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keholder Networks Supplying Rural Tourism in The Mekong Delta, Vietnam: The Case of Thoi Son Islet, Tien Giang Province

메콩델타지역 농촌관광의 공급자 네트워크: 티엔장성(省) 터이선 섬을 사례로

  • Hoang, Chau Ngoc Minh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Science, Okayama University) ;
  • Kim, Doo-Chul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and Life Science, Okayama University)
  • Received : 2013.07.25
  • Accepted : 2013.08.19
  • Published : 2013.09.30

Abstract

Tourism in Thoi Son Islet has been the advanced model for rural tourism in the Mekong Delta region since the 1990s. The continuously rising number of tourists, however, has also created problems that affect sustainable rural development. To understand these problems, this research analyzed how rural tourism has been operated through the methodology of a stakeholder network. After investigating the network among key stakeholders (Ho Chi Minh travel agencies (HCMTAs), local travel agencies (LTAs), and local residents, the result showed that in the current model, HCMTAs and LTAs have played the role of connectors, working as hubs to shift tourists (demand) to match local residents (supply), with the networking being dominated by signed contracts (formal networks). The networks between LTAs and local residents are both formal and informal. Inter- and intra-networks among local residents are dominated by informal networks of established working relationships based on networks of family, friends, and neighbors. Moreover, this research has found that there is no cooperating network among LTAs. Among owners of tourist sites was not also found cooperating network. The primary motivating factor for these stakeholders is price competition; this has led to a disproportionately small share of revenue for local stakeholders, with most tourism revenue going to HCMTAs. Additionally, because of the high competition among local stakeholders, this results in local stakeholders having little or no negotiating power when conducting business with HCMTAs. Meanwhile the Tien Giang Tourism Association is inefficient in fostering cooperation among local stakeholders to increase their negotiating power.

베트남 특히 메콩델타지역은 1990년대 이후 지속적으로 관광객 수가 증가해 왔으며, 특히 터이선 섬은 이 지역의 대표적 농촌관광지 중 하나로 주목받아 왔다. 이 연구는 농촌지역에서 관광개발이 이루어질 때, 관광 자본의 성격(역외/역내)에 따라 공급자들이 어떻게 네트워크를 형성하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터이선 섬의 주요 관광공급자는 크게, 호치민시의 여행사, 지방 여행사, 지역 주민 및 행정기관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 호치민시의 여행사와 지방 여행사는 관광객(관광 수요)와 지역 주민(관광 공급)을 이어주는 중심적 연결자로서 기능하고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또한, 호치민시의 여행사와 지방 여행사간의 네트워킹은 서류상 계약(공적 네트워킹)이 지배적인 반면, 지방 여행사와 지역 주민간의 네트워킹은 서류상 계약(공식 네트워킹)과 구두상 계약(비공식 네트워킹)이 동시에 존재하였다. 한편, 지역 주민간의 네트워킹에서는 가족, 친구, 근린관계에 기반한 비공식 네트워킹이 지배적으로 나타났다. 한편, 지방 여행사간 또는 터이선 관광의 최종 목적지이며 지역 주민들에 의해 운영되는 과수 농원(tourist sites) 간에는 어떠한 협조적 네트워킹도 나타나고 있지 않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러한 공급자 간의 네트워킹의 일차적 동기는 가격 경쟁이며, 그 결과 터이선 섬 관광 수입의 대부분이 호치민시의 여행사로 누출되며, 지역내 공급자에게는 일부분만이 돌아가는 수입 분배의 불균형이 나타났다. 즉, 지역내 공급자간의 치열한 경쟁이 호치민시의 여행사와 관광 업무 체결시 교섭력을 발휘할 수 없게 하고 있었다. 최근 지역내 관광 공급자들의 연합조직으로 관광협회가 설립되었지만, 주요 공급자가 아직 가입하고 있지 않으며, 지역내 공급자들의 교섭력을 높이는데는 역부족인 것으로 보여진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