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diagnosis of observing face color by Dongeuibogam

동의보감(東醫寶鑑)중 망면색(望面色)에 대한 연구(硏究)

  • Kim, Min-Jung (Department of Diagnostics,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ongguk University) ;
  • Park, Won-Hwan (Department of Diagnostics,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ongguk University)
  • 김민정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진단학교실) ;
  • 박원환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진단학교실)
  • Received : 2013.10.11
  • Accepted : 2013.10.28
  • Published : 2013.08.31

Abstract

Objectives A study on the importance of observing face color in the Dongeuibogam and the other things to know when we observe face color. Methods We used Deyuk Dongeuibogam of Dongeuibogam publishing company from original photographic edition. Results (1) In all section(ex. Naekyungpyeon, Oehyeongpyeon and Japbyoungpyeon), the chapters related with observing face color were fifty-one. In Naekyungpyeon, the chapters related with observing face color were nineteen(37%). In Oehyeongpyeon, the chapters related with observing face color were ten(20%). In Japbyoungpyeon, the chapters related with observing face color were twenty-two(43%). In all section(ex. Naekyungpyeon, Oehyeongpyeon and Japbyoungpyeon), the statements related with observing face color were three-hundred and nine. In Naekyungpyeon, the statements related with observing face color were sixty-four(21%). In Oehyeongpyeon, the statements related with observing face color were fifty-two(17%). In Japbyoungpyeon, the statements related with observing face color were one hundred ninety-three(62%). (2) In each chapter, the number of statement related with observing face color was studied. Pediatric Chapter (75) were the most common, followed by The way of finding the cause of a disease (27) Face (26) Cold (24) Weak&Fatigue (12) Phlegm, Jaundice (8) Nose, Worm, Chronic indigestion (7) Mouth&Tongue, Woman, Stool (6) Bodyshape, Liver, Heart, Kidney, Cough (5) Eye, Carbunculosis (4) Blood, Voice, Spleen, Lung, Chest, Fire, Edema, Detoxification (3) in order. (3) In each section(ex. Naekyungpyeon, Oehyeongpyeon and Japbyoungpyeon), the rate of chapter related with observing face color was studied. Naekyungpyeon(73%) was the highest. Japbyoungpyeon(61%). Oehyeongpyeon(38%) was the lowest. Conclusions The importance of each chapter for observing face color in the Dongeuibogam was studied. In addition, the entire ocular inspection, the part ocular inspection, moisture and the difference of skin according to the personal constitution should be considered. There are not only the important parts of the past that does not mean but also the unimportant parts of the past that are meaningful now. Additional studies will be needed for the latter.

Keywords

References

  1. 신동원, 김남일, 여인석. 한권으로 읽는 동의보감. 들녘. 2006년. p232-241.
  2. 조헌영. 통속한의학원론. 학원사. 2007년. p148-158.
  3. 허준 지음. 대역 동의보감. 윤석희, 김형준 외 옮김. 경남, 동의보감출판사. 2006년.
  4. 洪元植, 尹暢烈 編著. (증보) 중국의학사. 서울, 一中社. 2001년. p.119.
  5. 洪元植 編纂. 精校黃帝內經靈樞. 서울, 東洋醫 學硏究院出版部. 1985년. p 227.
  6. 唐湘淸 編著. 難經今釋. 臺北市, 正中書局. 1983년. p.229.
  7. 李仲梓. 內經知要. 中國, 新文豊出版公司. p25.
  8. 朱震亨 原著. 新編丹溪心法附餘. 方廣 編註. 서울, 大星文化社. 1993년. p32.
  9. 河北醫學院. 前揭書. p84.
  10. 漢文大系. 管子纂詀(卷十六). 東京, 當山房發行. 1984년. p6-7.
  11. 黃三元 編著. 四診心法要訣新編新釋. 臺北市, 八德敎育文化出版社. 1987년. p6.
  12. 姜小正. 東醫寶鑑의 望診에 나타난 의학적 시선. 경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0년.
  13. 金光浩. 時空合一의 觀點으로 살펴본 顔面望 診에 對한 硏究. 대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9년. p31.
  14. 김용찬, 강정수. 望神에 대한 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4; 18.
  15. 김은주 외 4인. 顔色에 대한 현대적 조명 : 上古 天眞論의 女子七歲이론을 근거로.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2010; 23.
  16. 김은주 외 6인. 30-40대 한국 여성의 안색과 혈행의 상관성 연구. 대한한의정보학회지 . 2008; 14.
  17. 金璋顯. 電算化 診斷의 Database 구축을 위한 小兒觀形察色에 관한 硏究.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2001; 15.
  18. 金宰佑, 朴元煥. 察色에 관한 文獻的 考察과 現代的 照明. 대한한의진단학회지 2004; 8: 25-44.
  19. 魯鎭宇. 靈樞.五色에 對한 硏究. 우석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7년.
  20. 도준형 외 6인. 고연령 한국 남성의 사상 체질별 건강 수준에 따른 안색의 정량적 분석.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12; 26.
  21. 朴守道. 얼굴 특징 추출 및 색상 분석을 이용한 소아 선천성 심질환 진단에 관한 연구. 한밭대학교 정보통신전문대학원 컴퓨터공학과 석사학위 논문. 2009년.
  22. 안규범, 윤창열. 靈樞.五色에 수록된 顔面望 診法의 臨床 適用. 대전대학교 한의학연구소 논문집. 2009; 18.
  23. 유선애, 이승연. 虛弱을 主訴로 내원한 患兒의 임상적 특징과 診斷法에 관한 연구 - 顔色과 舌診을 중심으로.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2002;16.
  24. 李世睆. 신장질환 진단을 위한 안면부의 찰색과 신장 기능과의 상관성 분석에 관한 연구. 한밭대학교 정보통신전문대학원 컴퓨터공학과 박사학위논문. 2010년.
  25. 이세환, 조동욱, 강응택. 안면 색윤(色潤) 분석을 통한 신장 기능 측정 방법 제안. 한국통신학회논문지. 2010; 35.
  26. 장준용, 강정수, 김병수. 望診 察色에 있어서 鼻, 眼, 印堂의 중요성. 대전대학교 한의학연구조 논문집. 2010; 19.
  27. 장준용 외 3인. 望診에서 鼻 形態의 중요성 연구. 대전대학교 한의학연구소 논문집. 2011; 20.
  28. 조동욱, 김봉현, 이세환. 찰색 부위의 영역 분할을 이용한 소아 진단 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통신 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05년.
  29. 조동욱, 김선영. 망진을 위한 정면 얼굴 영역 및 특징 요소 추출. 한국통진학회논문지. 2005;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