전자통신동향분석, 제27권 6호,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12.12.
  6. 안충현,"감성정보 서비스 기술동향", 전자통신동향분석, 제27권 6호,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12.12.
  7. "휴먼-디바이스 인터렉션 기술", CT 인사이트, 한국콘텐트진흥원, 2012.12.
  8. 현철민,"Smart Sharing: N-Screen의 미래, 쉽고 편한 공유 기술", Technology Inside LG CNS R&D Journal, LG CNS 정보기술연구원, 20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