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로지스틱 회귀분석과 의사결정나무 분석을 이용한 일 대도시 주민의 우울 예측요인 비교 연구

Comparative Analysis of Predictors of Depression for Residents in a Metropolitan City using Logistic Regression and Decision Making Tree

  • 김수진 (전남대학교 간호대학/전남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
  • 김보영 (호남대학교 간호학과)
  • 투고 : 2013.08.19
  • 심사 : 2013.11.25
  • 발행 : 2013.12.28

초록

본 연구는 로지스틱 회귀분석과 의사결정나무 분석을 활용하여 일 대도시 주민의 우울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예측하고 비교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20세에서 65세 미만의 일 대도시 주민 462명이었다. 자료 수집은 2011년 10월 7일부터 10월 21일까지이었으며, 자료 분석은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및 ${\chi}^2$-test, t-test, 로지스틱 회귀분석, roc curve, 의사결정나무 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로지스틱 회귀분석과 의사결정나무 분석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난 우울 예측요인은 사회부적응, 주관적 신체증상 및 가족 지지이었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 특이도 93.8%, 민감도 42.5%이었고, 본 연구의 모형 적합도를 roc curve 검증 한 결과 AUC=.84으로 본 연구 모형은 적합(p=<.001)하다고 할 수 있다. 우울예측에 대한 의사결정나무 분석은 분류에 대한 예측 정확도에서 특이도 98.3%, 민감도 20.8%이었고, 전체 분류 정확도는 로지스틱 회귀분석은 82.0%, 의사결정나무 분석은 80.5% 이었다. 본 연구 결과 민감성과 분류 정확도와 더 높게 나타난 로지스틱 회귀분석 방법이 지역 주민의 우울 예측 모형을 구축하는데 더 유용한 자료로 사용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with the purpose of predicting and comparing factors of depression affecting residents in a metropolitan city by us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decision-making tree analysis. The subjects for the study were 462 residents ($20{\leq}aged{\angle}65$) in a metropolitan city. This study collected data between October 7, 2011 and October 21, 2011 and analyzed them with frequency analysis, percentage,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chi}^2$-test, t-test,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oc curve, and a decision-making tree by using SPSS 18.0 program. The common predicting variables of depression in community residents were social dysfunction, perceived physical symptom, and family support. The specialty and sensitivity of logistic regression explained 93.8% and 42.5%.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roc) curve was used to determine an optimal model. The AUC (area under the curve) was .84. Roc curve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1). The specialty and sensitivity of decision-making tree analysis were 98.3% and 20.8% respectively. As for the whole classification accuracy, the logistic regression explained 82.0% and the decision making tree analysis explained 80.5%.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believed that the sensitivity, the classification accuracy, and the logistics regression analysis as shown in a higher degree may be useful materials to establish a depression prediction model for the community residents.

