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실의 환경설계기술 현황 및 설계용 기상 자료 비교

  • 남상운 (충남대학교 지역환경토목학과)
  • 발행 : 2013.11.28

초록

키워드

참고문헌

  1. Albright, L.D., 1990, Environment control for animals and plants, ASAE.
  2. ASABE, 2008, Standard: Heating, Ventilating and Cooling Greenhouses, ANSI/ASAE EP406.4.
  3. ASHRAE, 2013, ASHRAE Handbook Fundamentals SI Edition, ASHRAE.
  4. Hayashi, M. and T. Kozai, 1982, Comparison of actual and calculated heating degree hour and a proposition of heating degree hour diagram, Journal of Agricultural Meteorology 38(1): 29-36. https://doi.org/10.2480/agrmet.38.29
  5. Lindley, J.A. and J.H. Whitaker, 1996, Agricultural buildings and structures, ASAE.
  6. Mihara, Y., 1978, Computation formula for greenhouse heating degree hour with consideration for sunshine, Journal of Agricultural Meteorology 34(2): 83-85. https://doi.org/10.2480/agrmet.34.83
  7. 김두천, 1996, 건물의 공조부하계산용 표준 전산프로그램 개발 및 기상자료의 표준화 연구, 통상산업부.
  8. 김문기, 1997, 원예시설의 환경설계기준 작성연구, 농어촌진흥공사 농어촌연구원.
  9. 김환용, 이정재, 2007, 냉난방 부하계산을 위한 전국 17개 도시의 표준기상데이터 및 TAC 맵 작성,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3(9): 197-204.
  10. 남상운, 2000, 온실의 냉난방 설계용 기상자료의 비교분석,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학술발표논문집 9(2): 94-97.
  11. 대한설비공학회, 2011, 설비공학편람-공기조화, 대성사.
  12. 우영회, 김태영, 조일환, 2001, 지중 전열량을 고려한 온실의 기간난방부하 결정, J. Kor. Soc. Hort. Sci. 42(5): 523-526.
  13. 유호천, 2011, 불확실한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건물성능평가 표준기상자료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연구재단 보고서.
  14. 윤종호, 2003, 건물에너지 성능평가를 위한 표준기상자료의 국내외 현황, 대한설비공학회 설비저널 32(8): 7-14.
  15. 이석건, 1998, 고효율 환경조절 및 에너지 절약형 온실구조의 최적설계, 농림부.
  16. 이성복, 인인복, 홍세운, 서일환, J.P. Bitog, 2012, BES 프로그램을 이용한 국내 대표적 대형온실의 에너지 부하 예측, 한국농공학회논문집 54(3): 113-124.
  17. 조성환, 김성수, 최창용, 2010, 국내 15개 주요지역의 난방도일 재산정에 관한 연구, 설비공학논문집 22(7): 436-441.
  18. 農林水産技術會議事務局, 1980, 高能率園藝施設計劃.設計基準に關する硏究成果.
  19. 日本施設園藝協會, 2007, 五訂施設園藝ハンドブック.