키워드

참고문헌

  1. 조성진, 서동우, 함봉진, 이동우, 배재남, 이준영, 장홍석, 정신의료기관, 정신요양시설, 및 부항인 시설 입소자의 정신질환 유병율 및 의료추구행위 경로에 관한 연구, 정신건강증진기금단, 2003.
  2. 김판희, 김희숙, "일 도시지역의 주민의 스트레스 지각, 정신건강 및 사회적 지지", 한국보건간호학회지, 제24권, 제2호, pp.197-210, 2010.
  3. 국민건강보험공단, 국민건강보험공단 통계자료, 2010.
  4. 이승철, 김정근, 김태정, 김동구, 건강한 기업의 조건: 근로자 정신건강, 삼성경제 연구소, 2010.
  5. 보건복지부, 정신보건사업 안내, 2011.
  6. 통계청, 2008-2012 지역건강통계 한눈에 보기, 지역사회건강조사, 2013.
  7. 박은옥, 김문두, 손영주, 송효정, 홍성철, "제주지역 성인의 우울 유병률과 관련요인",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20권, 제3호, pp.277-284, 2009.
  8. 이선혜, 서진환, "한국 성인의 정신건강역량", 사회복지연구, 제41권, 제2호, pp.127-158, 2010.
  9. W. S. Tse, T. L. Rochelle, and J. C. K. Cheung,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social functioning, and depression: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logy, Vol.46, No.3, pp.234-240, 2011. https://doi.org/10.1080/00207594.2011.554553
  10. 김민경, "대학생의 우울과 자살생각의 관계: 부정적 정서와 사회적응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학 연구, 제18권, 제12호, pp.101-129, 2011.
  11. W. S. Tse and A. J. Bond, "The application of the temperament and character inventory (TCI) in predicting general social adaptation and specific social behaviours in a dyadic interaction,"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Vol.35, pp.1571-1586, 2005. https://doi.org/10.1111/j.1559-1816.2005.tb02185.x
  12. A. E. Harris and L. Curtin, "Parental perceptions, early maladaptive schem as, and depressive symptoms in young adults,"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Vol.26, pp.405-416, 2002. https://doi.org/10.1023/A:1016085112981
  13. P. E. McKnight and T. B. Kashdan, "Purpose in life as a system that creates and sustains health and well-being: an integrative, testable theory," Review of General Psychology, Vol.13, pp.242-251, 2009. https://doi.org/10.1037/a0017152
  14. K. M. L. Huijbregts, C. M. van der Feltz-Cornelis, H. W. J. van Marwijk, F. J. de Jong, D. A. W. M. van der Windt, and A. T. F. Beekman, "Negative association of concomitant physical symptoms with the course of major depressive disorder: 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Vol.68, pp.511-519, 2010. https://doi.org/10.1016/j.jpsychores.2009.11.009
  15. 민기채, 이정화, "비공식적 관계망에 대한 지원 제공이 노인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성차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제28권, 제3호, pp.515-533, 2009.
  16. 김영선, 이길자, "노인이 지각한 가족지지와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정신간호학회지, 제9권, 제1호, pp.79-93, 2000.
  17. 권태우, 구유희, "의사결정나무와 로지스틱회귀 분석을 이용한 태권도 수련생 이탈 예측을 위한 비교연구", 한국체육과학회지, 제17권, 제2호, pp.71-83, 2008.
  18. 최종후, 서두성, "데이터마이닝 의사결정나무의 응용", 통계분석연구, 제4권, 제1호, pp.61-83, 1999.
  19. 박명화, 최소라, 신아미, 구철회, "의사결정나무 분석법을 활용한 우울 노인의 특성 분석", 대한간호학회지, 제43권, 제1호, pp.1-10, 2013.
  20. L. S. Radloff, "The CES-D scale: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Vol.1, pp.385-401, 1977. https://doi.org/10.1177/014662167700100306
  21. 조맹제, 김계희, "주요우울증 환자 예비평가에서 CES-10의 진단적 타당성 연구", 신경정신의학, 제32권, 제3호, pp.381-399, 1993.
  22. D. P. Goldberg and V. F. Hillier, "A scaled version of the general health questionnaire," Psychosomatic Medicine, Vol.9, pp.139-145, 1979.
  23. 신선인, "한국판일반정신건강척도(KGHQ)의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 사회복지학, 제46권, pp.210-235, 2001.
  24. S. Cobb, "Social support as a moderater of life stress," Psychosomatic Medicine, Vol.38, No.5, pp.300-314, 1976. https://doi.org/10.1097/00006842-197609000-00003
  25. 강현숙, 재활강화교육이 편마비환자의 자가 간호 수행이 미치는 효과에 관한 실험적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85.
  26. E. Paykel, "Social functioning and the depressed patient,"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iatry in Clinical Practic, Vol,3, No.1, pp.S9-S11, 1999.
  27. 조성호, "초기 부적응 도식과 심리적 부적응", 한국 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14권, 제4호, pp.775-788, 2002.
  28. 김귀분, 신동수, "노인이 지각한 가족지지, 우울 및 신체적 건강상태와의 관계", 동서간호학연구지, 제9권, 제1호, pp.66-73, 2004.
  29. 양승애, "일 대도시 여성 노인의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보건간호학회, 제26권, 제1호, pp.158-173, 2012.
  30. 최희정, "농어촌지역 노인의 지각된 건강상태, 주관적 신체증상, 우울에 관한 연구", 재활간호학회지, 제11권, 제2호, pp.74-80, 2008.
  31. T. Kawada, M.Katsumata, H. Suzuki, and T. Shimizu, "Actigraphic predictors of the depressive state in students with no psychiatric disorders,"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Vol.98, No.1, pp.117-120, 2007. https://doi.org/10.1016/j.jad.2006.07.004
  32. 이은령, 강지혁, 정재필, "노인 우울에 미치는 요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7호, pp.291-300, 2013.
  33. T. W. Strine, K, Kroenke, S. Dhingra, L. S. Balluz, O. Gonzalez, J. T. Berry, and A. H. Mokdad, "The associations between depressi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social support, life satisfaction, and disability in communitydwelling US. adults," Journal of Nervous and Mental Disease, Vol.197, No.1, pp.61-64, 2009. https://doi.org/10.1097/NMD.0b013e3181924ad8
  34. 김도환, "도시 노인의 가족지지와 정신건강과의 관계 연구", 노인복지연구, 제11권, pp.171-192, 2001.
  35. 조맹제, 박종익, 배안, 배재남, 손정우, 안준호, 이동우, 이영문, 이준영, 장성만, 정인원, 조성진, 홍진표, 2011년도 정신질환실태 역학조사, 보건복지부,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